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 윤동주’ ‘한국인 윤동주’ 우리에겐 ‘두 명의 윤동주’가 있다”
  • 중국 룽징시=유지만 기자 (redpill@sisajournal.com)
  • 승인 2017.09.29 11:14
  • 호수 145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탄생 100주년 맞은 윤동주 생가와 묘지 위치한 중국 룽징(龍井) 현지 르포

 

1917년 중국 북간도(현재의 옌볜조선족자치주 지역) 명동촌(明東村)에서 한 아이가 태어났다. 이름은 윤해환. 우리말 ‘해’자에 한자 빛날 ‘환(煥)’자를 붙인 아명(兒名)이었다. 1910년 결혼한 윤영석, 김용 부부 사이에서 7년 만에 태어난 첫 번째 아이였고, 윤씨 집안의 장손이었다. ‘별을 노래한 시인’ 윤동주는 일제 식민지배하에 조선 땅을 떠나 북간도로 이주했던 조선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비록 30년이 채 안 되는 짧은 삶을 살았지만, 그의 시는 지금까지도 생을 이어오고 있다.

 

시사저널은 9월11일부터 14일까지 나흘간 중국 지린성(吉林省) 룽징(龍井)시를 찾았다. 룽징은 윤동주가 태어난 곳이자, 가곡 《선구자》에 등장하는 도시이며 ‘항일 투쟁’의 요람이기도 하다. 올해 12월30일은 윤동주가 태어난 지 100주년이다. 윤동주 생가(生家)와 룽징시 대성중학교, 묘소 등을 찾았다. 또 조선족 현지 인사들을 만나 윤동주가 현재 문학계 및 사회·역사적으로 갖는 의미에 대해서도 알아봤다. 중국 현지에서 바라 본 윤동주는 여러 의미를 담고 있었다. 그곳에서 ‘조선족 시인’ 윤동주와 ‘한국 시인’ 윤동주를 동시에 볼 수 있었다. 이미 상당히 진행된 중국의 ‘동북공정’ 흔적도 엿볼 수 있었다. 중국 조선족이 세대를 지나면서 민족적 유대감이 상당히 끊어져가는 느낌도 받았다. 윤동주 안에는 윤동주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 안에는 우리가 잃어버린 민족적 유대감과 조선족 정체성 등이 복잡하게 뒤얽혀 있었다.

 

중국 지린성 룽징시 명동촌에 있는 윤동주 생가 기념관 © 시사저널 유지만

 

‘중국 조선족 애국시인’ 윤동주

 

윤동주의 생가가 있는 명동촌은 룽징시에서 차로 10여 분가량 이동해야 한다. 마을 초입에는 ‘윤동주 생가’라고 써 있는 큰 비석과 ‘시인의 고향(詩人的故鄕)’이라 적힌 팻말이 있다. 바로 이곳에서부터 윤동주가 나고 자란 명동촌이 시작된다. 마을 안쪽으로는 예스러운 풍경을 간직한 기와집들이 곳곳에 보였다. 일제강점기만 하더라도 이곳은 조선인들의 터전이었지만, 지금은 한족들도 많이 섞여 들어온 상태다. 일부 집에는 농사를 짓다가 방치한 옥수숫대들이 우거지게 자라 있었다.

 

윤동주 생가는 마을 어귀를 따라 들어가면 가장 먼저 만날 수 있다. 입구에는 ‘중국조선족애국시인 윤동주 생가’라 적혀 있다. 윤동주의 집은 명동촌으로 이주 온 조선인 중에서도 부유한 편에 속했다. 윤동주의 친동생인 고 윤일주 성균관대 교수는 윤동주 생가에 대해 그의 저서 《윤동주의 생애》에서 이렇게 묘사했다.

 

우리 남매들이 태어난 명동집은 마을에서도 돋보이는 큰 기와집이었다. 마당에는 자두나무들이 있고, 지붕 얹은 큰 대문을 나서면 텃밭과 타작 마당, 북쪽 울 밖에는 30주(株)가량의 살구와 자두의 과원, 동쪽 쪽대문을 나가면 우물이 있었고, 그 옆에 큰 오디나무가 있었다. 

 

윤동주의 생가는 재정비한 지 오래되지 않아 보였다. 기자와 동행한 중국 옌볜 조선족 인사는 “현재 룽징시에서 문화단위(문화재)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윤동주 연구를 활발하게 하고 있는 김응교 숙명여대 교수는 이를 두고 “중국의 역사에 편입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중국에서 윤동주를 일컫는 ‘애국시인’의 국(國)은 중국을 의미한다.

 

윤동주의 생가 안쪽은 그를 기리는 시비(詩碑)와 윤동주 전시관, 실제 복원한 생가, 예배당 등으로 꾸며져 있다. 지나가는 길 곳곳에 그의 시를 새긴 돌비석들이 있다. 각각의 시는 중국어로 번역돼 있어, 중국인 관광객들이 올 때도 알아볼 수 있도록 했다. 다만 윤동주 전시관은 현재 정비 중이라 일반에 공개되지 않고 있었다. 예배당 안쪽에는 가곡 《선구자》의 노랫말이 적힌 액자가 보였다. 이 노래에 등장하는 ‘해란강’은 바로 룽징에 흐르는 강이다.

 

윤동주의 실제 생가는 전시관 가장 안쪽에 있다. 생가 안에는 윤동주를 추모하는 공간이 마련돼 있었다. 올해는 윤동주 탄생 100주년이자 서거 72주기이기도 하다. 이곳에는 8월초부터 현재까지 약 150명이 다녀갔다. 방명록에는 다녀간 이들이 남겨 놓은 이름과 연락처가 적혀 있었다. 거의 다 한국인이었고, 2~3명의 일본인이 다녀갔다. 관리자는 “요즘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가 불거지면서 한국인들 방문이 부쩍 줄었다. 예전의 10분의 1 정도밖에 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기자가 생가를 찾은 날에도 백두산 여행을 온 한국인 10여 명이 윤동주 생가를 둘러봤다.

 

생가 바깥에서는 기념품이 판매 중이었다. 주로 윤동주 평전과 시집, 중국 조선족 전통문화에 관한 책들이다. 조선족 사회에선 나름대로 윤동주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윤동주 평전》은 이미 시중에 나와 판매되고 있었고, 10월에는 조선족 향토작가가 집필한 《송몽규 평전》이 세상에 나오게 된다. 그들은 나름의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윤동주 평전》을 집필한 작가 박아무개씨는 기자를 만난 자리에서 “한국 사람들이 잘 찾아내지 못한 부분들까지 찾아냈다”고 자랑했다.

 

그들의 이런 자부심에는 조선족과 한국인의 이질감이 깔려 있다. 현지에서 만난 조선족 인사들은 한결같이 “우리가 한국 사람이냐”고 오히려 반문했다. 중국 조선족은 옌볜 일대에 터를 잡은 지 100년이 넘었다. 세대로 따져도 현재 3대째 내려오고 있는 셈이다. 옌지시에서 사업을 하는 한 조선족 인사는 “이곳에서 태어나서 여태껏 자랐다. 그런데 우리가 한국 사람일까. 국적은 ‘중국’이지만 우리는 엄연한 조선족이다. 우리는 우리만의 문화가 있다”고 말했다.

 

중국 지린성 룽징시에 있는 윤동주 생가 기념관의 《서시》 시비(위)와 대성중학교의 《서시》 시비. 두 곳의 중국어 변역은 한자 표기부터 다르다.

이 부분에서 윤동주에 대한 묘한 갈등이 발생한다. 바로 ‘조선족 시인 윤동주’와 ‘한국 시인 윤동주’의 충돌이다. 조선족 현지 문인들은 한국에서의 추모활동에 대한 묘한 반감마저 가지고 있었다. 현지 향토작가인 박아무개씨는 “우리는 한국에 입국할 때에도 ‘외국인’으로 취급받는다. 한국에서 ‘한민족’이라고 하지만 그곳에서 우리는 이방인이다. 일전에 한국에서 상을 준다고 해서 들어간 적이 있는데, 수상 소감을 말할 때 ‘중국에 사는 조선족’이라고 소개했다. 이것이 바로 우리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기념사업에 대한 불만도 터져 나왔다. 현지 인사들에 따르면, 윤동주 기념사업은 1990년대까지 한국의 지원이 활발하게 이뤄졌다. 그러나 현재 한국이 합작한 기념사업은 사실상 끊겨 있다고 한다. 현지에서 만난 조선족 유력 인사는 “요즘 진행되는 윤동주 기념사업은 사실상 조선족들이 주도하고 있다. 여기다 룽징시에서도 문화재로 지정해 줘서 지원받고 있다. 현재 남한에서 우리와 협업하는 것은 없다고 보면 된다”고 잘라 말했다.

 

이러한 갈등은 대성중학교에서도 엿볼 수 있었다. 대성중학교 안쪽에 자리한 기념관 옆에는 이상설의 서전서숙을 기념한 전시관도 있었다. 하지만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고, 전시관을 구경할 수도 없었다. 입구에 있는 소파에는 하얀 먼지가 자욱이 깔려 있었다. 얼마 전 한국으로부터 ‘서전서숙 기념사업’을 제안받았다는 한 현지 인사는 “서전서숙을 새로 세워주기라도 하면 모르겠는데, 그것도 아니라고 해서 거절했다”고 말했다.

 

 

“윤동주 詩 중국어 번역, 엉망이다”

 

윤동주의 시 중 대표작을 꼽으라면 많은 이들이 《서시》를 꼽는다. 룽징 현지에서도 윤동주 생가와 대성중학교 전시관 앞에는 《서시》를 새겨놓은 시비(詩碑)를 볼 수 있었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로 시작하는 이 시는 일제 치하에서 시인 윤동주가 겪은 고뇌를 잘 표현한 명시로 꼽힌다. 조선족 사회에서도 윤동주를 ‘저항 시인’ 내지는 ‘항일 시인’으로 평가하는 데 이 시가 한몫을 한 것은 분명하다.

 

문제는 번역이다. 윤동주 생가 기념관과 대성중학교에 있는 《서시》의 중국어 번역본은 한자부터가 달랐다. 윤동주 시의 번역 문제는 그동안 늘 제기돼 왔던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다. 윤동주 시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 일본에서도 번역 문제는 제기돼 왔다. 역사적인 사실을 왜곡하려는 의도적인 조작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었다.

 

이에 비해 중국어 번역은 조금 더 원초적인 문제다. 윤동주 생가의 중국어 번역은 전 옌볜조선족자치주 고위급 인사가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에서 활동하는 한 조선족 번역가는 “통탄할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조선족 시인으로서 윤동주를 제대로 평가받게 하려면, 중국에서도 충분히 놀랄 만한 번역을 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중국 문학계에선 윤동주 시에 대해 전혀 관심을 두지 않는다. 그저 ‘조선족 안에서만’ 인정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번역에 대한 고민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대성중학교 번역은 그나마 나은 편이지만, 윤동주 생가에 있는 번역본은 시의 의미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중국 시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들을 전혀 살리지 못했다”고 혹평했다. 기자가 파악한 바로는 윤동주의 《서시》에 대한 세 가지 중국어 번역본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대로 연구해 만들어진 번역본은 없다는 게 중론이다.

 

 

“윤동주에 대한 관심 더 커지길”

 

윤동주 생가와 룽징 시내 대성중학교를 둘러본 후에는 윤동주의 묘소를 찾았다. 윤동주의 묘소는 룽징시 동북쪽 합성리(合成里) 동산(東山) 8부 능선 즈음에 있다. 윤동주의 묘를 찾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동산 어느 부근에 있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현장에 도착하니 별다른 안내문이 보이지 않았다. 지나가는 현지인들에게 물어도 중국 한족인 경우에는 전혀 위치를 알지 못했다. 일부 주민들은 “윤동주가 누구냐”고 반문하는 이들도 있었다. 산책 중이던 조선족 주민에게 물어본 후에야 위치를 찾을 수 있었다.

 

윤동주의 묘소 바로 옆에는 송몽규의 묘소가 함께 있었다. 송몽규의 묘비에는 ‘청년문사송몽규지묘(靑年文士宋夢奎之墓)’라 적혀 있었고 윤동주의 묘비에는 ‘시인윤동주지묘(詩人尹東柱之墓)’라는 글귀가 있었다. 1988년 《윤동주 평전》을 펴낸 송우혜 작가는 이를 두고 “윤동주 유족들이 송몽규의 묘에 ‘청년문사’라 표현된 것을 보고 묘한 경쟁심이 생겼던 것 같다. 그래서 윤동주 묘비에는 ‘시인’이라는 표현을 넣었다”고 말했다. 두 사람의 묘비 앞에는 먼저 다녀간 이들이 남긴 꽃이 한 다발씩 놓여 있었다. 윤동주의 묘소 옆에 있는 나무에는 종이를 접어 만든 하얀 꽃도 걸려 있었다.

 

지린성 룽징에 있는 윤동주 묘소(위)와 룽징 시내 대성중학교 전시관에 재현해 놓은 옛 교실 © 시사저널 유지만

윤동주의 묘소는 그가 일본에서 생을 마감한 뒤 40년이 지나서야 발견될 수 있었다. 처음 윤동주의 묘를 발견한 이는 일본인 윤동주 연구가 오무라 마스오(大村益夫) 와세다대 명예교수였다. 그는 1985년 5월14일 윤동주의 묘지를 발견하고 이를 국내 학계에 알렸다.  문제는 이 ‘동산’이라는 단어였다. 당시 윤동주를 다룬 글이나 책에는 윤동주의 묘소 위치를 ‘동산교회 묘지’ ‘중앙교회 묘지’ ‘동산 중앙교회묘지’ 등으로 표현했다. 실제로 룽징에는 ‘동산교회’와 ‘중앙교회’가 있었고, 지명인 ‘동산’도 있는 터라 묘소의 위치를 특정하기 매우 어려웠다. 오무라 교수는 지난(至難)한 과정을 거쳐 결국 이 묘소를 찾을 수 있었다. 이후 1990년 송몽규의 묘소를 찾아 윤동주 묘소 옆으로 이장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현지에서 만난 인사들은 탄생 100주년을 맞아 시인 윤동주에 대한 관심이 다시 커지길 기대하고 있었다. 현재 명동촌에는 옛 명동소학교를 재현하는 전시관 공사가 한창이었다. 조만간 일반에 개방될 예정이다. 이 역시 룽징시 주도로 진행되는 사업이다. 현지 공안(公安·경찰) 관계자는 “건물은 모두 완성됐고, 앞뜰 공사를 하고 나면 일반에 공개된다”고 말했다. 조선족 문학계 인사인 김아무개씨는 “중국이 자신의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사업”이라고 규정했다. 조선족으로서 독립적인 문화유산을 남기려는 의지와 중국 정부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다는 지적이다.

 

김씨는 윤동주 연구가 탄생 100주년을 맞아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했다. 그는 “윤동주가 조선족 시인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쟁을 하기에 앞서, 윤동주 시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조선족 사회에서 윤동주 기념사업을 한다고 하지만, 이는 미미한 수준”이라며 “여전히 연구하고 알릴 여지가 많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윤동주는 그 자체로 소중한 시인이다. 한글로 이처럼 아름다운 시를 썼던 이가 또 있었던가 싶다. 100주년을 맞이한 올해부터 다시금 관심이 높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