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을 수 있었는데…
  • 반도헌 (bani001@sisapress.com)
  • 승인 2009.07.14 17:3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대응시스템 시범운영 중이었다”

▲ 서울 송파구 가락동에 위치한 인터넷침해사고대응지원센터. ⓒ연합뉴스
정보보호 정책 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은 지난해부터 DDoS 공격에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주요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의 인터넷망 연동 구간에 DDoS 대응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정부가 연결망 구축에 대한 예산을 지원하고 각 업체와 이상 동향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12월 SK브로드밴드, LG데이콤, SK네트웍스 등 인터넷서비스프로바이더(ISP) 3개사를 대상으로 대응시스템을 구축해 시범운영에 들어갔고, 2009년에는 네 개 업체를 추가해 모두 7개 ISP가 참여하는 대응시스템이 가동되고 있다.

사업 예산으로 2008년 20억원이 집행되었고, 2009년에는 29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집행하고 있다. 해킹바이러스 대응 체계를 위한 KISA의 총 예산이 2008년 1백1억9천4백만원, 2009년 1백33억7백만원이니 전체의 20%가 넘는 예산을 DDoS 공격을 막아내는 데 사용한 것이다. 정부가 DDoS를 이용한 사이버 테러의 가능성과 위험성에 대해 인지하고 이를 막아낼 체계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7개 ISP와 이상 동향 정보 공유해

하지만 막상 DDoS 공격이 현실로 닥치게 되자 정부와 민간 모두 적절한 대응을 해내지 못했다. DDoS 대응체계 시스템이 문제가 있거나, 사이버 공격을 막아내기에 충분하지 못한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 네트워크정보보호팀의 정재훈 사무관은 “각 ISP들의 전 연동구간에 DDoS 대응시스템을 구축했다면 이번 사이버 테러에 대한 대응과 통제가 가능하겠지만 DDoS 대응체계 시범 사업은 일부에 국한된 것이었기 때문에 완전 봉쇄는 어렵다. 그래도 이번에 이상 징후를 탐지하는 데 일정 부분 기여를 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DDoS 대응시스템을 완벽히 구축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 KISA의 시범 사업 대상이 7개 ISP에 불과하고 그나마도 일부 연결망에 국한된 것은 이 때문이다. 정부의 예산이 투입되는 것은 각 ISP사의 장비를 연결하는 부분에 국한되고 실제 장비를 갖추고 소유하는 것은 ISP의 몫이다. 설비투자에 적극적인 민간업체들의 동참이 필요하다. 정재훈 사무관은 “시스템 구축비용을 국가가 전부 지원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의문이다. 정부 차원에서 시드머니를 줘 효과성을 입증하면 민간업체가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이라는 것이 시범 사업의 취지이다. 직접적인 투자설비가 어려운 영세업체들에 대해서는 지원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사이버 테러로 인해 정보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정부와 민간 모두 정보 보호를 위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 DDoS 대응시스템 구축에 연간 20억원을 조금 웃도는 예산만이 투입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그나마 DDoS를 위한 예산은 KISA 예산의 20% 정도라도 되었다. DDoS 말고도 정보 보호를 위협하는 요소가 많이 있는 상황에서 사이버 테러 대응책 전반에 대한 예산 확충이 필요하다. 보안업체 하우리(www.hauri.co.kr) 기술연구소의 장상근 연구원은 “네트워크가 잘 발달되어 있는 한국의 현실에서 이 정도의 예산으로는 부족하다. 앞으로도 다양한 공격 기술 등을 통해 더 많은 사이버 테러가 일어날 것이 예측되므로 더 많은 예산이 확충되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