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이 자살을 막는다?
  • 조유빈 기자 (you@sisapress.com)
  • 승인 2016.07.05 17:1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네티즌들이 즉각적으로 자살 막으려 시도…페이스북 자체적 자살 방지 서비스 확대

 


6월15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은 이용자가 자살이나 자해 가능성을 암시하는 게시물을 올릴 경우 신고를 통해 사고를 미리 방지하게 하는 ‘자살 예방 툴’ 서비스를 세계적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게시물을 본 다른 페이스북 이용자가 메뉴를 통해 이 사실을 직접 신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게시물을 신고한 이용자는 글을 올린 사람에게 메시지를 전하거나 다른 친구들에게 위험을 알릴 수도 있다. 신고가 들어오면 페이스북 내 ‘예방 전문가 집단’이 게시물의 위험도를 판단하고, 게시물을 올린 이용자에게 상담을 시도하거나, 응급 출동을 해 자살을 막는 등 조치를 하게 된다.

페이스북이 이용자의 안전을 염두에 두고 가동한 서비스는 이번이 두 번째다. 페이스북은 지난 6월13일 미국 올란도 총기 난사 사건 당시 미국 내 이용자를 대상으로 ‘세이프티 체크(Safety Check)’ 기능을 가동했다. 세이프티 체크는 페이스북 이용자가 테러를 비롯한 재난, 재해 현장 일대에 있을 때 버튼을 클릭해 가족이나 친구에게 자신이 무사한지를 알리는 기능으로 프랑스 파리 연쇄 테러 사건 이후 활성화됐다. 이번에 확대 시행하기로 한 ‘자살 예방 툴’ 서비스는 이용자들의 현재 안전을 확인하는 기존의 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자살 등 사고를 SNS를 통해 방지하려는 취지다.

페이스북이 이용자들의 안전을 생각하는 서비스를 가동하게 된 것은 SNS의 영향력, 그리고 파급력과 관련이 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페이스북에 게시물을 올리는 이들은 전 세계 16억5000만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수많은 사람들이 페이스북 등의 SNS를 통해 자신의 행동이나 기분을 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안전이나 행동 변화, 자살의 위험성 등을 게시물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2013년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도관 교수팀이 SNS를 기반으로 구축한 ‘자살 예보 시스템’으로 국가 자살 통계자료와 SNS상의 자살이나 자살 관련 단어 빈도를 비교해 그 상관관계를 규명한 바 있다.  

 


다른 이용자들의 격려 통해 부정적 영향 상쇄돼

그러나 페이스북이 이런 서비스를 확대한 가장 큰 이유는 SNS를 통해 자살을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는 데 있다. 미국 소아과학회(AAP)가 6월27일 내놓은 임상보고서 최신판에 따르면 자살을 부추기는 웹 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자살에 관한 온라인 게시판 토론에 참여하는 것은 자살 관련 행동이 증가하는 것과 통계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SNS에 실린 자살 관련 글(자살하는 법이나 자살할 사람을 모으는 글)에 노출된 경우에는 자살 생각을 하는 빈도에 변화가 생기지 않았다. 또 SNS를 이용하는 다른 이용자들의 격려를 받아 부정적인 영향이 상쇄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스위스 베른 대학 법의학연구소가 펴낸 ‘Suicide Announcement on Facebook' 논문에 따르면, 대중매체에서 보도된 많은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SNS 이용자들이 계획된 자살을 막으려는 시도를 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또 페이스북에서 언급된 자살 관련 글을 보고 모방자살을 시도했다는 증거도 나타나지 않아 SNS를 통한 자살 확산 위험도는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베른 대학 법의학연구소는 자살 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이 관련된 글을 올리는 것은 자살과 관련된 일종의 ‘경고신호’ 일 수 있으며, 즉각적인 개입이 가능한 SNS의 특성상 다른 이용자들이 게시물을 올린 사람에게 보내는 관심과 상담이 결과적으로 자살 예방이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보건복지부 산하 정부기관들 역시 SNS를 통한 자살 예방에 나서고 있다. 중앙자살예방센터 관계자는 “페이스북 등 SNS의 메시지 기능을 통해 도움이 필요해 보이는 이용자들에게 자살 예방 상담 센터 핫라인 번호를 안내한다”며 “최근에는 SNS를 통해 자신의 상태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부 기관의 대다수가 홈페이지보다 SNS를 통해 소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나 청소년의 경우 오프라인이나 공익광고보다 (SNS를 통한) 소통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