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만 차별하나?”
  • 안성모 (asm@sisapress.com)
  • 승인 2010.06.08 14:2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승근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기획조정실장 인터뷰

         ⓒ시사저널 윤성호
전문대교협에서 ‘100만명 서명 운동’을 총괄하고 있는 이승근 기획조정실장은 “전문대학과 관련한 정책에 대해 건의를 해도 반영이 되지 않고 있다. 서명 운동은 전문대학이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한번 돌아봐달라고 정부에 요청을 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실장은 “현재 구조에서는 직업 교육의 중추적인 기능을 해 온 전문대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에게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라고 밝혔다.

수업 연한 다양화는 일반 대학과의 구분을 폐지하려는 것 아닌가?

전문대학 모든 분야가 4년 과정을 하겠다는 것이 아니다. 보건 계열과 유아교육 분야는 같은 자격과 면허, 직무를 가졌지만 현장에서 차별을 받는다. 또, 산업 현장에서 융합된 기술의 전문 인력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특정 학과에서만 4년간 수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학생 모집을 쉽게 하려고 그런다는 우려가 있는데, 그런 식으로 일반 대학과 경쟁해서는 성공할 수 없다.  

정부 내에서는 전문대학 개혁이 거론되고 있다.

정부에서 말하는 기능 인력은 이전 산업화 시대에서 요구하던 인력이다. 구시대적인 사고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청년 실업 문제가 어디에서 발생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고학력 인플레이션이 어디에서 생기는가? 4년제 일반 대학이다. 그런데도 전문대학 정원은 줄이고 일반 대학은 오히려 정원을 늘리고 있다. 과잉 공급에 과잉 투자를 하는 정부의 정책은 변해야 한다. 정부 투자가 오히려 시장의 왜곡을 가져오고 있다.

교과부 내에 전문대학정책과 이외에 대학 공통 지원 부서도 있지 않나? 

전문대학과 관련한 정책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과는 한 개뿐이다. 일부 공통 지원 부서가 있다고 하지만, 실제 내용은 4년제 일반 대학 위주이다. 전문대학을 지원하는 정책이 나올 수 없는 구조이다.

전문대학 내부의 자정 노력도 필요하지 않나?

물론이다. 투명 경영과 윤리 경영을 하지 않으면서 정부에 요구를 한다면 자가당착이다. 그래서 지난해부터 투명한 학사 관리와 대학 운영을 위해 협의회 내에 윤리위원회를 구성했다. 전문대학 전체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피해를 입히는 경우 3년간 자격을 박탈하고 그 내용을 대외에 공표할 것이다. 교과부장관에게도 해당 대학에 대한 제재 조치를 요구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서명 운동 이후 계획은 무엇인가?

정부를 비판하는 차원이 아니라 전문대학이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 이런 부분이 필요하다고 건의를 하는 것이다. 7월4일 서명이 완료되면 건의 사항을 청와대와 정부, 국회에 전달할 예정이다. 학문 연구 중심의 일반 대학과 직업 교육 중심의 전문대학 두 축 중 하나를 없애버리지 않겠다면 균형을 맞추어 나가야 한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