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도 초조대장경 가졌다”
  • 이석 (ls@sisapress.com)
  • 승인 2008.06.09 15:4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보 지정 연기되면서 해외 유출 잇달아…전문가들 “있는 것부터 지켜야” 한목소리
▲ 서울 인사동에서는 고문서를 사고 파는 모습을 종종 목격할 수 있다. ⓒ시사저널 박경호

한·일 양국의 소유권 분쟁으로 번지고 있는 초조대장경본이 언제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었는지, 어떤 경로를 통해 다시 국내에 돌아오게 되었는지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고 있다. 지난 1990년대 중반 ‘대전부르스’로 불리던 대구의 수집상 조 아무개씨에 의해 국내에 처음 유통되었다는 것이 확인된 내용의 전부다.

미술평론가 김호년씨는 “국내에 유입된 초조대장경본 5백여 권 정도가 조씨에 의해 은밀히 유통된 것으로 알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보로 지정된 3권이 유상옥 코리아나 회장에게 넘어가게 되었다”라고 설명했다. 고문서 전문가인 천혜봉 성균관대 명예교수도 “초조대장경본이 국내에 넘어온 배경에 대해 논란이 있다. 그러나 정확한 루트는 확인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문제의 초조본이 고려 때 인물인 허진수가 망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경남 김해 서백사에 6백 질을 보관한 것이라고 확인했다. 초조본 말미에 한자로 ‘허진수 발원문’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이 그 증거다. 당시 허진수는 6백 질 모두를 모으지 못했다. 때문에 일부 모자란 부분은 손으로 직접 써서 보충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에 유통된 초조본 중에서 수기본이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국내 유입 초조본 권당 최고 2억원대에 거래되기도

이 초조대장경본은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지만 왜구들의 손을 통해  일본으로 건너가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일본 내 여러 절을 거쳐 현재의 안국사에 보관되어 있다가 다시 고국으로 돌아오게 된 것이다.

일각에서는 국내에 있는 이 판본의 경우 도굴꾼이 일본에서 훔쳐온 것으로 보기도 한다. 한 고미술상은 “국내에 있는 유명한 도굴꾼이 이 초조본을 안국사에서 훔쳐왔다는 이야기가 있다. 안국사측이 도난 신고를 한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라고 귀띔했다. 그러나 국내 전문가들은 도난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오히려 누군가가 돈을 노리고 일본에서 한국으로 밀반입했을 개연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들은 그 근거로 일본 안국사에 1백여 점이 남아 있는 점을 들고 있다. 천혜봉 교수는 “초조본이 보관되어 있던 안국사는 주지 스님과 지역 공무원이 동시에 열쇠를 사용해야만 열 수 있다. 도난 흔적이 없어 현지에서 돈을 노리고 일부러 유출시켰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초조본이 국내에 유입되었을 당시 거래 가격은 권당 1억원을 호가했다. 국보로서 가치가 있기 때문에 일부 수기본은 2억원 가까이 거래되었다. 그러나 최근 국보 지정이 무기한 연기되면서 가격은 10분의 1 토막이 나다시피 했다. 현재는 2천만~3천만원 정도에 거래 중이다.

김호년씨는 “지난 1997년 이후 한 건도 추가로 국보 지정이 되지 않으면서 현재는 가격이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다. 일부는 일본 등 해외로 다시 유출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는 일본 조총련을 통해 북한으로 건너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씨는 “확인된 사실은 아니지만 조총련 쪽에서 값싸게 매입한 초조본 45권을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선물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라고 귀띔했다.

문화계 안팎에서는 현재 국내에 있는 초조대장경본의 국보 지정이 미루어지고 있는 데 대해 안타까움을 표시하고 있다.

김호년씨는 “초조본은 1988년과 1995년 국보로 지정될 정도로 높은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문화재 지정 등 보호 장치가 없어 다시 해외로 유출될 염려가 있다. 해외에 있는 문화재를 되찾는 것보다 있는 것을 지키는 것이 더 시급하다. 국보 지정 작업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