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폴크스바겐]③ 김필수 교수 “디젤차·수입차 상승세 주춤하고 친환경차 부상”
  • 박성의 기자 (sincerity@sisabiz.com)
  • 승인 2015.10.01 15:42
  • 호수 135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솔린 위주 미국과 디젤 기반 유럽간 세력 다툼으로 보는 시각도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폴크스바겐 사태가 디젤 산업 전반의 위기를 불러올 것이라 진단한다. / 사진 = 박성의 기자

전문가들은 폴크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문제가 일개 기업의 범위를 넘었다고 진단한다. 시사저널 경제매체 시사비즈와 인터뷰에서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이번 사건을 ‘언젠가 터질 고름’이었다 말한다. 일개 회사 비리에 그치지 않고 자동차 산업 전반의 문제였단 뜻이다.

“이번 사건은 이미 몇 년 전부터 예고된 사고였다. 환경과 연비 기준을 맞추기 위한 세계 자동차 업체의 편법이 이전부터 제기되고 적발돼 왔다. 언젠가 터질 고름이었다. 어느 자동차 회사도 자유롭지 못하다. 그래서 예전 도요타 리콜 사태와 달리 반사이익이 그리 크지 않을 전망이다.”

김 교수는 폴크스바겐 스캔들이 자동차 산업 지형도를 바꿔놓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번 사태가 가솔린 엔진 위주의 미국과 디젤 엔진 기반의 유럽 간 헤게모니 싸움으로 번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이번 사건으로 클린 디젤의 인식이 부정적으로 급변하고 있다. 주목할 점은 미국과 유럽의 자동차 산업 특징이다. 미국은 전통적으로 가솔린 기반의 국가다. 최근에는 클린 디젤로 무장한 유럽형 승용 디젤 차량이 진출하면서 자국 메이커와 보이지 않는 시장 싸움이 치열했다. 이번 사태가 미국과 유럽의 헤게모니 싸움이라는 언급도 나온다”

그는 또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이미 전체 차량 중 과반이 디젤 차량이고 수입 디젤차량도 70%에 이를 정도로 승용 디젤 차량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이 중에서 폴크스바겐 등 독일차량이 점유율 70%를 넘는 독과점 상태다. 유럽에 이어 우리나라도 디젤 차량에 대한 시장점유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인하여 판도가 뒤바뀔 수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폴크스바겐 스캔들로 인해 디젤 엔진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할 것이라 진단한다. 소비자의 인식 변화가 정책에도 영향을 줄 것이란 분석이다.

“이번 문제로 리콜 등이 이루어지면 하락하는 연비문제로 단체나 개인 소송이 예상된다. 또 추후 배기가스 저감장치 강화로 자동차 값도 올라갈 것이다. 따라서 디젤 차량은 점차 크게 위축될 것으로 판단한다. 또 서울시나 환경부가 작년부터 공청회를 열고 있는 LEZ(Low Emision Zone) 제도에 대한 논의도 앞당겨 질 것이다. 이 제도는 노후한 디젤 차량의 대도시 진입을 차단하는 제도다. 특히 환경개선 부담금 제도의 강화도 예상할 수 있다“

김 교수는 디젤 엔진의 수요 저하는 하이브리드차 같은 친환경차 보급을 앞당길 것이고 동시에 수입차 시장 전체가 침체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차 역시 이런 시류를 타고 친환경차 공세를 가속화할 것이란 분석이다.

“친환경차가 빠르게 보급될 전망이다. 일본 토요타가 생산하는 가솔린 기반의 하이브리드차와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가 시장 점유율을 늘릴 것이다. 전기차도 전위부대 역할에서 주력 기종으로 시장에 진입할 수있다. 또 국내 수입차의 점유율 상승세도 주춤할 것이다. 주력 기종인 디젤차량이 한계를 보일 듯하다. 현대차그룹도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등을 앞세워 공세를 강화할 것이 확실하다.”

김 교수는 이번 사태가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라고 전망하고 정부도 제도를 보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번 폴크스바겐 배기가스 조작문제는 단순히 지나가는 사건이 아닌 자동차 역사 130년 패러다임을 바꿀 기폭제로 작용할 것이다. 향후 진행 방향은 가늠하기 어려우나 디젤 차량의 위기임엔 틀림이 없다. 또 이번 사건을 계기로 자동차 검사 기준 역시 투명도가 높은 방향으로 강화해야한다. 미국식 징벌적 보상제는 아니더라도 벌금이 아닌 판매 중지 등 강력한 제제 방법을 구상할 필요가 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