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에 노출된 SKB 홈앤서비스 수리기사들
  • 조유빈 기자 (you@sisajournal.com)
  • 승인 2018.06.18 13:35
  • 호수 149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발 방지책 마련해야”

 

SK브로드밴드(SKB)는 지난해 5월 협력업체 간접고용 노동자들을 자회사 정규직으로 전환해 주목을 받았다. 새로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정책을 추진할 때였기 때문이다. SKB는 민간기업 최초로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지난해 7월 자회사인 홈앤서비스를 설립해 하청 노동자들을 자회사로 편입시켰다. 공공기관뿐 아니라 민간기업의 고용불안이나 근로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신호탄’을 SKB가 쏘아 올렸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그로부터 1년여가 흘렀다. SKB는 최근 입장을 선회했다. 올해 3~4월 자회사 정규직으로 전환된 마트 영업직군 노동자들을 다시 특수고용직으로 전환하려고 시도하면서 내부적으로 논란이 일고 있다. 정규직으로 전환했던 노동자들의 근로 조건 역시 협력업체 때와 크게 차이가 없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결국 정규직 전환이 새로 출범한 정부를 의식한 ‘보여주기식 쇼’가 아니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협력업체 직고용한 SK브로드밴드, 보여주기식 쇼였나​’ 기사 참조)

 

브로드밴드(SKB)를 둘러싼 논란은 이뿐만이 아니다. 야간 근로 등으로 유발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대처와 안전문제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노조는 주장하고 있다. 인터넷 설치 업무 등을 하는 노동자들은 전신주나 옥상 등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을 해야 하지만, 안전교육이나 산재 인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4월에도 홈앤서비스 대전지역 고객센터 소속으로 일하던 30대 수리기사가 아파트 계단에서 작업을 하던 중 뇌출혈로 쓰러져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2016년 9월에 이어 또다시 사망사고가 일어나자, 노조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2인1조 작업을 하도록 해 줄 것과, 온라인으로만 이수하던 안전교육을 전문 강사를 통한 집체교육(구성원을 단체로 모아 놓고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변경해 시행해 줄 것을 사측에 요구했다.

 

SK브로드밴드 홈앤서비스 노동자들은 정규직 전환 이후에도 처우가 개선되지 않았다고 말한다. 노조는 2월7일 SK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근로조건 개선을 촉구했다. © 희망연대노조 SKB비정규직지부 제공


 

홈앤서비스 측은 5월30일 사내 전산망에 게시한 애도의 글에서 “건강상 이유로 구성원 한 사람을 잃었다”고만 언급했다. 노조 관계자는 “이번 사고 역시 노조가 그동안 줄기차게 제기했던 회사의 실적 압박, 과도한 업무, 부실한 안전지침이 낳은 산업재해”라며 “이번 사고를 산재로 인정하고, 위험작업 때 2인1조 근무와 실적 강요 금지, 인원충원과 같은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법률상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의결하기 위해 노사 동수로 구성되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해야 하지만, 홈앤서비스는 산업안전보건위를 설치하지 않아 지난 4월 서울지방고용노동청으로부터 시정명령을 받기도 했다. 

 

SKB 관계자는 “회사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기간이 짧다보니 챙기지 못한 사안들이 있었다. 시정명령을 받은 이후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했다”며 “이제는 안전교육도 온라인으로 진행했던 부분을 집체교육으로 전환해 분기별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