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럭스토어 대해부]① 헬스앤뷰티 스토어, 한국형 드럭스토어 뜬다
  • 김지영 기자 (kjy@sisapress.com)
  • 승인 2016.03.29 09:24
  • 호수 138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강식품·화장품 파는 채널로 주목..."차별화가 관건"
CJ올리브영을 시작으로 왓슨스, 롯데 롭스, 신세계 분스 등 주요 유통 기업들은 H&B스토어에 진출하며 한국형 드러그스토어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 사진=올리브영홈페이지

물 건너 온 드럭스토어(Drug store)가 한국에선 헬스앤뷰티(H&B) 스토어로 자리잡고 있다. CJ올리브영, 왓슨스, 롯데 롭스,신세계 분스 등 주요 유통 기업들은 헬스앤뷰티 스토어에 진출해 한국형 드럭스토어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헬스앤뷰티 스토어가 이름 그대로 국내외 건강식품이나 중저가형 화장품 브랜드를 판매하는 유통 채널 강자로 주목받고 있다.시장 형성 초기 더딘 성장세를 보였지만 국내외 소비자가 헬스·뷰티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 한국형 드럭스토어가 눈에띄게 성장하고 있다. 

헬스앤뷰티 스토어 업계는 올해 시장 규모가 1조2000억원을 웃돌 것으로 추정한다. 선발 업체는 매장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상품을 다양화할 전망이다. 후발 기업은 공격적으로 매장을 확대하고 선발 업체와 차별화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 약품 못 파는 드럭스토어?

헬스앤뷰티 스토어가 사업 초기 외국 모델을 한국 시장에 적용하는데 한계도 있었다.

헬스앤뷰티 스토어는 미국 월그린, 영국 부츠, 일본 마쓰모토기요시 등 사업 모델인 드럭스토어를 벤치마킹했다. 드럭스토어는 의사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화장품·건강보조식품·음료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이다. 외국 드러그스토어는 소매 약국·약제를 유통했다. 

한국 사정은 달랐다. 국내법 상 의약품이 소매점에서 팔 수 없었다. '약방(드럭스토어)'이 약제를 취급할 수 없던 셈이다. 이 탓에 ‘드럭 안 파는 드럭스토어’라는 비아냥도 있었다. 

일반 소매점은 2011년 일반의약품을 팔 수 있게 됐다. 약사법이 개정되면서 일반의약품이 의약외품으로 분류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헬스앤뷰티 스토어 선발주자들은 약품보다는 화장품, 건강관리 제품을 주로 취급했다. 

업계 관계자는 “접근성이 더 좋은 편의점도 일반의약품을 팔면서 헬스앤뷰티 스토어는 의약품 판매로 차별화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내 소비자는 ‘약은 약사에게’라는 의식이 깊어 헬스앤뷰티쪽으로 방향을 설정했다”고 덧붙였다.

왓슨스 매장에서 판매하는 건강식품. / 사진= 왓슨스홈페이지

◇ 중저가 헬스앤 뷰티 케어에 집중

지난 5년사이 매장이 크게 늘었다. 시장 규모도 커졌다. 2009년 1500억원가량에 불과했으나 2013년 7000억원으로 급성장했다. 올해는 1조원을 넘어선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헬스앤뷰티 스토어는 중저가 화장품 시장을 공략했다. 화장품 시장은 브랜드 로드숍이나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저가 시장과 백화점·면세점 등 고가시장으로 나뉘는 모양새였다.

헬스앤뷰티 스토어는 키스미, 데자뷰, 로레알, 캐시켓 등 중가 브랜드를 유치했다. 또 각종 제품을 자유롭게 시연할 수 있는 테스터 제품을 비치해 고객 만족도를 높였다. 약국 화장품으로 통하는 해외 브랜드를 입점해 차별화를 꾀했다. 아벤느, 비쉬, 유리아주 등이다.

헬스앤뷰티 스토어는 자체 브랜드를 개발하고 단독 브랜드도 늘리고 있는 점도 눈여겨 볼 만한 대목이다.

올리브영은 일찌감치 이지 픽업 카테고리에 PB(프라이빗브랜드) 제품을 투입했다. 이지 픽업 카테고리는 마스크팩, 일회용 면도기, 치실, 스타킹, 이어폰 등 브랜드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상품군이다. 또 자체 화장품 브랜드 개발에 주력해 8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GS 왓슨스는 화장솜이나 면봉, 핸드워시, 휴대용 화장지 등 독자 라벨을 붙인 40여 가지 PB제품을 팔고 있다. 최근 단독 입점 브랜드를 집중 유치해 50여개 브랜드의 1100여 품목까지 단독 취급 품목을 늘렸다.

이와 함께 헬스앤뷰티 스토어 역시 옴니채널, O2O(on to off) 마케팅 전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고객 소통 등으로 시장 규모는 더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와 함께 기존업체인 CJ올리브영과 GS왓슨스, 후발 주자인 롯데 롭스와 신세계 분스의 경쟁과 차별화 전략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헬스앤뷰티 스토어를 찾는 소비자가 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며 “브랜드와 콘텐츠 차별화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