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소비주, 화장품·의복 수혜 지속될 것
  • 성연주 |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마켓전략실 연구 (.)
  • 승인 2016.01.20 21:45
  • 호수 137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금융·경기 리스크, ‘성장통’ 겪는 과정일 뿐 과도한 우려 및 불안은 금물

최근 ‘중국 증시 리스크’가 세계 경제와 금융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이미 지난해 여름, 중국 증시는 급락(상하이종합지수 5166P→2920P)장을 연출하기도 했었는데, 재차 올해 초 조정국면(3650P~3000P)이 확대되는 모습에 시장의 불안과 우려는 커지고 있다. 더 심각한 것은 한국에까지 미치는 파장이다. ‘중국이 재채기를 하면 한국은 독감에 걸린다’는 말마저 나올 정도다. 특히 국내 증시는 중국과 관련된 업종·산업이 받는 타격이 크기 때문에 동반 조정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경기 리스크의 우려가 정말 심각한 상황인가. 우리 경기가 중국의 영향에 그렇게 직격탄을 맞을 정도인가. 최근 쏟아지는 중국발(發) 뉴스를 보면서 불안해하는 투자자들의 문의가 폭증하고 있다.

ⓒ AP 연합

결론적으로, 우리는 지금 중국 리스크에 대해 너무 과민하게 반응하고 있다. 지금 중국 증시 불안은, 물론 수급·환율·경기 등 변수도 상당 부분 영향이 있지만, 그보다도 우선적인 문제는 미성숙한 금융 시장 탓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 정부가 본격적으로 주식시장을 개방한 것은 2014년 11월 ‘후강퉁(상하이거래소-홍콩거래소 연계)’을 개설하면서다. 처음으로 해외 투자자들의 중국 본토 주에 대한 투자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후 중국 주식시장에서의 개인·기관 등 거래 규모가 증가했고, 정부도 투자자에 대한 규제 완화 정책을 실시하면서 지난해 상반기에는 중국 주식시장이 호황을 누렸다.

하지만 주식시장에 과도하게 자금이 몰리는 것을 우려한 중국 정부가 신용거래 등 자금 규제를 실시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지난해 8월에는 신용거래 반대 매매가 대규모로 출회되면서 중국 증시가 급락했다. 올 1월에는 ‘서킷브레이커’(장중 5% 급락 시 15분간 거래 중지, 거래 재개 후 7% 하락 시 당일 거래 중단)를 처음으로 도입했는데, 공포심리가 가중되면서 재차 중국 증시 조정 폭이 확대됐다. 이와 같이 주식시장이 불안한 상황에서 중국 정부는 부양 조치를 실시하며 노력했으나, 오히려 이게 금융 불안을 더 부채질했고, 설상가상으로 국유 지분이 많은 국영기업들은 오히려 주식시장에서 불법 매매를 실시하면서 부당 이득을 취하기도 했다. 결국 중국 정부는 이와 같은 주식시장 ‘성장통’을 겪으면서 경험한 대응 방안을 통해 주식시장 규제 조치와 함께 주식 불법 매매에 관련된 기관 인사를 정리하는 등의 강력한 시스템 관리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자주 언급되고 있는 중국의 ‘경기 리스크’에 대해서도 다소 지나친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사실 이미 몇 년 전부터 중국 경기의 ‘경착륙(급격한 성장 둔화)’ 혹은 ‘연착륙(안정적 성장 둔화)’ 문제에 대해 글로벌 시장은 주목하고 있었다. 즉 중국 정부의 산업 구조조정 속에서 경기 둔화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경기 하락 강도에 따른 의견은 여전히 분분한 상황이다.

매년 발표되는 중국 정부의 정책 방향성을 살펴보면 알 수 있는데(지난해 10월에 열린 18기 5중전회 ‘13차 5개년 계획(2016~2020)’), 2016년 중국 정부는 소비+금융+신성장 산업을 통한 경기 연착륙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 부양 정책(자동차 등) 및 금리·지준율 인하 등 통화 완화 정책을 통해서 경기 안정화 조치를 취할 예정이고, 비록 제조업 경기는 둔화되고 있으나 신성장 산업을 주축으로 하는 소비 회복으로 안정적 성장 기조는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중국이 자국의 ‘경기 리스크’에 대한 한국을 비롯한 해외 증시 반응을 두고 과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다. 금융 불안이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 중국 정부는 상하이종합지수 3000P 부근에서 증시 부양 정책 및 재정·통화 완화 정책을 실시하면서 방어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중국 증시의 추가 하락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 상반기에는 주식시장 정책 모멘텀이 유효한데, 중국의 중요 정부 회의 및 정책 이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3월 초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2016년 GDP 성장률 목표치 및 재정적자 폭 등 경기 현황·정책 실시 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선강퉁(선전거래소-홍콩거래소 연계)’ 실시 및 MSCI EM지수 편입(6월경)을 앞두고 있어 정책 모멘텀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최근 반복되고 있는 중국 금융 리스크에 어떤 대응 전략을 가져가야 할까. 비록 당분간 중국 증시 변동성 확대 국면은 지속되겠지만, 앞서 언급한 대로 중국 정부의 부양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중국 내에서 성장 동력이 큰 산업 중심의 중·장기 투자가 안정적이라고 판단된다. 우선 지난해 10월에 발표한 중국 ‘13차 5개년 계획안’을 살펴보더라도 향후 5년간 중국 정부는 ‘소비·금융·신산업’이 핵심 정책이 될 예정이다. 즉 1월부터 ‘전면적 2자녀 정책’ 및 ‘호적제도’가 실시되면서 2016년 중국 출생자 수는 약 200만~350만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중국 내 유아용품·전자상거래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국내의 분유·유아제품 업종의 전망은 긍정적이다.

또한 중국의 소비 핵심인 중산층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기존 국내 소비주, 화장품·의복 수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쇼핑 구매자가 증가하면서 택배 및 결제 시스템 등 부가 산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2015년 중국 택배 시장 증가율은 50% 정도다). 특히 화장품, 생활가전, 패션, 고급 식품 등의 업종은 ‘한·중 FTA’에 따른 무관세 및 무역 장벽이 해소된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그리고 신성장 산업으로 환경·온라인(스마트)업종도 부각되고 있다. 전통 산업을 자동화·스마트화하기 위한 산업로봇, 스마트 공작기계 생산 증가가 예상되는데, 2020년까지 로컬 산업로봇 시장점유율이 50%(2014년 28%)로 높아질 예정이기 때문에 관련 국내외 업종 수혜가 예상된다.

한편으로 중국 정부가 부진한 자국의 제조업 투자를 회복하기 위해 ‘공급(재고)’ 해소를 위한 부양 정책을 지속하고 있는데, 즉 과잉 산업(철강·조선·화학 등) 재고 해소를 위한 ‘일대일로(一帶一路, 중국 중심의 신실크로드 전략)’ 등 산업정책을 가속화할 것으로 판단한다. 비록 부동산 판매 및 가격 증가율이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신규 착공 등 투자 부진이 지속되고 있고, 투자 프로젝트는 대부분 중·장기적이기 때문에 실제 국내 관련 소재 업종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따라서 중국 금융·경기 리스크 변동에 민감한 소재·산업재 업종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관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