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를 교통 체계에 포함시켜야 지구가 산다”
  • 노진섭 (no@sisapress.com)
  • 승인 2011.10.16 16:3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레스터 브라운 지구정책연구소 소장

ⓒ시사저널 윤성호

레스터 브라운 지구정책연구소 소장은 토마토 농사꾼 출신이다. 지금은 세계 3대 환경 문제 석학으로 통한다. 식량 문제를 고민하다가 환경 문제 전문가로 거듭난 브라운 소장은 자전거를 교통 체계에 포함시킬 것을 주장했다. 이를 ‘감자 연비’로 설명했다.

“1t짜리 자동차는 휘발유 연비가 10Km 정도이다. 10kg짜리 자전거는 휘발유가 아니라 사람이 연료인데, 감자 한 알 정도로 11Km를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효율이 이렇게 높은 자전거를 교통 체계에 포함해야 한다. 단순한 여가 활동 수단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말이다. 뉴욕·워싱턴·파리 등 대도시는 이미 자전거를 포함한 교통 체계로 재편하고 있다. 지하철역마다 자전거를 두어 신용카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른바 자전거 공동 이용 제도이다.”

`이와 같은 실천법을 강조하는 이유는 에너지 정책을 세울 때 효율성을 따지라는 것이다. 화석연료의 효율성이 가장 떨어진다고 한다. “화석연료를 쓰는 발전소의 발전량은 5천MW(메가와트)가 최대이다. 원자력은 8천MW이다. 미국 텍사스에 있는 풍력발전소는 1만MW의 전기를 생산하고, 중국은 3만8천MW급 풍력발전소를 만들고 있다. 탄소 배출이 없는 풍력발전이 효율성도 뛰어나다. 한국과 일본은 원자력발전에 친화적인 국가이다. 원전 폐기물 처리 비용뿐만 아니라 수명이 다해 폐기할 때도 원전을 새로 건설하는 비용만큼이 필요하다. 게다가 일본 후쿠시마처럼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그 복구 비용이 상상을 초월한다. 원전 사고를 보상하는 보험 상품이 없는 이유이다. 이런 비용은 고스란히 국민에게 전가된다. 세금 고지서에 ‘원자력발전비’라고 표기되지 않지만, 납세자가 모르는 사이에 그 비용을 내고 있는 셈이다.”

그는 현재 환경 문제의 시급함을 ‘벼랑 끝에 선 지구’라고 표현했다. 지금 당장 환경 운동을 실천할 때라는 말이다. “1941년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했다. 미국인의 45%가 전쟁을 반대했지만, 그 이후 95%가 전쟁을 지지했다. 국민의 지지를 받은 루즈벨트 대통령은 무기 생산에 집중했다. 항공기 6만대를 만들 목표였는데 22만대나 생산했다. 그것도 몇 달 만에 자동차 생산 체제를 무기 생산 체제로 바꾸어 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했다. 환경 운동도 실천하면 단기간에 목표를 뛰어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국인은 과거 민주주의 운동으로 정치 체계를 바꾸었고, 가족계획으로 인구 증가율도 낮추었다. 한국인에게는 환경 문제도 해결할 저력이 있다고 믿는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