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식하게 무조건 박살 내지 않아
  • 허남웅│영화 칼럼니스트 ()
  • 승인 2013.09.04 15: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엘리시움>에서 지적인 전사로 변한 맷 데이먼

퀴즈 하나를 먼저 풀어보자. 페이스북의 창시자 마크 저커버그를 다룬 영화 <소셜 네트워크>(2010년)에는 이런 대목이 나온다. 당시 페이스북에 수억 명의 친구, 즉 회원에 가입하면서 스타가 된 저커버그(제시 아이젠버그)는 하버드 대학 재학 시절 가장 친한 친구였던 왈도(앤드류 가필드)에게 거액의 소송을 당한다.

페이스북이 세계적으로 히트를 치자 회사 내의 역할을 두고 파트너십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이에 왈도는 저커버그를 고소하는데 그때 변호인은 페이스북으로 마크가 얼마나 유명해졌느냐고 묻는다. 답하기를 “노벨상 수상자 19명, 퓰리처상 수상자 15명, 영화배우 1명보다 더 학교에서 유명해졌죠.”

ⓒ 소니픽쳐스 제공
여기서 말한 그 영화배우는 누굴까. 바로 맷 데이먼이다. 하버드 출신이라는 사실이 특별한 감투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맷 데이먼은 지적인 배우 이미지로 할리우드에서 새로운 영웅상을 확립했다. <본 슈프리머시>(2004년)와 <본 얼티메이텀>(2007년)이 결정적이었다. 그 이전까지 액션 스타라고 하면 실베스터 스탤론, 아널드 슈워제네거, 브루스 윌리스처럼 울퉁불퉁 건장한 몸과 육중한 화기를 앞세운 ‘하드 바디(Hard Body)’가 대세였다.

그에 반해 <본> 시리즈의 맷 데이먼은 무식하게(?) 맨몸으로 적과 맞서지 않는다. 수건으로 팔을 감싸 나이프 공격을 막고 손에 잡히는 책으로 상대방의 목을 가격하는 등 머리를 쓰거나 도구를 활용하는 등의 지능형 전사의 모습을 선보인다.

1980~90년대의 액션 스타들이 부담스러울 정도의 근육을 앞세웠던 건 세계 경찰국가 미국의 강인함을 부각하기 위한 할리우드의 정치적 술수였다. 그러는 동안 냉전 시대 미국의 주적이었던 소련은 무너졌고 걸프전을 통해 이라크의 후세인이 축출됐다. 그렇게 눈앞의 적이 없어지자 하드 바디 액션 스타들은 급격히 몰락했고 할리우드는 내부로 눈을 돌려 자신의 시스템이 지닌 결점을 폭로하기 시작했다. <본> 시리즈처럼 국가의 제도화된 폭력이 지닌 부도덕성을 공격하는 영화들이 등장했고 그 과정에서 강한 몸 대신 이성과 감성이 돋보이는 맷 데이먼이 반(反)영웅으로 각광받기에 이르렀다.

황폐한 먼 미래의 지구가 배경

<엘리시움>은 시스템에 저항하는 맷 데이먼의 이미지를 가장 전형적으로 활용한 경우다. ‘낙원’을 의미하는 <엘리시움>은 1%의 부자와 99%의 빈자가 완전히 분리된 2154년을 배경으로 한 SF(공상과학)물이다. 지구의 환경이 최악으로 치닫자 부자들은 지구를 떠나 우주에 엘리시움을 건설한다. 그리고 전투 로봇을 만들어 지구에 남은 사람들이 엘리시움으로 건너오지 못하도록 철저히 감시한다. 맥스(맷 데이먼)는 어린 시절부터 하늘에 별처럼 빛나는 엘리시움을 동경했지만 1%에 끼지 못해 성인이 돼서도 구질구질한 현실을 피할 길이 없다.

쓰레기로 넘쳐나는 도시, 출근 시간에 조금 늦기라도 하는 날엔 일당이 반으로 깎이는 굴욕적인 공장 노동자 생활. 시궁창 같은 현실을 벗어날 기회가 우연처럼 찾아온다. 기회라는 표현이 무색하게 공장에서 실수로 방사능에 노출되면서 맥스는 엘리시움으로 반드시 가야만 하는 이유가 생겼다. 병원이 부족하고 의료 체계가 엉망인 지구와 달리 엘리시움에는 그의 병을 치료할 수 있는 첨단 의료기기가 있었던 것. 맥스는 지하조직 보스의 도움을 얻어 불법적으로 엘리시움에 잠입한다.

SF는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가 배경인 탓에 자칫 허무맹랑한 이야기로 보이지만 실은 미래를 우회해 현실을 풍자하는 장르다. <엘리시움>도 황폐한 먼 미래의 지구라는 가정을 세웠지만 기저에는 미국 의료 체계의 허약함이라는 현실이 이야기의 뼈대를 이룬다.

이는 선동가로도 유명한 마이클 무어가 <식코>(2007년)에서 다룬 주제이기도 하다. 비싼 치료비를 감당하지 못한 미국인들이 자국을 떠나 모든 의료 서비스가 무료인 쿠바에서 낙원을 경험한다는 메시지는 <엘리시움>의 주제와 일맥상통하는 것이기도 하다. 맷 데이먼은 “빈부 격차는 물론 미국의 의료 개혁이라는 메타포를 다룬다. 미래가 배경이지만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공명을 남겨줄 수 있는 영화”라고  말한다. 최근 그는 깨끗한 물과 위생시설이 없어 죽어가는 아이들을 위해 ‘워터’(www.water.org)라는 단체를 공동 창설해 제3세계 개발도상국에 깨끗한 물과 위생시설을 공급하는 일을 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이상향을 동경했던 <엘리시움>의 맥스처럼 맷 데이먼은 현실에서의 엘리시움을 꿈꾸는 그야말로 시대의 영웅이라 할 만하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