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러운 한국의 세계 1위 건강지표
  • 노진섭 기자 (no@sisajournal.com)
  • 승인 2017.06.13 15:54
  • 호수 144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장암·위암·결핵 등 일부 질병 발생률 낮춰야

 

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 기준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2세다. 남자가 79세, 여자가 85세다. 약 15년 후인 2030년 한국인 기대수명은 남자 84세, 여자 90.8세로 세계 1위를 기록할 것으로 영국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 연구원들은 전망했다. 2030년에 태어난 한국 여자는 약 91세까지 생존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이 세계보건기구(WHO)와 함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의 기대수명을 분석한 결과다. 이 전망대로라면 한국은 곧 세계 최장수 국가가 된다. 그러나 세계 꼴찌를 기록하고 있는 몇몇 한국의 건강지표는 최장수 국가로 가는 길의 걸림돌로 작용한다. 한국은 대장암, 위암, 결핵 등 일부 질병의 발병률이 세계 1위라는 부끄러운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사진=Pixabay

 

대장암

과한 술과 고기 섭취가 원인

 


과거엔 거의 없었던 대장암이 현재 가장 흔한 암 중 하나가 됐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한국의 대장암 발병률은 슬로바키아, 헝가리에 이어 세계 3위였다. 지금은 세계에서 대장암이 가장 많은 나라로 한국이 꼽힌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에 따르면, 세계 184개국 가운데 한국인의 대장암 발병 인구가 10만 명당 45명으로 세계 1위(2012년 기준)를 기록했다. 대장암 발생률 2위 국가는 슬로바키아(42.7명)이고, 헝가리(42.3명), 덴마크(40.5명), 네덜란드(40.2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장암의 세계 평균 발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17.2명이다. 중앙암등록본부 연례보고서를 보면, 국내 전체 암 중 대장암이 차지하는 비율은 1980년 5.8%였던 것이 1990년 6.9%, 2000년 10.3%로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해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대장암은 남녀 모두에서 3번째로 흔한 암이 됐다.

 

한국이 세계 1위 대장암 발병국이라는 불명예를 얻게 된 원인을 크게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과한 술과 붉은색 고기 섭취다. 국내 술 소비량은 과거보다 줄었지만, 외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많은 편이다. WHO의 2014년 세계 음주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 1인당 연간 알코올 소비량은 12.3리터로 세계 15위다.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을 제외하면 국내 술 소비량은 27.5리터로 증가한다. 알코올이 대장암 발병과 관련이 깊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한국인의 식습관은 1960년대 이후 가파른 경제 성장과 함께 육류 중심의 서구식으로 바뀌었다. 보건 당국에 따르면, 1명의 하루 붉은색 고기 섭취량은 2010년 62.2g에서 2013년 64.6g으로 늘었고, 가공육 섭취량 역시 같은 기간 5.9g에서 7.2g으로 증가했다. 국제암연구소는 2015년 붉은색 고기(소·돼지·양고기 등)와 가공육(소시지·햄·베이컨·육포 등)을 발암물질 1군으로 규정했다.

 

대장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경우가 늘어난 점은 다행스럽다. 빨리 발견하는 만큼 대장암의 완치율(5년 생존율)도 2005년 66.6%에서 2014년 76.3%로 높아졌다. 변정식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대장암으로 치료받은 사람 중 조기에 발견한 환자가 우리 병원에서만 1991년 2%에서 2006년 8%로 증가했다”며 “국가 5대 암 검진사업과 대장내시경 검사를 지속하므로 조기 대장암 발견은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위암

소금 섭취, 헬리코박터 감염 줄여야 

 


1940~50년대 미국과 한국은 위암 발생률 1위를 다퉜다. 이후 미국에서는 위암이 줄었는 데 반해, 한국은 현재까지 위암 발병률 1위다. 한국보다 인구가 6배 많은 미국은 위암 환자가 연 2만 명 정도지만 한국은 약 3만 명에 이른다. 국내 위암은 전체 암의 15%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흔하다. 중앙암등록본부에 따르면, 미국·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거의 사라진 위암의 국내 발생률은 남성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55.3명으로, 일본(45.7명)보다 높다. 물론 서양인보다 아시아인이 위암에 더 취약한 유전적 인자를 가지고 있지만, 식습관이 위암 발생에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도 부정할 수 없다. 과거 음식을 보존하기 어려웠던 시절, 절인 음식이나 짠 음식이 발달했다. 여기에다 한국인은 젓갈류와 같은 절인 음식을 전통적으로 좋아하는 식습관 탓에 여전히 위암 발생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WHO가 권장하는 하루 소금 섭취량은 5g이지만 우리는 12~13g을 섭취한다. 송호준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소금은 암 촉진인자인 특정 효소를 활성화함으로써 위암을 유발한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소금을 줄이려는 인식이 퍼지면서 최근 10년 사이 소금 섭취량은 감소했다. 그럼에도 위암 발생이 큰 폭으로 줄어들지 않는 배경에는 세균(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감염이 있다. 위암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균의 감염률은 10년 전 60~70%에서 최근 50% 이하로 줄었지만 여전히 높다. 노성훈 연세암병원장은 “위암 발병 세계 1위라는 불명예를 떨칠 수 없는 데에는 과한 소금 섭취량과 헬리코박터 감염이라는 두 가지 큰 축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라며 “위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비타민A나 비타민C가 풍부한 채소와 과일 섭취량이 늘지 않는 것도 위암 발생을 좀처럼 줄이지 못한 한 가지 이유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결핵

6개월 이상 중단 없는 약 복용이 필수

 


WHO의 2015년 결핵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결핵 발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86명으로, OECD 국가 중 20년째 1위를 차지했다. 일본의 결핵 발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20명 선이고 미국은 5명이 채 되지 않는다. 사망률도 한국이 1위다. 한국에서는 한 해 4만5000명의 결핵 감염자가 발생하고 2000명 이상이 사망한다. 이는 지난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망자의 60배가 넘는 수치고, 한 해 폐렴으로 사망하는 사람 수와 비슷한 규모다. 세계적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AIDS(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의 증가와 함께 여러 약제에 내성인 결핵의 증가는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진료 환경이 좋지 않은 국가에서 주로 발병하는 후진국형 질환으로 알려진 결핵이 이 땅에 만연한 배경에는 1950년 한국전쟁이 놓여 있다. 결핵은 전쟁 시기에 창궐한다. 당시 젊었던 사람이 결핵균에 감염된 채 지금까지 살아왔다. 현재 노인이 된 그들의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결핵균이 활성화됐다. 세월이 지나면서 결핵 발병은 감소 추세다.

 

결핵균은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공기 중으로 배출된 후 다른 사람의 기도를 통해 전파된다. 치료제를 복용하면 균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므로 그만큼 전염성이 떨어진다. 중요한 것은 약 복용을 꾸준히 해야 한다는 점이다. 한 번에 4가지 이상의 약을 최소 6개월 이상 중단 없이 복용해야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는 기침 등 불편한 증상만 사라지면 임의로 약 복용을 중단하기 일쑤다. 심태선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약을 불규칙하게 먹으면 약이 듣지 않는 내성 결핵이 발생해 평생 결핵으로 고생할 수 있다”며 “약에 의한 부작용이 생겼다고 임의로 약 복용을 중단하지 말고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궁 적출률

자궁근종 등 해당 질환 줄여야

 


2012년 OECD에 따르면, 국내 자궁 적출 건수는 인구 10만 명당 329.6건이다. 이 기록은 OECD 국가 중 1위다. OECD 회원국 평균의 3배이고 영국과는 12배나 차이가 난다. OECD 평균은 112.6건이다. 한국이 1위인 것은 다양한 자궁 질환으로 자궁을 적출하기 때문이다. 가장 흔한 자궁 질환은 자궁근종이다. 최근 4년간 자궁근종 환자는 24% 급증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가임기 여성 4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자궁근종은 35세 이상 여성에게서 50%, 40세 이상 여성에서는 60%가 발견된다. 이 때문에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가 병원을 찾는다. 주웅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우리뿐만 아니라 미국도 자궁 적출을 많이 하는데, 생물학적으로만 보면 자궁은 출산 후 기능이 불필요한 장기다. 이것이 없어진다고 해서 삶에 지장을 주진 않으므로 자궁근종 등 여러 자궁 질환이 생겼을 때 치료 목적으로 자궁을 적출한다”고 설명했다.

 

자궁근종은 여성의 자궁 근육층에 생기는 ‘양성 종양’ 즉 혹이다. 그 원인이 완벽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학계는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이 자궁근종의 성장 촉진 인자로 작용한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초경이 빠르거나 나이가 많으면서 출산 경험이 없는 미혼 여성의 발병 위험이 크다. 자궁근종이 크지 않으면 그 부분만 제거하고 자궁은 보존할 수 있다. 그러나 재발할 가능성이 크다. 주 교수는 “자궁근종 환자의 약 50%는 2개 이상의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는데, 눈에 보이지 않는 자궁근종 세포가 더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만큼 재발 우려가 크다”며 “자궁을 제거할 때 자궁경부도 제거하므로 자궁경부암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자궁 적출은 필요한 치료 수단이다. 그렇지만 자궁은 여성성을 나타내는 장기이므로 여성에게는 또 다른 의미가 있다. 따라서 자궁 질환을 예방하는 국가적 노력으로 자궁 적출률을 낮출 필요가 있다.

 

 

항생제 처방률

외국보다 2배 높아

 


국내 항생제 처방률은 OECD 회원국 중 이탈리아와 공동 1위다. 2015년 OECD 자료에 따르면, 항생제를 처방받은 한국인은 하루 1000명 중 31.5명이다. 가장 적게 처방한 국가는 스웨덴과 에스토니아로 한국의 절반 수준이다. 한국은 특히 영유아의 항생제 처방 빈도가 높다. 서울대병원과 미국 보스턴 아동병원 연구팀이 공동으로 2008~12년 세계 6개국(한국·독일·이탈리아·노르웨이·스페인·미국)의 2세 미만 영유아 7400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국내 영유아 항생제 처방 건수는 연평균 1인당 3.4건으로 가장 적은 노르웨이(0.45건)의 7.6배에 달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4만6746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감기(급성 상기도 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은 40.99%로 2015년 하반기(43.52%)보다 2.53%포인트 감소했다. 항생제 사용이 줄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항생제 과다 사용은 항생제에 듣지 않는 내성균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1차 항생제인 페니실린의 국내 처방률은 9.8%로 낮은 편이다. 노르웨이 64.8%, 독일 38.2%, 미국 31.8%, 스페인 27.7%, 이탈리아 16.5% 등이다. 한국의 페니실린 처방률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은 그만큼 페니실린에 내성을 가진 균이 많아 강력한 항생제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박병주 서울대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한국의 항생제 오남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지만 아직도 서구 선진국과 비교해 심각한 수준”이라며 “의사나 환자 모두 항생제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의식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호흡기 질환

인구 집중과 도시화로 인한 대기오염 때문

 


당장은 아니지만 앞으로 한국이 세계 1위라는 불명예를 안게 될 질병으로 대기오염에 의한 호흡기 질환이 있다. OECD는 2060년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는 2010년보다 3배가량 늘어난 연간 900만 명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WHO도 가까운 미래에 대기오염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700만 명에 이른다면서 가장 큰 영향을 받을 나라로 한국을 꼽은 바 있다.

 

실제로 OECD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한국의 조기 사망률이 2060년 OECD 회원국 가운데 1위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세먼지 등으로 오염된 공기 때문에 조기 사망하는 한국인은 인구 100만 명당 1109명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은 340명, 유럽은 307명, 호주와 뉴질랜드는 95명이다. 2010년 현재 100만 명당 조기 사망자는 359명으로, 일본(468명)이나 EU(유럽연합) 주요 4개국인 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412명)보다 낮다. 이 전망대로라면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미국, EU, 캐나다 등 OECD 주요국에서는 감소하지만, 한국에서는 오히려 증가하는 셈이다.

 

또 약 40년 뒤 조기 사망자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는 나라로는 한국 외에 인도와 중국도 꼽혔다. 2060년 중국의 조기 사망자는 2052명으로 현재(662명)의 3배 이상으로 증가하고, 인도는 현재(508명)의 4배로 늘어난 2039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인도와 중국은 OECD 비(非)회원국이다. OECD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과 서유럽 국가는 청정에너지와 저공해 교통수단 사용으로 조기 사망률이 낮아지지만, 인도·중국·한국은 인구 집중과 도시화로 경유차량, 공장, 대형 건물 냉난방 등에서 나오는 대기오염 물질에 더 많이 노출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갑상선암

과도한 진단 지양해야

 


불필요한 행동으로 불명예를 기록한 질환은 갑상선암이다. WHO에 따르면, 10만 명당 갑상선암 환자는 일본 3명, 중국 1명, 북한 2.6명인데, 한국은 35.4명으로 세계 1위다. 갑상선암은 특히 여성에게 가장 많이 생기는 암이다. 여성 암 가운데 갑상선암은 23.6%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1999~2011년 국내 갑상선암은 연평균 23.7% 증가했다. 이는 전체 암 연평균 증가율 3.6%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방사능에 노출되면 갑상선암이 증가하는데, 체르노빌 원전 사고 지역에서 발생한 수(12명)보다도 3배가량 많은 수치다. 암은 연간 1~2%만 증가해도 심각하게 보는데, 매년 20% 이상씩 10년 동안 증가한 것은 세계 의학계의 미스터리다.

 

10년 전만 해도 드물었던 갑상선암이 급증한 이유는 초음파 진단을 과하게 했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에서는 증상이 없으면 갑상선암을 진단하지 않는다. 우리는 건강검진을 받을 때 병원에서 ‘서비스’ 차원에서 목에 초음파검사를 하면서 작은 종양까지 발견하고, 치료가 필요 없는 사람에게도 수술을 권했다. 한마디로 국내 갑상선암 발병의 급증은 특정 원인이 있어서가 아니라 진단을 과하게 한 결과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세계 1위 갑상선암 공화국이라는 불명예를 얻게 됐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