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교육 현장으로
  • 허광준 기자 ()
  • 승인 1993.10.28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도부, 4년 공백 보충 위해 '복직학교' 계획

4년 넘게 교육계를 달구어온 전교조 문제는 전교조측의 '고뇌에 찬 결단'으로 풀리게 되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전교조 탈퇴가 명시된 해직된 교사들의 복직 신청서를 일괄 제출하기로 결정한 날은 오는 25일께이다. 그동안 해직 교사의 복직 문제는 전교조 탈퇴 여부를 둘러싸고 정부와 전교조의 입장이 맞서 평행선을 달려왔다. 전교조의 복직 결정은 정부가 전교조를 수용할 의지가 없다는 현실 인식 위에서, '탈퇴 거부'라는 작은 명분 대신 '현장 활동'이라는 더 큰 명분을 선택한 것으로 평가된다.

 새 정부가 출범한 뒤로 전교조는 복직 문제를 풀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교육 현안을 해결하는 데에 힘을 쏟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 전교조가 복직만을 위해 활동하는 모습으로 국민에게 비친다는 부담도 안았다. 전교조는 전격적인 복직 결정이 이같은 현실적 어려움을딛고 국면을 주도하고자 하는 노력이라고 풀이한다.

 전교조 지도부가복직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상당한 반대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대부분의 해직 교사는 "교육 현장에 되돌아가 참교육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며 환영하지만, 일부는 복직에 반대하는 견해를 갖고 있다. 전교조는 이들을 설득해 '전원 들어가는 형식'으로 조직력과 단결력을 보이려 한다.

 복직을 결정한 전교조는, 당당하게 복직이 이루어지지 않은 아픔 속에서도 새로운 희망을 준비하고 있다. 내년 3월에 교단에 서려면 지금부터 준비할 일이 많다. 우선 25일께 복직 신청서를 제출하고, 복직 대상과 규모가 확정되면 11월7일에 결의를 다지는 대규모 교사 대회를 열 예정이다. 4년 넘게 놓았던 분필을 다시 잡고, 그동안 바뀐 교과 과정에도 적응하기 위해 두차례 정도 '복직 학교'라는 자체 연수도 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전교조의 복직 결정을 환영하면서, 공무원 임용에 관한 규정에 따라 처리할 터이므로 선별에대한 걱정은 하지 않아도 좋다고 밝혔다. 그러나 해직 기간의 경력을 인정할 것과, 전교조 관련 교사뿐만 아니라 사회 민주화?사학비리 척결 관련 해직 교사까지 복직 대상에 포함시키라는 전교조측 요구는 수용하기 어렵다는 처지,형편,견해,주장이다.

 전교조가 스스로 밝혔듯이 전교조활동은 앞으로 교내 활동을 중심으로 더 활발해질 전망이다. 따라서 해직 교사들은 학교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지만, 전교조 자체에 대한 정부의 시각이 변하지 않는 한 본질적인 문제는 계속 남을 듯하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