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란 국가 들어봤지만 잘 알고 있지는 않다”

세계 속에서 ‘한국’은 더 이상 ‘은자(隱者)의 나라’가 아니다. 1960년대부터 독자적인 모델로 이룬 급격한 경제성장과 민주주의로 세계인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한국은 2000년대...

[이진아의 음식인류학]집단의 경계선 역할 ‘구별짓기’의 음식

음식은 대단히 사회적인 과정이다. 그래서 사회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음식이 다양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자신의 경험을 조금만 돌아봐도, 사회관계 때문에 특정한 방식으로 식사를 ...

결혼제도가 사라진다

세계적인 석학 자크 아탈리는 10여 년 전에 펴낸 《21세기 사전》에서 이미 일부일처에 근거한 결혼제도의 종말을 예언했다. 그는 “2030년이면 결혼제도가 사라지고 90%가 동거로...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추수감사절의 칠면조는 왜 美 대륙에서 등장했을까

세계 어느 지역, 어느 시대에나, 인간 집단에서 최대의 명절은 가장 크게 먹거리를 거둬들이고 난 이후 한동안 쉬어야 하는 그 시점에 있었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 자리 잡고 살아오면...

[이민우 기자의 IF] ④ 서울대를 만약 사관학교처럼 바꾼다면?

공교육이 무너지고 있다는 소리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입시 정글에 던져진 아이들은 살아남기 위해 사교육 시장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부모들은 자식 교육을 위해 자신의 삶을 포...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추수 감사 음식에서는 그 사회가 보인다

추석은 역사상 어느 시대, 지구상의 어느 지역에나 존재했던 ‘수확 감사의례’의 한반도 버전이다. 인간이 어느 정도 규모의 집단을 이루고 살면서 먹을 것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나면 ...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小·素·笑’, 적은 양의 소박한 음식을 웃으면서 먹자

특히나 올해는 무척 더운 여름이었다. 음식도 그만큼 잘 상한다. 가정에서든 업소에서든 음식을 장만하는 사람들은 음식이 상하지 않게 관리하는 일에 신경을 곤두세우지 않을 수 없다. ...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여름철 식품위생? 미생물 막자고 ‘독성물질’ 사용하는 꼴

히게이아(Hygeia). 그리스신화의 여신 중 하나다. 주신(主神) 제우스와 그의 아내 헤라로 시작되는 신들의 계보 얘기에서는 잘 등장하지 않는 편이지만, 실제로 그리스와 로마 시...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오래 살려면 동양 전통음식을 먹어라”

“미국은 굶고 있다.” 무슨 얘기인지 어리둥절해질지 몰라도, 이것은 꽤 오랫동안 주장돼 오고 있고 현재도 끊임없이 문제제기가 되고 있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2013년 8월, 요즘...

동일본 대지진에 비춰보는 세월호 참사의 극복

재난은 개인과 지역, 사회 전체가 상처를 입는 일이다. 똑같은 일을 겪었다고 해서 모두 같은 반응을 하지는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재난을 겪은 사람들을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으면 그...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기후변화 재앙에서도 밥상 지켜줄 발효식품

요즘 뭘 먹어도 예전 같은 맛이 나지 않는다는 말을 종종 듣게 된다. 변덕스러운 날씨 때문에 피로감이 생겨 입맛이 떨어져서일까. 하지만 이런 불평은 꽤 오래전부터 들려왔으며, 계절...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단맛으로 스트레스 날리던 때는 지났다

“직장이나 가정에서 스트레스를 받을 때 단 음식에 끌리는 것이 당신의 잘못이라고 생각했다면, 이 새로운 연구는 당신의 마음을 평온하게 해줄 것이다.” 이 문장이 확 눈에 들어오면서...

‘한국인보다 한국인을 더 잘 아는 외국인’ 이만열 교수의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이만열 지음 21세기북스 펴냄 324쪽 1만6000원 “나도 속도만 강조하는 한국 사회의 일원이다. 하지만 우리의 과거를 살펴보면 기계적인 속도보다 인성·정신세계를 중시하는 사례를...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동양의 ‘이열치열’ 서양에서도 통했다

여름이 되면 팥빙수와 냉면처럼 찬 온도로 몸을 식혀주는 음식이 부각된다. 하지만 전통사회에선 여름이 되면 오히려 몸을 덥게 해주는 음식을 먹는 편이었다. 육개장처럼 얼큰하고 국물이...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천천히 음미하며 먹으면 위험 피할 수 있다

19세기 유럽의 예지적 지성 포이어바흐가 “인간은 자신이 먹는 것이다(Man is what he eats)”라고 말했다지만, 인류 역사를 통해 볼 때 음식은 정말 다양한 국면에서 ...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오랜 친구 소금을 굳이 ‘건강의 적’으로 돌릴 필요야

소금은 인간의 음식에서 가장 기본적 요소 중 하나다. 그런데 물에 녹아 요리 속에 침투해 눈에 보이지 않게 되므로, 그리고 늘 어느 음식에나 다 들어가므로, 소금의 중요성은 일상적...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당신은 엄마가 될 준비가 끝났나요

사람이 태어나서 처음 먹게 되는 음식은 무엇일까. 시대와 나라에 상관없이 처음 먹게 되는 음식은 바로 모유다. 인간뿐 아니라 모든 포유동물이 태어나서 처음 먹는 음식이 모유라는 것...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전통 음식의 지혜 나를 구하고 지구를 구한다

“나는 어렸을 때 균형 잡힌 영양을 섭취한다는 것은 우리 집안에서 제공하는 31가지 맛의 아이스크림을 골고루 먹는 것이라고 믿었다. 4가지 기초식품군이란 초콜릿, 바닐라, 딸기, ...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닭갈비를 춘천 대표로 만든 ‘보이지 않는 손’

얼마 전 종영한 SBS 드라마 중 인상 깊었던 장면 하나. 고려 말 개혁정치의 아이콘 정도전이 성문 앞에서 연설을 한다. “정치란 무엇입니까? 정치란 분배입니다. 누구에게서 받아...

[이진아의 음식인류학] “O형이라고? 과일이 잘 맞겠네”

믿거나 말거나 재미있는 얘깃거리가 되는 주제 중 하나가 혈액형이다. 정말 혈액형에 따라 사람의 성격이 다른 걸까? 성격도 성격이지만, 혈액형별로 음식 소화 능력에 차이가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