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民黨의 ‘값비싼’ 승리 社會黨 쾌주
  • 편집국 ()
  • 승인 1990.03.04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日중의원선거 끝나 향후 정계개편 관심

90년대 일본정치의 흐름을 좌우할 지난 18일의 일본 중의원선거는 안정다수 의석 확보에 성공한 자민당의 승리와 사회당의 현저한 진출을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이에따라 향후 일본정국은 총선결과에 따른 여 · 야간의 관계설정을 둘러싸고 치열한 탐색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참의원선거 패배 이후 여건상 별로 나아진 것이 없는 상황에서 중의원선거를 맞았던 자민당은 선거 초반부터 예상목표치를 과반수 의석(2백57석) 확보로 하향조정하는 등 긴장된 모습을 보였었다. 그러나 투표일 바로 직전의 각종 여론조사에서 자민당의 우세가 계속 발표되면서 자민당의 승리는 개표 직전에 이미 점쳐졌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자민당의 승리는 일본 유권자들의 소비세법 개정안이나, 농정문제, 정치개혁 등 자민당의 정책일반에 대한 지지의 표현이라기보다는 사회당 중심의 연합정권에 대한 불안감이 크게 작용한 ‘일과성’ 선택에 의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야당측은 자민당이 공식집계만으로도 2백40억엔에 달하는 엄청난 선거자금을 동원했고, 그 과정에서 거대재벌과 기업들의 자금 및 인력동원이 이뤄진 것이 여당 승리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지적, 향후 자민당의 금권정치에 대한 공세를 가속화 할 조짐도 보이고 있다.

한편 나카소네(中會根康弘) 전총리를 비롯 후지나미(?波孝生) 전관방장관, 다케시타(竹下登) 전총리, 아베 신타로(安倍晋太郞) 전외상, 미야자와(宮澤熹一) 전대장상 등 리크루트 관련인사들이 대거 당선되고, 친 · 인척간에 선거구를 물려받는 소위 ‘세습후보’들의 진출도 두드러져 이번 선거를 통해 일본식 정치풍토의 한 단면이 드러났다는 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선거 이후의 정국구도와 관련해서는 자민당과 사회당의 진출이 두드러지고 공명 · 민사 · 공산 등 군소야당들의 세가 감소함에 따라, 앞으로 상당기간 자민-사회의 양당체제로 정국이 운영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참의원에서의 여야 역전의 세력분포가 앞으로도 그대로 유지될 것이기 때문에 자민-사회 양당체제는 자민당 일당지배와 군소야당의 할거로 특징되는 소위 ‘55년체제’와는 그 양상이 다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즉 참의원에서의 여소야대의 상황에서의 정국운영은 선거 직전 오자와 (小澤一郞) 자민당 간사장의 말대로 “야당이 종전처럼 자민당案에 반대할 경우 예산안이 중의원에서 성립돼도 실제 집행법안은 단 하나도 통과되지 않는” 파행적인 형태를 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민당이 향후 정국운영을 순조롭게 하기 위해서는 야당과의 협조 내지는 제휴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 자민당내에서는 선거 이전부터 공명 · 민사 등 중도정당과의 제휴를 주장하는 다케시타 전총리의 ‘부분연합론’과, 사회당우파까지 포함한 근본적 정계개편을 선호하는 가네마루(金丸信) 전부총리의 ‘대연합론’ 등 논의가 분분했는데, 최근에는 오자와 자민당 간사장까지 정계개편의 필요성을 공식 거론, 귀추가 주목된다. 야당들 사이에도 사회당과 공명 · 민사당 사이의 이념 및 정책의 차이는 고사하고 이번 선거 결과 의석수에 있어서도 ‘야당연합정권’ 실현은 이미 불가능한 것으로 결론이 났기 때문에 자민당을 중심으로 한 이합집산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밖에 당내기반이 취약한 가이후 총리의 유임도 확실시되고 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 가이후는 선거 직후 “임기 만료(내년 10월)까지의 정권담당 결의를 표명하는 등 기염을 토한 바 있는데, 곧 있을 2차 조각에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그러나 산적한 정치 현안을 살펴볼 때 가이후 정권의 전망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는 것 또한 지적되고 있다. 국내적으로 가이후 총리는 90회계연도 예산안을 통과시켜야하고, 이번 선거의 최대 쟁점 중 하나였던 소비세제문제를 어떤 식으로든 해결해야만 한다.

또한 대외정책에서도 3월중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 미국과의 구조협의 및 주일미군 방위분담금 증액문제 등의 난제들이 놓여 있고, 3월중 셰바르드나제 소련 외무장관의 방일을 계기로 제기될 소 · 일관계 개선문제 등을 원만하게 해결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만약 이러한 구내외 현안에 대해 가이후 총리가 잘못 대응하여 “지도력”에 타격을 입게 될 경우 아베 신타로 등 자민당 실력자들에 의한 ‘가이후 밀어내기’가 다시 고개를 들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