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보호단체들의 ‘깜깜이 후원금’
  • 정락인 객원기자 (sisa@sisajournal.com)
  • 승인 2019.01.22 14:00
  • 호수 152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소연 케어 대표, 후원금 중 3000여만원을 법률 자문 명목으로 받아갔다는 의혹 제기 돼
“동물보호단체, 한해 기부금만 40억 넘어…‘회계처리 투명공개’ 법적 강제조항 신설돼야”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반려 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섰다. 국민 5명 중 1명 이상이 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셈이다. 사람이 반려동물과 공존하는 모습은 도심 곳곳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반려동물은 이제 함께 생활하는 또 하나의 가족이다. 반려동물 관련 산업도 쑥쑥 성장해 2020년에는 6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동물 보호를 위한 동물복지법도 한층 강화됐다.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동물 구조나 보호단체들도 우후죽순 생겨났다. 그러나 동물을 보호해야 할 단체들이 오히려 동물을 학대하거나 죽이는 안락사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와 함께 유기동물을 돈벌이로 이용한다는 의혹도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대부분의 동물보호단체는 후원금이 운영비에서 절대 비중을 차지한다. 최근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동물보호단체를 후원하려는 사람들도 부쩍 늘었다. 문제는 이 후원금의 사용처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아 ‘깜깜이 후원금’이라고 불린다는 점이다. 어디에 어떻게 썼는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무분별한 안락사를 자행했다는 폭로가 나온 동물권단체 케어의 직원들이 1월12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박소연 케어 대표의 사퇴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연합뉴스
무분별한 안락사를 자행했다는 폭로가 나온 동물권단체 케어의 직원들이 1월12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박소연 케어 대표의 사퇴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연합뉴스

케어의 경우 박소연 대표가 후원금 중 3000여만원을 법률 자문 명목으로 받아갔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박 대표 개인의 보험료를 후원금으로 내온 사실도 드러났다. 이미 오래전부터 동물 구조 활동가들은 단체들의 ‘후원금 내역 투명공개’를 주장해 왔다. 또 후원금을 모으기 위해 동물을 이용한 과도한 이벤트나 연출을 삼가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사단법인 반려동물협회는 “빈곤이나 질병으로 곤경에 처한 이들의 상황을 자극적으로 묘사해 동정심을 일으키고 모금을 유도하는 광고 방식인 ‘빈곤포르노 동물판’”이라며 “화면에 비치는 동물의 모습이 비참할수록 동정심이 유발되고 모금액이 올라가는 것을 이용한다”고 비판했다. 

협회는 “순자산 규모가 70억원에 이르고 한 해 기부금만 40억원이 넘는 동물보호단체부터 최근 우후죽순으로 설립되는 군소 규모의 동물보호단체들의 ‘깜깜이 운영’은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며 “엄격한 기준의 회계처리와 투명한 공개가 가능할 수 있는 법적 강제조항이 신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관기사

유기동물보호센터가 아니라 ‘도살장’을 방불케 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