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1000억원 규모 슈퍼컴퓨터 개발 착수
  • 민보름 기자 (dahl@sisapress.com)
  • 승인 2016.04.04 11:4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2단계 목표 설정, 산·학·연 개발역량 결집해
미래창조과학부 슈퍼컴 개발 로드맵 / 표=미래창조과학부

미래창조과학부는 2025년까지 매년 100억원가량을 지원하는 슈퍼컴퓨터 자체개발 사업을 착수한다고 4일 밝혔다. 4월부터 시작하는 공모에는 연구계, 학계 전문가들이 컨소시엄을 이뤄 참여한다.

초고성능컴퓨터(HPC)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통합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첨단기술의 집약체이다. 그리고 대규모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인공지능 기반기술이기도 하다.

미래부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시스템 아키텍처(Architecture) 설계가 가능한 인력을 육성하고 산업계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산업계와 연구계, 학계가 협력하는 개발 모델을 계획했다.

사업 단계는 두 부분으로 나눠진다. 이번 초고성능컴퓨팅 사업단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진행되는 1단계에서 1페타플롭(PF) 이상 슈퍼컴퓨터를 개발한다. 2025년까지 이어지는 2단계에선 30PF 이상 규모 컴퓨터 개발을 추진한다.

PF란 초당 천조 번 부동 소수점 연산이 가능한 처리 속도를 뜻한다. 특히 1단계 목표인 1PF는 기존 슈퍼컴퓨터 개발 경험과 공공부문 실수요를 감안해 정해졌다. 2015년 재난환경분야 조사 결과 9개 부처에서 해양예보나 산불, 산사태 예측에 필요한 용도로 1PF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사업단과 미래부는 1단계에서 우수 연구 결과를 선정하고 집중 개발하는 반면, 2단계에선 개발 내용을 보급하고 확산하는 데 집중한다.
 
사업단 내 기업과 학교, 정부출연연구원은 일원화된 개발조직 하에서 각자 역할을 한다. 기업은 슈퍼컴퓨터 보드를 제작하고 패키징, 양산하면서 사후 서비스도 수행한다. 대학은 원천기술을 개발하면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사업단과 기술, 인력을 교류한다. 연구소는 개발에 필요한 인프라와 테스트베드를 제공한다.

특히 이번 사업에서 미래부는 저장기술이나 운영체제, 보드제작 등 개발 요소 별로 중소기업 참여를 보장한다. 현재 국내 초고성능컴퓨팅 시장은 2600억 정도에 불과해 관련 기업들은 소규모 시스템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나 남미 등 해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중소기업들이 기술력을 확보하고 세계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려 한다.

이진규 미래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최근 알파고 등 인공지능 발전은 대규모 데이터의 고속처리가 가능한 슈퍼컴퓨터가 뒷받침 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대한민국이 보유한 인적, 기술적 역량을 구체적 성과로 입증하고 다양한 주체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개발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업 공고 및 사업설명회 정보는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www.nrf.re.kr)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