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는 ‘줄줄’ 대책은 ‘쩔쩔’
  • 정우택 (언론인·전 헤럴드경제 국장) ()
  • 승인 2007.08.27 11:1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자력연구원, 우라늄 또 분실…인근 주민들 “불안해 못 살겠다”

 

“정신이 나갔지. 세상에 잃어버릴 것이 없어 그 위험한 우라늄을 잃어 먹어. 우라늄이 만약 퍼런 돈이었어봐 어느 놈이 그걸 쓰레기통에 집어넣겠나.”
원자력연구원의 우라늄 분실 사고가 터진 후 대전시 유성구의 한 시민이 “우라늄 관리가 개탄스럽다”라며 한 말이다. 원자력연구원의 안전 불감증과 해이한 정신 상태로 인한 화재와 우라늄 분실 사고, 피폭 사고 등으로 원자력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 받고 있다. 연구원 주변 유성구 주민들이 공포에 떨고 있으나 연구원은 확실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안전하다’ ‘환경과 인체에 무해하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지난 5월 14~15일 원자력연구원에서 2kg의 우라늄이 분실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했다. 열흘이 지나도록 누가, 어떻게 잃어버렸는지조차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그저 실험실 개조 과정에서 ‘누군가의 실수’로 ‘우라늄이 쓰레기통에 버려졌을 것’이라는 연구원의 궁색한 해명이 고작이다. 연구원은 유출된 우라늄이 사람 몸에 해를 미칠 가능성은 ‘0%’라고 주장했다. 잃어버린 우라늄은 10% 농축 우라늄 0.2g과 천연 우라늄 1.9kg, 감손 우라늄 0.8kg, 전자총 가열용 구리 도가니가 들어 있는 우라늄 시료 상자 등이다. 5월17일 신탄진 폐기물 집하장으로 옮겨진 뒤 경기도 안산의 폐기물 소각장으로 보내졌다는 것이 이후 알려진 내용의 전부이다.
연구원들의 안전 불감증은 정말 어이가 없을 정도이다. 더구나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시료 보관 상자가 없어진 것을 파악했다니 기가 막힐 일이다. 일반 쓰레기 소각장에서 태워진 것인지, 제3자가 의도적으로 빼돌린 것인지 분실 경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우라늄은 원자력 발전의 원료로 농축 비율을 높이면 핵폭탄의 원료로도 쓸 수 있는 위험한 물질. 다행히 이번에 분실된 우라늄으로는 핵무기를 곧바로 만들 수 없다. 농축도가 90%, 양이 10kg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라늄이 테러 집단에 들어간다든지, 지금처럼 작은 사고가 계속 터지다 보면 ‘재앙’에 가까운 사고가 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 견해이다.
이번에 잃어버린 우라늄은 연구원이 2000년 분리 실험을 통해 뽑아냈다가 IAEA가 사찰까지 한 뒤에 터진 사고여서 파문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IAEA 사찰 대상 물질이 없어진 것은 원자력 안전망이 얼마나 허술하고, 연구원이 안전 불감증에 빠져 있다는 사실을 잘 말해준다. 국제적 망신이 아닐 수 없다.
연구원의 ‘정신 나간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4년 IAEA 사찰을 받기 하루 전에 우라늄이 없어진 사실을 알고 기절초풍했다. 실험용 금속 우라늄 1백50Kg이 1백34Kg으로 줄어들었다는 것을 나중에야 안 것이다. 그때 우리나라는 우라늄을 분리 추출한다는 이야기가 있어 IAEA 사찰을 받게 되어 있었다. 연구원은 이에 대해 우라늄을 자르는 과정에서 로스(loss)처리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2004년에도 우라늄 16kg 사라져
같은 해 4월에는 삼중 수소의 대기 방출 사고가 터졌는데도 쉬쉬했다. 결국 민주노동당 조승수 의원의 폭로로 알려졌다. 4월 말~5월 초 7일 동안 중수가 흘러나왔고 누출 방사능이 평균치보다 22배나 높았다. 연구원은 한 달간 이를 숨기다 5월 말이 되어서야 과학기술부에 보고했다.  

 
2005년 5월에도 방사능 물질 누출 사고가 있었다. 원인은 안전 불감증. 방사능 물질인 ‘요오드 131’ 등을 걸러내기 위한 활성탄 여과기를 합격 기준 미달 품목으로 설치한 것이 화근이었다. 과기부는 활성탄 여과기의 누설 측정치가 허용치(0.05%)를 10배나 넘는 0.5%에 이르는 불량품으로 밝혀냈다. 방사능 물질이 두 달 동안 대기로 누출되었다는 얘기이다.
2006년 10월에는 원자로 주변 실험실에서 불이 나기도 했다. 당연히 방사성 물질이 흘러나왔고 주민들은 불안에 떨었다. 한 달 뒤인 11월, 연구원 한 명과 용역 직원  한 명이 작업절차를 무시하고 작업하다 방사능에 피폭되는 사고가 터졌다.
올 1월 원자력연구원의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가 사고·고장 등급 1등급을 받았다. 지난해 10월에 있었던 하나로 부속 시설 화재와 11월의 피폭 사고 등을 들어 사고 재발 방지 및 경각심 고취 차원에서 내려진 경고성 조처이다. 등급이 높을수록 사고와 피해가 크다. 1986년의 옛 소련 체르노빌 원전 사고는 7급, 1986년 미국 드리마일 원전 사고는 6급이었다. 연구소원측은 “부속 시설에서 난 불로 사고·고장 등급을 올리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라는 입장을 보여 대전 시민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늘 안전을 강조하는 연구원에서 툭하면 사고가 터지자 지방자치단체인 유성구가 직접 나섰다. 유성구는 성명을 내고 항구적인 안전 대책을 마련할 것과 원자력 관리 상태에 대한 ‘국정감사’를 요구했다. 자치 단체가 관내 국가 기관에 대해 국정감사를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주민들의 불안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원자력연구원 주변 주민들은 지난 8월13일 연구원을 항의 방문해 “주민들이 심한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라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주민들은 그러지 않으면 원장 퇴임과 연구원 이전 운동을 벌이겠다고 경고했다. 
유성구민 박 아무개씨(45)는 “사고 때마다 연구원은 ‘피해가 없다’ ‘안전하다’고 노래를 부르지만 주민들이 느끼는 불안감과 공포는 말로 다 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대전에서는 얼마 전 ‘원자력 안전망 구축을 위한 시민대책위원회’가 발족해 원자력 시설에 대한 감시에 나섰다. 하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다. 피부에 와 닿는 대책보다 관련 연구 기관의 보고와 해명을 위한 자리로 전락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