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高地 먼저 밟자 3계파 지역구 차지 각축
  • 박준웅 기자 ()
  • 승인 1990.03.18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民自黨 조직강화특위 난항 예상

民自黨의 조직강화특위가 본격 가동되면서 지역구 조직책 인선을 놓고 民正·民主·共和 등 3계파간에 숨가쁜 힘겨루기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조직책 인선은 14대 총선에서의 공천과 직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공천에서 유리한 고지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당사자에게는 정치적 생명이 걸린 문제이고, 3계파로서도 앞으로 신당내에서의 입지를 좌우하는 중대한 고비가 되기 때문이다.

3계파는 대체적으로 △현역의원 우선 △지역구 의원 우선 △원외의 경우 4·26총선 득표율 기준 △비리관련 및 문제의원 배제 등의 인선원칙 아래 구체적인 세부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각 계파 모두가 이러한 기준과는 관계없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거물급 원외인사들을 안고 있고 이들을 소화해야 할 지역일수록 계파간의 이해가 첨예하게 얽혀 있어 3당의 합당 취지에 걸맞도록 원만하게 교통정리를 하기에는 적지않은 마찰과 진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민자당은 경합이 없는 현역 지역구부터 인선을 마무리지어 4월 전당대회 이전까지 1백50개 정도의 지역에 조직책을 임명할 방침이다. 민자당은 또 조직책 인선에 뒤따를 후유증을 줄이기 위해 일부 특수한 지역 외에는 인선원칙을 철저히 지킬 계획이며 특히 전국구와 지역구가 겹치는 곳은 지역구 우선으로 한다는 방침을 거듭 밝히고 있다.

전국구의원 중 지역구를 원하고 있는 의원은 대강 16명 정도로 알려지고 있으나 이번 조직책 선정에서는 현역의원이 대부분 그대로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조직책 경쟁은 3당 모두 현역의원이 없는 67개 지역구에서 더욱 치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를 반영하듯 일부 지역에서는 계파간에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고 계파내에서도 특위위원은 물론 고위 당직자 등을 통해 로비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鄭鎬溶씨 상대역으로 文熹甲씨 물망

원외지역구의 인선 기준으로 우선 13대 총선에서의 득표실적이 꼽히고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서울의 경우 20개 지역 중 민정계 15, 민주계 3, 공화계 2개 지역이며, 호남과 부산의 거의 전지역에서 민정계가 차점자이어서 민정계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이밖에 △지역구 활동 및 당선가능성 △의석비율 △균등분배원칙 등이 거론되고 있고 특히 민주·공화계는 일정 수준의 정책적 할당을 주장하고 있어 줄다리기가 예상된다. 따라서 일부 지역은 계파간의 이해와 계파내의 분쟁소지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당분간 조직책 임명이 늦어질 수도 있을 것 같다.

각 계파의 연고권 주장 지역은 △민정계의 경우 4월중 보궐선거를 치러야 하는 대구 서갑구와 충북의 진천·음성 등 2개 지역이고 △민주계는 서울 영등포 갑구와 부산의 중구·동구·영도구·해운대구·사하구 등 6개지역 △공화계는 대전 동갑구 1개 지역이다.

대구 서갑구는 鄭鎬溶전의원의 무소속 출마 여부가 미지수이지만, 鄭전의원이 출마하여 당선될 경우 민자당에 치명타가 된다는 점에서 그의 출마의지를 사전에 꺾고 현지의 분위기를 휘어잡는다는 전략 아래 文熹甲 청와대 경제수석 비서관을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金完泰의원의 사망으로 역시 보궐선거지역이 된 충북 진천·음성에는 閔泰求 충북지사가 유력시 되고 있다.
한편 민주계는 민자당 합류를 거부하고 신당 창당에 나선 부산의 중(金光一)·동(廬武鉉)·영도(金正吉)·해운대구(李基澤)와 서울 영등포 갑구(張石和) 외에 동해선거의 후보 매수사건과 관련, 구민주당을 탈당했던 徐錫宰의원의 부산 사하구 연고권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부산의 잔류의원 지역구는 차점자인 鄭相千 禹炳澤 安秉海 許三守씨 등 민정계의 원외지구당 위원장들이 조직책을 노리고 있다. 영등포갑구 역시 13대 총선에서 평민당에 이어 3위를 했던 민정계의 李得憲씨가 물망에 오르고 있다.

민주계는 부산 동구의 경우 13대 총선의 공천과정에서 廬武鉉의원을 공천하는 대신 韓錫奉전의원에게 다음 공천을 약속했던 점을 들어 許三守씨와 경합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무소속으로 남은 徐錫宰의원의 사하구는 徐의원의 거취가 변수인데 끝내 민자당에 합류할 분위기가 안되면 민정계의 崔龍洙씨가 맡을 가능성도 있다. 金炫의원의 이탈로 원외지구가 된 대전 동갑구는 공화계가 연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차점자인 민정계의 南在斗씨와 민주계의 金泰龍씨가 경합하고 있다.

원외지역구 중 각 계파가 연고권을 주장하는 9개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58개 지역구 중 13대 총선에서 차점을 얻은 지역은 민정 52(서울 14, 호남 37, 경기 1) 민주 3(서울) 공화 2곳(서울)이다. 따라서 민정계는 당연히 차점자 우선 원칙을 주장하는 반면 민주·공화계는 3당합당 정신에 따라 3균분을 하거나 최소한 의석비율의 배분을 내세우고 있다.

민주·공화계는 특히 서울지역은 각 계파의 지역연고가 상대적으로 덜하고 3당합당에 대한 사실상 심판이 서울에서의 14대 총선에 의해 판가름난다는 점을 들어 13대 총선 때의 실적보다는 당선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 민주계에서는 호남과 부산지역의 대부분을 양보하는 대신 서울에서 더 많은 몫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13대 총선에서 3위와 큰 표차를 낸 원외지구당 위원장은 일단 유리한 입장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민정계의 張基弘(중) 李世基(성동갑) 설영주(성동을) 李順載(중랑갑) 金正禮(성북갑) 裵成東(도봉을) 朴明煥(마포갑) 劉容泰(동작을) 金鍾仁(관악을) 李鍾律씨(서초갑) 등이며 공화계의 崔厚集(양천을) 李相賢(관악갑)씨 등이다.

한편 민자당은 전국구의원이 원외지역의 지구당 위원장을 원할 경우 우선 배려한다는 방침이므로 서울의 경우 공화계 전국구의원인 鄭始鳳(동대문갑) 廷濟源(관악을)의원은 고지를 선점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관악을의 경우 민정계가 차점자인 金鍾仁 보사부장관을 양보할지 주목된다.


인기없는 호남 민정계가 독식할 듯

호남에서는 민정계 전국구의원인 李相河(담양·장성) 羅昌柱(나주시·나주) 池蓮泰(고흥) 李道先의원(광양) 등이 지구당 위원장을 맡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37개 지역구 모두가 원외인 호남에서는 민주·공화계가 거의 후보를 내지 않은 데다 민정계가 모두 차점자이므로 조직책을 거의 독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중 구체적으로 거명되는 인사들은 전남에서 △광주서갑 金良培(전광주시장) 金枓元(사회단체장) △광주서울 金昶植(평통 사무총장) 梁東燮(정당인) △신안 朴成喆(사업가) △장흥 孫守益(전교통부장관) △목포 崔永喆(노동부장관) △강진·완도 金湜(농림부장관) △해남·진도 丁時采(전예결위원장) △화순·곡성 具龍相(전민정당 사무차장)씨 등이며, 전북에서 △김제 朴昇(전건설부장관) 李建植(전민정당 민원상담실장) 등이다.

한편 민주계에서는 임실·순창 崔容安(전의원) 공화계에선 익산 李承弘씨 등을 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호남은 당선가능성이 적다는 판단 때문에 각 계파가 적극성을 보이지 않고 있기도 하다.

이같은 현지실정을 감안하면 67개 원외지역구 중 민주계와 공화계의 유력지구는 각각 9~10지역, 5~6지역밖에 되지 않아 민정계가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민주·공화 양 계파는 더욱 많은 지분을 요구할 것이 분명하고 조직강화 특위의 심사과정에서 적지 않은 논란이 예상된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