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지능교통’ 시대
  • 강용석 기자 ()
  • 승인 1995.01.19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진국들, ‘기능도로’등 첨단시스템 개발 박차…한국도 93년부터 연구

이제 도심의 교통 체증은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이나 똑같이 치러야 하는 공통의 문제가 되었다. 세계 주요 도시는 어디나 시간대 구분 없이 전천후 체증을 보인다. 이에 따라 나라마다 홀짝수 운행, 도심 진입통제 등 온갖 지혜를 짜내 대처하고 있으나 어느 것도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도로를 넓히는 데는 한계가 있는 반면 자동차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체증의 대가는 시간·자원 낭비에다 짜증스러움. 자동차 매연등 심각하다. 21세기에는 교통 전쟁이 더 심해질 것이다. 그렇다고 대책 없이 당할 수만은 없는일이다. 선진국들은 첨단 교통 기술로 이를 극복하려 노력한다.

 지난해 12월 초 프랑스 파리에서는 유럽 국가들과 일본·미국 등의 교통문제 전문가 2천여 명이 참석한 제1회 교통첨단기술 세계대회가 열렸다. ‘기능 교통 시스템을 향하여’ 란 주제로 열린 이 대회에서는, 21세기 교통기술과 앞으로 공동개발할 방향도 제시됐다. 이 자리에서 유럽연합은 85년부터 연구해온 첨단 교통 체계(ATT)프로그램 개발에 2010년까지 총 64조 원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했고, 미국은 21세기에 해마다 8조원을 첨단 도로 교통 체계인 IVHS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회에서 강조된 21세기 기술 가운데 하나가 ‘기능 도로’이다. 기능 도로는 새로운 도로가 아니라 기능 자동차가 기존 도로를 운행하면서 자동차 내에 있는 컴퓨터, 인공위성 수신 장치, 전자 지도 등 지능적인 도로관제 시스템에 의해 조작되는 첨단 기술을 뜻한다.

 그 첫 단계는 차량에 부착된 모니터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가장 빠른 길과 소요 시간, 교통 상황 등을 운전자에게 정확히 알려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통 체증, 교통 사고, 운전자의 피로 등 많은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다음 단계는 차량에 고성능 센서와 자동제어 장치를 달아 아예 자동차가 스스로 운전하게 하는 것이다. 거시적으로는 도로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고 미시적으로는 운전자에게 편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일본·독일에서는 내년부터 실용화

 이같은 시스템이 실제로 상품화·실용화하는 시점은 오는 96년으로, 처음 선보일 곳은 일본과 독일이다. 일본은 ‘ARTS’라 불리는 첨단 도로교통 장치를 도쿄·나고야·오사카에서 시범 운행할 계획이다. 일본은 이미 ‘코스 안내시스템’을 개발했는데, 이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차량의 현재 위치를 추적해서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 진행할 코스를 알려주는 첨단 방식이다. 여기에 교통 혼잡상황을 시시각각 알려주는 기능을 첨가할 계획인데, 이미 70만대 이상의 시스템기기가 팔려나간 것으로 추산된다. 독일도 일본과 같은 시기에 주행 안내 장치를 가동할 계획이다. 이같은 시스템은 이미 시험 단계를 마치고 비용이나 관련법 정비 같은 부차적인 문제만 남겨 놓은 상태이다. 일본·유럽에 비해 출발이 늦은 미국은 자동차의 운행 간격을 좁히는 획기적인 자동 운전 기술 개발에 목표를 두고 막판 뒤집기를 노리고 있다. 한국은 93년 10월부터 IVHS를 도로 교통관리체계·도로교통정보체계·대중교통 및 화물정보체계·차세대 도로와 차량 제어체계 등 4개 분야로 구분해 연구하고 있다. 각 시스템은 96년과 97년에 기본 설계를 마치며 2005년부터는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IVHS 코리아 연구 기획단’ 의 연구 책임자인 이승환 교수(아주대·교통공학과)는 “다음 세기에는 첨단 도로 교통 체계가 없는 자동차를 아예 수출할 수가 없다. 말하자면 첨단 교통 기술 개발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하나의 방법이다”라고 말했다.

 이교수는 또 21세기에는 도로 통행료도 자동으로 징수하고 심지어는 뺑소니 차량까지 거의완벽하게 근절할 수 있는 ‘지능 교통 사회’가 창조될 것이므로 국가 차원의 연구 개발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姜龍錫 기자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