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슬라비아 내분해결 방식은 유럽통합 시금석
  • 부다페스트 · 김성진 통신원 ()
  • 승인 1991.07.18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고사태가 심각한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중재노력도 점점 활기를 띠기 시작하고 있다. 한스 디트리히 겐셔 독일 외무장관이 유럽안보협력회의(CSCE) 분쟁처리위원회 위원장 자격으로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에서 밀란 쿠찬 슬라보니아 대통령을 만난 데 이어 지난 3일 프라하에서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위원회를 소집했다. 하벨 체코 대통령은 회의개막 연설에서 유고연방군의 강경진압을 거세게 비난했다. 유럽공통체(EC) 12개 회원국은 이와 별도로 지난 5일 외무장관회의를 소집해 사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중재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베오그라드측에 대한 경제제재 등 실질적인 압력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제 유고사태는 연방분리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짐으로써 새 전기를 맞게 됐다. “탱크와 무력으로 한 나라를 짜깁기한 것은 하나가 아니다”(콜 독일 총리) “유고의 내부 · 외부적 국경선의 변경이 있다 하더라도 유고문제는 민주적 · 평화적인 대화로 해결되어야 한다”(부시 미국 대통령)는 여론이 대세가 돼가고 있다. 만약 연방의 분리가 평화적으로 이뤄진다면 동유럽 민주화 이후 분출하고 있는 민족문제가 전시계적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유럽 내에서의 체코와 슬로바키아, 바스크족뿐만 아니라 티베트나 쿠르디스탄에 새로운 선례를 제공하는 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이제 냉전시대를 갓 넘어선 유럽이 새 질서를 만들어가는 데 있어 진정한 위기관리와 분쟁처리를 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정착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유고사태는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가는 유럽에 기회와 함께 시련을 동시에 안겨주고 있다. EC 의장국인 룩셈부르크의 자크 상태 총리가 “유고문제는 통합으로 가는 계단”이라고 지적했듯, 유고위기는 유럽의 정치 · 경제 통합으로 가는 시금석일 수밖에 없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