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개들의 ‘저승사자’아무르불가사리
  • 박수현│국제신문 사진부 차장 ()
  • 승인 2010.12.27 15:4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촬영 장소│경북 영덕군 연안

수온이 낮아지면서 아무르불가사리들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외래종인 아무르불가사리는 캄차카와 홋카이도 등 추운 지역에서 건너온 종으로 찬물을 좋아한다. 여기에서 아무르라는 이름은 아무르 강(중국 흑룡강의 러시아 말) 주변 지역이 이들의 고향임을 의미한다.

아무르불가사리를 물속에서 보면 소름이 끼칠 정도의 크기(큰 놈은 길이가 40cm에 이르는데 물속에서는 빛의 굴절로 실제보다 25% 정도 크게 보인다)에 희거나 누르스름한 몸체 위에 얼룩덜룩한 무늬가 나 있어 상당히 혐오스럽다. 또한 까칠하고 딱딱한 몸체는 건드리기 거북할 정도이다. 이들은 이동할 때 안테나를 세우듯 몸의 중심부에서 뻗어나간 다섯 개의 팔을 위로 들어 올려 끝에 있는 안점(眼點)으로 주변을 살핀다. 안점은 사물을 분간할 정도의 충분한 시력을 가지지는 못했지만 어느 정도 시각적 정보를 수집할 수는 있다. 불가사리는 안점으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먹이가 있는 방향으로 기어간다. 일단 먹잇감에 다다르면 다섯 개의 팔로 조개를 감싼 후 팔 밑에 무수히 붙어 있는 관족으로 압박을 가하는데, 조개가 불가사리의 힘을 견디지 못해 틈을 조금이라도 벌리면 불가사리는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이때부터 반투명한 젤라틴 형태의 위장을 뒤집어 틈새로 밀어넣는데 패각 속으로 스멀스멀 침투해 들어간 위장은 소화 효소를 뿜어 조갯살을 녹여 흡수하기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조개는 빈껍데기만 남는다.

무차별적 포식자인 아무르불가사리 떼가 지나간 곳에는 살아남은 조개가 없을 정도여서 말 그대로 싹쓸이를 하고 지나간다는 표현이 적절하다. 관찰 결과에 의하면 성숙한 아무르불가사리 한 마리가 하루 동안에 멍게 4개, 전복 2개, 홍합 10개를 거뜬히 먹어 치운다고 한다. 바닷속에서 몸이 불룩하게 솟아 있는 아무르불가사리를 뒤집어보면 조개를 움켜쥔 채 위장을 밖으로 내민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