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잔치'로 쪼그라든 지역 축제를 어찌 하리
  • 이은지 (lej81@sisapress.com)
  • 승인 2008.09.30 15:1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월1일 진주 유등축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지역 축제의 계절이 돌아왔다. 현재 전국에 열리고 있는 지역 축제만도 줄잡아 1천개에 달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축제를 홍보 수단으로 인식하면서, 만들고 보자는 식으로 축제를 늘려나간 결과이다. 축제는 넘쳐나고 콘텐츠는 없고 하니 전통 먹을거리와 민속 상품 판매가 주를 이루는, 그 나물에 그 밥인 축제뿐이다. 홍보는 그럴싸한데 정작 축제 현장에 가보면 전에 가본 듯한 느낌이 들 정도이다. 그동안 언론을 비롯해 전문가들은 줄곧 지역 축제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통·폐합을 단행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이런 지적을 받아들인 경상남도는 최근 시·군의 축제 통합 계획에 대해 인센티브를 주겠다고 공언하고 나섰다. 시·군의 우수 축제 가운데 4개를 선정해 우선 지원하는 방안도 계획 중이다. 3백50개의 축제가 열리는 경기도는 올해 초부터 대표 축제 10개를 선정해 집중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이보다 앞서 경상북도는 2006년부터 통·폐합을 단행해 1백15개 축제를 올해에는 52개로 줄였다.

하지만 난립하는 지역 축제를 줄인 것만으로 경쟁력 향상을 기대할 수는 없다. 축제의 기획과 준비가 모두 관 주도로만이루어진다는 점, 타깃을 정하지 않은 채지나치게 많은 프로그램을 선보여 특색을 찾기 힘들다는 점 등 개선되어야 할 것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

성공한 축제에는 그만한 비결이 있다. 세계적인 축제로 인정받는 프랑스의 아비뇽 축제는 재정과 기획, 운영의 철저한 분리로 수준 높은 축제로 거듭날 수 있었다. 국가나 지자체 대표로 구성된 이사회가 재정과 기획을 담당하지만, 운영은 전문성을 겸비한 예술 감독과 행정 국장에게 일임한다. 스페인의 토마토 축제나 영국 에딘버러 프린지 축제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대중성을 무기로 성공한 사례이다. 지역축제를 동네 잔치로 전락시킨 지자체 공무원들의 발상 전환이 요구된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