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통합지분 놓고 계속 ‘두통’
  • 이흥환 기자 ()
  • 승인 1990.05.13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0대50은 사실상 불공정 거래”이견…현역의원 의견 불일치 당론 결정 가로막아
 신생야당 민주당(이하 가칭)의 창당행보가 계속 무겁다. 1차 조직책 선정의 후유증에 이어 창당구호의 하나로 들고나온 야권통합 문제로 계속 두통을 앓고 있는 탓이다.

 민주당이 안고 있는 가장 큰 고민은 평민당과의 통합에서 얼마만큼의 지분을 요구해서 이를 관철시키느냐 하는 것이다. 최대한의 지분을 확보해야 하겠지만 현실을 무시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한 당직자는 “획득의 최대치(민주당)와 양보의 최대치(평민당)가 만나는 접점이 지분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한다. 민주당의 고민은 바로 이 접점을 어느 지점에서 찾느냐 하는 것이다. 접점 이하이면 흡수통합이 되고 그 이상이면 비현실적이라는 지적과 함께 통합의지를 의심받게 된다.

 지금까지 민주당에서 나온 통합지분은 50대50의 黨대黨 형식과 대표최고위원 경선으로 요약된다. 총재급 경선案은 金大中총재의 2선퇴진안이 현실적으로 수용되기 힘들다는 계산에서 차선책으로 제시된 것이다.

 문제는 이 안이 겉보기에는 대등한 지분 같지만 실제로는 비합리적이라는 지적이 민주당내에 팽배해 있다는 사실이다. 즉 평민당의 결속력과 김총재의 카리스마적인 지도력 등 부가가치를 계산에 넣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상 흡수통합되고 말 것이라는 분석이다. 전직의원 ㅈ씨는 “평민연이 처음에 50대50 지분으로 평민당에 입당했지만 지금은 유명무실해지지 않았느냐”는 지적을 하고 있고, 한 당직자도 “공정한 지분 같지만 사실은 불공정 거래”라면서 숫자상의 지분확보는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

획득의 최대치와 양보의 최대치

 이와는 반대로 “50대50이라면 총재경선은 한번 해볼 만하다”는 견해도 있다. 통합 서명파의 집단적인 의사표시 등에서 나타났듯 김총재의 당내입지가 이전처럼 확고부동한 것만은 아니며, 평민당 당권과 관련한 변화의 조짐이 보여 집단지도체제가 채택될 경우 평민당내 판도가 유동적이기 때문에 李基澤위원장으로서도 적극적으로 총재경선에 나설 만하다는 것이다. 다만 이런 가능성을 익히 예견할 법한 이위원장이 왜 창당에만 주력하고 통합에는 유별나게 소극적이냐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민주당의 창당은 곧 ‘이기택총재’의 탄생이라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창당 후 통합협상은 이위원장이 총재의 자격으로 대등한 입장에서 김총재와 머리를 맞대는 형식을 취하게 될 것이며, 집단지도체제가 채택되었을 때 현재 평민당내에서 지도부를 메울 인사들 대부분이 부총재급이라는 사실도 이위원장으로서는 염두에 두고 있을 법하다. 평민당내 통합 서명파인 ㅇ의원도 “야권통합의 핵심은 의지부족이 아니라 당권의 향방”이라고 말해 당권을 둘러싼 양당 지도자의 신경전이 통합의 걸림돌임을 인정하고 있다.

 평민과 민주의 6대4지분도 거론된다. 현역의원을 포함한 지구당 조직책의 숫자 비율이 현재 6대4로 나뉘어 있는 것에 대해 민주당의 한 당직자는 “우연이긴 하겠지만 정확하게 6대4지분”이라면 “하늘이 내려준 비율이 아니겠느냐”고 통합지분의 적정선을 제시했다. 이외에도 盧武鉉의원이 제시한 것으로 알려진 4대4대2지분도 심심찮게 거론되지만, 범민주세력통합 원칙하에서 20%를 재야에 먼저 할애하고 평민-민주가 동등하게 나머지 지분을 나눠갖는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는 50대50지분이나 진배없다.

 그러나 민주당의 큰 두통거리는 지분보다는 통합 자체에 대한 당내 異見이다. 이위원장과 통추위 위원장인 朴燦鍾의원간의 불협화음, 창당발기인 7인 현역의원들끼리의 의견 불일치 등이 아직까지 민주당이 당론을 못내놓고 있는 결정적인 배경이다.

 1차 조직책 발표를 놓고 야권인사들은 “이위원장의 통합의지가 의심스럽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조직책의 70% 가량이 이위원장과 金鉉圭부위원장의 주변 인물이라는 지적이다. 평민당 통추위가 김총재 측근 중심으로 협상대표를 선정하자 “오히려 그들을 잘 설득시키면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는 견해가 민주당 일부에서 나오고 있긴 하지만 여러 조건들로 볼 때 통합에 이르는 길은 산넘어 산이다.

 김총재는 통합이 거론되자 민주당을 겨냥해 “집권당의 공작정치 가능성”과 “지역감정타파”를 유난히 강조하고 있다. 어쩌면 이 두가지가 단일야당 탄생의 가장 큰 장애물일 수도 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