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가는 지방도시들 살릴 수 있는 해법은?
  • 박성의 기자 (sos@sisajournal.com)
  • 승인 2018.10.23 12:2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저널 ‘GOOD CITY FORUM 2018’에서 열띤 토론…성경륭 前균형발전위원장 강연 등 이어져
10월23일 오전 밀레니엄 서울 힐튼 호텔에서 시사저널과 한국도시행정학회가 주최하는 굿 시티 포럼(GCF)이 열리는 가운데 성경륭 경제 인문사회 연구회 이사장이 키노트 스피치를 하고 있다. ⓒ시사저널 임준선 기자

 

 

한국의 도시가 ‘성장의 딜레마’에 빠졌다. 빠른 경제 성장과 기술 개발로 도시의 외형은 팽창하고 있지만, 정작 도시를 살아가는 시민은 활력을 잃고 있다. 왜 그럴까. 전문가들이 짚는 근본 원인은 하나로 요약된다. 바로 도시 발전에 ‘사람’이 빠졌다는 것이다. 도시에 빌딩과 자동차가 빼곡히 들어차는 사이, 어떻게 해야 사람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가는 고민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한국도시행정학회와 시사저널은 도시의 주인인 시민이 행복한 ‘착한 도시(Good City)’를 어떻게 만들어 나갈지 함께 고민하고자 10월23일 서울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GOOD CITY FORUM 2018’을 개최했다. 올해는 그 첫걸음으로 위기에 내몰린 지방의 현주소와 지방 소멸 위기에 어떻게 대응할지, 그리고 문재인 정부가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도시재생뉴딜 사업’이 지역 발전을 어떻게 이끌어낼지 심도 깊게 논의한다. 

 

개회사를 맡은 권대우 시사저널 사장은 “서울에서 지하철을 타다 보면 수많은 젊은이를 보게 된다. 이들 중 십분의 일이라도 지방에서 일하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 봤다. 지금의 지방은 사람이 없어 위기를 맞고 있기 때문”이라며 “오늘 강연에 나서는 정석 서울시립대 교수 명함에 적힌 글에서 문제의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 ‘소다연강미(小多連强美)’ 라고 적혀있었다. 즉, 작더라도 그 수가 많아지고 서로 이어지면 강하고 아름다울 수 있다는 얘기다. 이 문구에 더 살기 좋은 대한민국, 더 살기 좋은 지방을 만드는 작은 답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전 강연의 모더레이터로 나선 김상봉 한국도시행정학회장은 “지방 소멸이 회자되는 위기의 도시사회에서 주요 화두는 단연 도시재생이다”며 “이번 포럼이 사람 중심의 도시사회와 새로운 도시 르네상스를 활짝 개봉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본격적인 강연에 앞서 최광운 천안청년들 대표가 도시재생 사례를 발표했다. 최 대표는 관광불모지라 불리는 천안에서 2014년 게스트하우스를 창업, 첫해에만 2500여 명의 손님을 불러모은 성공한 청년창업가다. 그는 죽어가던 상권에서 성공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로 1년 간의 철저한 지역 분석 및 창업 공부를 들었다. 그는 “취업을 준비하는 데도 5년 가까운 시간이 필요한데, 창업에는 그만한 시간을 투자하지 않는다. 기껏해야 6개월 정도의 기간을 들여 창업에 뛰어든다면 실패할 확률이 클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참여정부에서 4년간 초대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을 맡았던 성경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은 오전 ‘Keynote Speech’(기조연설)에 나섰다. 참여정부 마지막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내기도 한 성경륭 이사장은 국가균형발전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문재인 대통령의 정부혁신·복지국가·지방분권 분야 공약의 틀을 만들었다. 

 

성 이사장은 “한국에 살면서 이사를 서른 번 가까이 했다. 그러나 어릴 적 살던 시골을 제외하고는, 그 어느 도시에서도 공간의 편안함을 느낀 적이 없다”고 털어놨다. 그는 그러면서 한국의 도시정책을 근본부터 뜯어고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성 이사장이 강조한 것은 재생에너지와 주택 간의 연계다. 즉, 집을 하나의 발전소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모든 주택과 건축물을 발전소로 만들어야 한다”며 “신축 건축물에 대한 새로운 기준과 규제가 필요하며 에너지 절약과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를 위한 기존 건물의 리모델링이 있어야 한다. 공공건물부터 시행하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진행된 오전 세션에서는 ‘지방 소멸 위기, 어떻게 대응하나’를 주제로 《지방도시 살생부》 저자 마강래 중앙대 교수와 《골목길 자본론》 저자 모종린 연세대 교수가 강연에 나서 지방 소멸 위기에 대한 진단과 해법을 제시했다. 

 

마강래 교수는 지방 도시가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했다. 현실을 무시한 장밋빛 전망만으로는 제대로 된 성장 플랜을 짤 수 없다고 꼬집었다. 마 교수는 이어 대도시권화는 일종의 ‘메가 트렌드’로 거스를 수 없다고 전망했다. 그는 “대도시권화라는 호랑이를 정면으로 맞서면 이길 수 없다. 다만 호랑이 등에 타서 그 힘을 이용하면 이길 수 있다”며 “결국 도시화가 문제는 아니다.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 다만 ‘거점도시를 어떻게 잘 운영할까’ 라는 전략적 차원의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모종린 교수는 골목상권의 중요성에 대해 강연했다. 모 교수는 홍대 상권의 부활 등을 예로 들며, 골목상권이 해당 지역 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나의 성공 창업 사례만 창출해낼 수 있다면, 해당 상권과 지역 경제가 빠르게 살아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결국 하나의 성공사례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 창업자 가치관과 지역 역사, 문화, 라이프스타일의 연결이 결국 관건이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오후에 진행될 ‘Session2 도시재생, 어떻게 시작할까’에서는 《도시의 발견》 저자 정석 서울시립대 교수와 《부동산 왜? 버는 사람만 벌까》 저자 심교언 건국대 교수가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위한 방법론에 대해 강연한다.

 

강연 후에는 도시재생 우수 지자체 사례 발표와 함께 도시재생뉴딜 사업의 성공적 안착과 관련한 토론회가 예정돼 있다. 김상봉 한국도시행정학회장의 사회로 진행될 토론회에는 김이탁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사업단 단장, 김종익 전국도시재생지원센터협의회 상임대표, 변창흠 세종대 교수, 김혜천 목원대 교수, 이상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수석연구원, 조준배 서울주택도시공사(SH) 도시재생기획처장이 참석한다.
​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