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회장’은 이제 안 나온다
  • 이한구│수원대 경제금융학과 교수 ()
  • 승인 2013.10.08 13:3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웅진·STX 등 창업 신화의 몰락…50대 부자 중 세습이 78% 달해

네 번의 가출. ‘왕회장’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자의 화려한(?) 청소년 시절 이력이다. 정주영은 1915년 강원도 통천의 궁벽한 시골에서 부지런한 농사꾼의 장남으로 출생했다. 그는 소년기를 통과하면서 가난한 농부 대신 도시에서의 입신출세 꿈을 키웠다. 보통학교를 졸업한 직후인 14세 때 친구와 함께 함경도 청진으로 처음 무단가출한 이후 무려 세 차례의 집 떠나기를 감행했으나 모두 불발로 끝났다. 부모님의 간곡한 만류 때문이었다.

“정주영, 동아시아 유교 자본주의 상징”

그럼에도 그는 또다시 고향 탈출을 도모해 18세 때 아무런 연고도 없던 서울에 도착했다. 그는 막노동판과 상점 점원 생활을 전전하는 등 각고의 노력 끝에 1947년 중구 초동에서 현대토건이라는 영세한 가게를 냈다. 이것이 오늘날 현대그룹의 모태다.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를 몸소 입증한 것이다.

그러나 근래 국내에는 ‘왕회장’과 같은 입지전적인 기업가가 나오지 않고 있다. 한때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던 나산그룹 안병균, 거평그룹 나승렬은 1997년 외환위기란 벼락을 맞아 문턱도 넘기 전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최근에는 봉급쟁이의 우상이었던 웅진 윤석금과 STX그룹 강덕수마저 위태롭다. 1945년생인 윤석금은 1971년 한국브리태니커의 서적 외판원으로 시작해 적수공권으로 1980년에 헤임인터내셔널(웅진씽크빅)을 창업해 2011년 기준 자산 총액 8조710억원의 웅진그룹으로 키웠다. 상호 출자 제한 기업집단 순위 38위로 공기업을 제외한 순위는 16위다.

STX그룹의 탄생도 극적이다. 강덕수는 1973년 쌍용양회 사원으로 입사한 후 27년 동안 재직하면서 재무·기획 일을 했다. 2000년 11월 국내 최대의 대형 엔진 제작업체이자 자산 규모 수천억 원대의 쌍용중공업 경영권을 강덕수는 사재 20억원으로 장내 매수 등을 통해 확보하고 2001년에 상호를 ㈜STX로 변경했다. 이후 지속적인 M&A 등을 통해 수직 계열화를 완성해 STX그룹은 2011년 21개 계열사에 자산 총액 21조9690억원으로 재계 서열 12위에 올랐다.

웅진과 STX가 사라지면서 재계 판도는 기존 재벌의 독무대로 변했다. 저성장 시대를 맞아 삼성·현대차·LG·SK 등 세습 재벌의 약진만 두드러졌던 것이다. 이런 추세라면 앞으로 뉴페이스는 아예 명함을 내밀지 못할 수도 있다.

국내에는 자수성가를 통해 당대에 ‘톱10’에 진입한 경우가 단 한 명도 없다. 최고 부자 순위를 50위까지 확대해도 세습 부자 비중은 무려 78%로 일본의 60%보다 월등히 높다. 과거보다 대물림 부자 비중이 크게 높아진 것이다.

세계 최고 부자 70%, 당대에 거부로 발돋움

외국은 어떨까. 블룸버그는 올해 세계 10대 거부를 선정했는데 1위는 멕시코의 통신 재벌인 카를로스 슬림이다. 1940년에 레바논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슬림은 26세에 부친에게서 받은 40만 달러로 사업을 시작해 세계에서 돈이 가장 많은 사람이 됐다. 기부 천사 빌 게이츠가 2위, 스페인 국적의 인디텍스 회장 아만시오 오르테가가 3위에 랭크됐다. 오르테가는 가난한 철도원의 아들로 태어나 13세부터 셔츠 가게 사환으로 사업과 인연을 맺은 후 자수성가해 패스트패션 ‘자라(ZARA)’를 세계 1위로 키웠다. 4위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은 1956년에 단돈 100달러로 주식 투자에 나서 현재는 세계 최고의 주식 투자 달인으로 대접받는다. 자린고비로 유명한 이케아 창업자 잉바르 캄프라드는 17세 때 사업에 투신한 이래 조립식(DIY) 가구 생산으로 5위에 올랐다. 미국 석유 재벌 코크인더스트리즈의 코크 형제가 각각 6위·7위, 시스템 개발업체인 오라클의 창업자 래리 엘리슨이 8위를 기록했다. ‘루이비통’으로 유명한 LVMH의 창업자 베르나르 아르노와 미국 최대 할인매장인 월마트의 상속녀 크리스틴 월튼이 각각 9위와 10위에 올랐다. 세계 10대 거부 중 ‘금수저’를 들고 태어난 이들은 코크 형제와 크리스틴 월튼 등 3명에 불과하다. 세계 최고 부자의 70%가 당대에 부를 일군 것이다.

일본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확인된다. 유니클로의 창업자 야나이 다다시는 1984년 부친이 운영하던 양복점의 점원으로 출발해 티셔츠를 팔아 일본 최고의 부자가 됐다. 한국계 교포 3세이자 소프트뱅크 창업자인 손정의가 3위다. 4위인 미키타니 히로시는 1997년에 엠디엠을 창업해 일본 최대의 인터넷쇼핑몰인 라쿠텐으로 키운 인물이다. 일본 10대 부자 중 세습 부자는 산토리의 사지 노부타다와 일본 부동산 거물인 모리 아키라(6위) 등 2명에 불과하다. 일본 최고 부자 10명 중 8명이 당대에 치부한 것이다.

일본을 비롯한 세계는 앙트레프리너(혁신적 기업가)에겐 여전히 신천지다. 그러나 한국은 더 이상 기회의 땅이 아니다. 신흥 재벌은 기초 체력부터 튼실하게 해야 한다는 평범한 진리를 외면한 채 몸집 불리기에 급급하다 퇴장했다. 외환위기와 금융 위기란 연이은 폭풍에 쓰러져버린 것이다.

국내 시장이 협소한 데다 진입 장벽이 높다는 것은 또 다른 이유다. 스타트업의 경우 홀로 설 수 있을 때까지 국내에서의 내공 쌓기가 필수인데 일정 규모 이상의 시장은 예외 없이 기성 재벌이 독과점 및 짬짜미(담합) 등으로 장악하고 있어 착근(着根)이 거의 불가능하다.

정부 역할이 한계를 보이는 것은 설상가상이다. 역대 정부는 막대한 규모의 해외 차관 지불 보증과 알짜 공기업 불하 등을 통해 기성 재벌의 성장을 촉진했다. 장기 저리의 융자 및 세금 감면은 물론, 독과점 혜택으로 신참 기업의 사기를 떨어뜨렸다. 경제력 및 시장 집중, 정경 유착, 부실 경영, 각종 기업 비리 양산은 개발 독재 체제의 당연한 귀결이어서 정부는 신흥 재벌에 매를 들 수밖에 없었다. 산업민주화와 개방화에 따른 투명 경영 압력은 또 다른 변수였다. 신생 기업을 키울 수 있는 무기들이 거의 사라진 것이다.

요즘 젊은이들은 스스로를 취업과 결혼, 출산을 포기한 ‘3포 세대’로 규정한다.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접은 것이다. 기업가 정신으로 무장한 청년 기업가가 생겨날 리 만무하다. ‘한강의 기적’은 온 국민의 염원이다. 그러나 ‘왕회장’ 정주영의 성공담이 단순한 신화(神話)로 전락할 수도 있어 답답하다. 

 

시대별 재벌 해체사 


1970년대

● 일제강점기와 이승만 시대 정경 유착 기업의 퇴조(삼호, 태창, 대한, 중앙, 동립산업).

● 중동 건설 붐을 타고 등장한 율산그룹·제세그룹·원기업이 중동 건설 퇴조와 함께 도산.

1980년대

● 국제그룹, 명성그룹, 동명그룹 해체

   -1970년대 두 차례에 걸친 석유 파동으로 신발·목재 등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의 채산성 악화로 경쟁력을 상실한 게 주원인.

   - 무리한 사업 다각화로 재무 구조 악화.

   - 관치 금융 체제에서 정치권과의 소원한 관계도 경영상 불리한 요인이 됨.

1990년대

● IMF 외환위기로 인한 재벌 대붕괴의 시대.

● 한보, 삼미, 진로, 대농, 기아, 뉴코아, 해태, 한라, 쌍방울, 수산, 극동, 청구, 나산, 동아, 거평 도산.

● 이 중 한보, 한라, 뉴코아, 수산, 거평, 나산, 청구그룹은 창업 20년 미만으로 1980~90년대에 공격 경영을 통해 사세 확장 추구한 기업들.

● 제2, 3금융권의 차입 비중이 높은 취약한 재무 구조가 특징.


 
 

▶ 시사저널과 정보공개센터가 주최하는 '제1회 정보공개청구 대회'에 좋은 자료를 보내주세요. 기사도 만들고 상금도 드립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