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대표 경선을 계파 시각으로 봐선 안 돼”
  • 이승욱 기자 (gun@sisapress.com)
  • 승인 2016.07.12 14:46
  • 호수 139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총선 참패 책임론 제기, 당 대표 경선 나선 이주영 새누리당 의원


 

새누리당이 본격적인 당권 레이스에 돌입했다. 당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8월9일)를 한 달 앞두고, 당내 친박(親박근혜)계와 비박(非박근혜)계 당권주자들이 속속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특히 당초 출마가 예상됐던 친박계 핵심인 최경환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당권 경쟁구도가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최 의원의 불출마에는 범(汎)친박계로 분류되는 이주영 의원(5선·경남 창원시 마산합포)의 출마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이 의원은 7월3일 출마선언 기자회견에서 총선 참패 책임론을 제기했다. 계파 갈등을 유발한 친박·비박계의 공동 책임론을 언급한 것이지만, 친박계로 분류되는 이 의원의 발언이 친박계를 향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켰다. 

 

이 의원은 7월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 대하빌딩 11층에 마련된 자신의 경선캠프에서 시사저널과 인터뷰했다. 그는 출마선언 당시 발언이 “특정인을 겨냥한 발언은 아니었다”면서 “계파 청산을 위해서 계파 구도로 전당대회를 바라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당 대표 경선 출마를 결심한 이유는 무엇인가.

 

4·13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참패한 원인은 여러 가지 있겠지만 계파 싸움이 지나쳤기 때문이다. 계파 싸움은 국민, 심지어 당원들에게도 큰 상처를 줬고 결국 선거 참패라는 결과를 낳았다. 전당대회를 통해 계파 청산을 해야 한다. 그래야 화합을 이루고, 단결을 해야 정권 재창출을 할 수 있다. 결국 (계파 간) 화학적 융합을 이룰 용광로가 돼 줄 당 대표가 필요한 시기다. 그런 차원에서 당 안팎에서 적임자라는 말을 많이 들었다. 또 박근혜 정부를 성공시키고 정권 재창출을 이뤄야 하는데 그런 역량과 자질을 갖춘 인물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있다. (내가) 2007년과 2012년 대선을 승리로 이끌어낸 경험을 볼 때 내년 대선도 잘 치를 수 있겠다는 각오로 나서게 됐다. 

 

화학적 융합이라는 표현을 썼는데 어떤 형태를 말하나.

 

계파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보니 인위적으로 해소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계파의 이익을 지나치게 챙기는 모습들, 즉 패권주의는 국민들이 용납하지 않는다. 정치라는 것이 우리 국민의 삶이 나아지도록 정책을 개발하고 같이 힘을 합쳐서 나가야 하는데 싸움으로 비치니 국민들이 싫어한다. 당의 단합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정치 문화를 배제하는 방향으로 가도록 하겠다는 말이다. 또 당내에서 그동안 소외된 분들의 의견도 잘 들어야 화학적 융합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 

 

전당대회 출마 결심을 하기 전 당내에서 의견 조율을 한 사람이 있었나.

 

출마에 대한 의견 수렴은 많이 했다. 많은 분들하고 대화를 나눴다.  

 

오늘(7월6일) 마침 최경환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했다. 어떻게 평가하나. 

 

최 의원이 굉장히 능력도 출중하고 덕망이 높은 분이다. 당에서도 큰일을 할 수 있는 분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에 살신성인을 한 것으로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런데 최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이주영 의원과 만나지 않겠다고 했다. 

 

(내가 만나려고 했다고 한 것은) 와전된 것이다. 최 의원이 불출마 선언을 했으니 위로랄까, 경의를 표한다는 의미로 만날 수 있는 것이다. 그건 같은 당 의원으로서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런데 내가 (최 의원을) 찾아간 것도 아닌데 기자들 사이에서 내가 마치 최 의원을 찾아간 것처럼 소문이 돌았던 것뿐이다. 지금 당장이 아니어도 다음 기회라도 만날 수 있지 않겠나.

 

친박 핵심인 최 의원이 특정인에 대해선 지지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는데.

 

특별히 거기에 대해 내가 논평할 것은 없는 것 같다. 

 

친박 좌장 격인 서청원 의원의 출마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서 의원은 당의 원로이시고 (당 대표가 돼도) 충분히 당을 잘 운영할 수 있는 덕망과 능력을 갖추신 분이다. 그런 점에서 출마하신다고 하더라도 가타부타 말씀드릴 게 없다.

 

당내 일각에선 서 의원을 추대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추대가 되려면 당 대표 출마 뜻을 가진 분들이 의견일치를 봐야 하는 것 아니냐. 그런데 그게 가능할지 잘 모르겠다. 이미 다른 분들이 출마의 뜻을 밝히고 있는 상황인데, 정당 민주주의라는 차원에서 공정한 경선을 치르는 것은 불가피하다.

 

이주영·이정현 의원 등 친박계 인사들이 연이어 나오면서 비박계 주자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 대표 선출 문제를 계파적 시각에서 보는 것은 이젠 뛰어넘어야 한다. 지난 총선 공천 과정에서도 결국 계파 싸움 때움에 국민과 당원에게 상처를 주지 않았나. 이제 계파 구도를 넘어 화합하는 전당대회를 바라고 있는데, 계파 구도에서 유불리(有不利)를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다. 

 

출마 선언하면서 총선 패배 책임론을 제기했다. 친박계를 겨냥했다는 점에서 의외였다. 

 

총선 패배 책임에 대해선 나 역시도 중진 의원으로서 책임이 있다. 책임론 언급은 당시 지도부를 포함해 책임정치라는 일반론 차원에서 말한 것이다. 특정인을 겨냥하고 거론한 것은 아니었다.

 

당이 청와대와 교감하는 친박계 핵심들에게 끌려가고 있다는 우려는 아직도 나온다. 

 

당청 관계는 일체를 형성해서 가는 것이 맞다. 청와대는 국정의 가장 중추적인 기능을 하는 곳이고, 당은 국민의 지지를 얻어내기 위해서 민의를 잘 수렴해서 이걸 정책에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 당청이 일체감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국민의 시각과 권력의 시각이 조화롭게 만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당 대표가 되면 소통도 잘되고 당청이 조화로운 만남을 할 수 있도록 조율해나가겠다.

 

국회에서 개헌 논의 이야기가 나온다. 개헌 필요성 공감하나.

 

‘87년 체제’로 탄생한 대통령 5년 단임제는 국회의원 임기와 맞지 않는다. 이것이 정책 추진의 동력을 떨어뜨려서 국가 발전에 저해가 된다. 결국 개헌을 해서 임기부터 일치시켜야 한다. 대통령 임기를 4년 중임으로 하는 쪽으로 국회의원 임기와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개헌 시기는 언제가 적당하다고 보나. 

 

가능하면 빨리 해야 성사시킬 수 있다. 내년 대선 국면으로 가면 개헌을 성사시키기 어렵다. 

 

개헌과 관련해선 청와대가 부정적이지 않나.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개헌이 이슈의 블랙홀이 돼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논리도 일리가 있다. 개헌 논의를 시작하면 이런 부분까지 포함해서 논의가 진행되지 않겠나. 청와대도 개헌 논의 과정에서 개헌과 관련한 자신들의 입장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