백만송이 장미를 그대에게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지난 몇 년간 5월18일에서 5월23일까지는 고 노무현 대통령을 사랑하던 이들에게는 일종의 고난주간이었다. 이 시기엔 일상의 바쁜 일들이 내리누르는 압력을 견디며 역사와 민족과 사...

“소셜미디어 및 온라인이 성범죄 소굴 되고 있다”

최근 밝혀진 ‘n번방’ 성착취 사건은 범죄의 잔인성과 함께 26만 명으로 추정되는 엄청난 사용자 규모로 전례 없는 공분을 사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성범죄의 심각성을 오랫동안 경고...

나비가 깨어졌다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내 휴대폰지갑에 오랫동안 달려 있던 노란나비가 깨어졌다. 어느 해인가 수요집회에서 만난 누군가가 준 것이다. 종이를 여러 겹 압축해 정교하게 나비 날개의 무늬까지를 파낸 아주 예쁜...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원미경이 나오는 1990년대 초반 영화였다. 아이러니하게도 영화의 각본을 쓴 사람은 이윤택. 포스터에 적힌 문구가 매우 인상적이었던 이 영화는...

김은숙 작가의 기념비적 문제작 《더 킹》

SBS 《더 킹: 영원의 군주》(이하 《더 킹》)는 김은숙 작가의 신작이자 이민호와 김고은의 출연작으로 관심을 모았다. 김은숙 작가는 최근 《태양의 후예》 《도깨비》 《미스터 션샤...

피해자에게도 국가가 있어야 해요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한국인으로서 최근 그야말로 ‘국뽕’ 차오르는 경험을 좀 했다. 국가가 당연히 그 정도는 해야 한다고 생각한 많은 일이 뜻밖에도 한국이라서 예외적으로 잘하...

20대 국회에 바란다 ②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숫자만 보고도 온 국민이 무슨 소리인지 알아듣는다. 코로나19로 오랫동안 사람들의 활동이 줄어들면서 경제가 어려워졌으니까 국가가 재정을 풀어야 한다는 논의 속의 숫자들이다. 저 숫...

25살 무직자는 어떻게 ‘박사’가 됐나

‘고담시(Gotham City)’는 배트맨이 활약하는 가상의 도시다. 범죄가 끊이지 않는 이곳에서 사법 기구는 무력하기만 하다. n번방의 관문으로 통한 텔레그램 대화방 ‘고담방’의...

20대 국회에 바란다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선거가 끝났다. 되짚어 읽을 곳이 많은 선거 결과다. 한 줄로 요약하자면 다수 국민은 국가의 보호 안에서 더불어 살기를 바랐다. 4·3 전날 시작해 4·16 전날 끝난 선거기간은 ...

여성에게도 투표권이 있다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이제 곧 투표일이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선거는 다양하고 심오한 의미를 많이 지닌다. 나는 늘 선거의 캠페인은 극도의 계몽주의라고, 그렇게 돼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가까운 시대부터...

음란물은 없다, 성착취물이 있을 뿐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집단 성착취 영상거래방 또는 조직 강간 범죄 모의 및 실행방. 어디를 말하는지 아실 것이다. 이 텔레그램 대화방을 그들은 왜 “성범죄 저지르는 방”이라고 이름 붙이지 않고, n번방...

“당신이 즐겨 보던 ‘포르노’가 ‘n번방’을 낳았다”

성착취 영상물 거래로 논란이 된 텔레그램 대화방 ‘n번방’. 대중에게 공개된 n번방의 모습은 범죄 현장보단 놀이터에 가까웠다. 가해자들은 잔인한 성착취 영상을 찍고 공유하며 ‘ㅋㅋ...

이 땅에 살기 위하여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지난 3월24일 ‘텔레그램 n번방 사건 특별조사팀을 서지현 검사를 필두로 한 80% 이상 여성 조사팀으로 만들어 주십시오’라는 제목의 청원이 청와대 국민청원 사이트에 올라왔다. 하...

“정치는 왜 아저씨만 하나요?”…총선에 출사표 던진 ‘90년대생들’

이름은 K. 1965년에 태어나 서울의 명문 사립대를 졸업했다. 민주화를 위해 데모도 꽤 했다. 군대를 다녀와선 대한민국의 최대 경제 호황기도 누려봤고, IMF도 몸소 겪었다. 그...

n번방의 비밀과 살로소돔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텔레그램 n번방이라는 이름을 들었을 때 나는 파졸리니 감독의 영화 《살로소돔의 120일》이라는 영화를 떠올렸다. 많은 이가 이름만 들어본 영화일 것이다. 사드 백작의 동명소설을 1...

‘듣는 귀’ 비서관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나는 흔히 말하는 ‘페이스북 죽돌이’다. 읽고 쓰는 일을 업으로 삼다 보니 저절로 페이스북에서 오래 논다. 페이스북의 장점이라면, 호흡이 길고 깊이 파고 들어가는 의견들을 만날 수...

극에 달하다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변동기를 살고 있다는 실감이 자주 드는 요즘이다. 시집 《극에 달하다》에서 김소연은 말한다. 우리는 모두 끝물. 끝물 과일은 반은 버려야 하지만, 끝물은 아주 달다고. 아주 달아서...

혐오를 말하는 입에 마스크를 씌우자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불가피하게 중국과 신천지, 대구가 정치적 쟁점이 돼 버린 한 주였다. 공포와 혐오가 이처럼 사이좋게 서로를 지지하며 한 시기의 핵심 감정이 된 것도 정말 오랜만이다. 코로나19 바...

혐오 표현을 거부할 자유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소위 지식인이라는 이름표를 이마에 붙이고 공적 매체에 글을 쓰기 시작한 지 그럭저럭 사반세기가 됐다. 그동안 내가 부여잡고 달려온 질문은 개인과 평등 공동체라는 화두다. 최근 들어...

환대가 공포를 이긴다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와 페미니즘, 이런 주제로 글을 쓸 수 있을까. 아마도 ‘그 둘이 무슨 상관인데?’라고 할지 모른다. 페미니스트라고 코로나19에 안 걸리는 것도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