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남자 금성여자는 지구에선 못 산다
  • 노혜경 시인 (sisa@sisajournal.com)
  • 승인 2019.02.17 11:00
  • 호수 153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혜경의 시시한 페미니즘] 서로 다른 생물학적 특성 아닌 성차별적 분업구조가 문제

부부간의 대화법을 강의할 일이 있어 자료를 이것저것 챙겨보다가 생각보다 많은 교재들이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았다. 예를 들어 이런 문장이 있었다. “남자는 해결을 원하고 여자는 공감을 기대한다.” “남자는 목표지향적이고 여자는 관계지향적이다.” “남자는 동굴로 들어가고 여자는 이야기를 한다.”

정말일까? 부부에게는 소위 성격차이를 넘어서는 다양한 갈등 요인이 있다. 드라마 《사랑과 전쟁》 시리즈나 국민 고충상담 프로그램 《안녕하세요》를 봐도 그야말로 “세상에 이런 일이”를 외치게 하는 일들이 많고 남자란 또는 여자란 이러저러한 존재라는 틀로 바라보면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많다. 경제나 교육 같은 공적 요소들도 부부갈등의 주요한 원인이다. 그러니 ‘원래 이런 존재’라는 전제를 이야기한다는 것은 두 사람 간의 특수한 갈등을 해결하고자 대화법을 배우러 온 부부에게 대화가 아닌 통념으로 서로를 바라보라고 부추기는 꼴이다. 남자는 이렇고 여자는 저래서 소통장애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그러한 고정관념 이상으로 서로를 바라볼 줄 모르는 것이 문제 아닐까.   

ⓒ pixabay
ⓒ pixabay

생물학적 다름을 내세운 성별 분업적 구분

저 위에 인용된 문장은 출간된 지 어언 30년을 바라보는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라는 책에 나오는 문장들이다. 나도 이십 수년 전에 이 책을 읽었고, 그때 당시엔 이 책의 문제점을 잘 인식하지 못했다. 잘 이해할 수 없는 남편의 마음과 행동을 해설해 주는 듯한 편안함을 느끼기도 했다. 수많은 여성들이 이 책을 읽고 나처럼 생각했을 수도 있다.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팔려 나간 이 책 덕분에, 남자라는 존재와 여자라는 존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 듯 보였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점에서 이 책은 실패하고 있다. 이 책의 전제는 남자는 공적 영역에서 이성적인 ‘일’을 하고 여자는 사적 영역에서 ‘감정’을 담당한다는 것이다. 생물학적 다름을 내세운 성별 분업적 구분이 화성남자 금성여자가 말하는 차이의 의미다. 불과 30년쯤 전의 세상은 그렇게 구성되어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지금은 통념적 여성과 통념적 남성으로 구성된 부부라는 이미지 자체가 “이게 최선입니까? 확실해요?”라는 질문을 받는 시대다. 2030 세대 청년들 중 비혼 지향 인구가 50%를 넘었다는 통계도 있다. 부부대화법의 뼈대를 이루는 생각이 성별 분업적 화성남자 금성여자의 이미지에 머물러 있다면 비혼 선택 인구는 점점 더 늘 수도 있다.

현재 한국 사회의 젠더 문제는 남성과 여성의 서로 다른 생물학적 특성 때문이 아니라, 성차별적 분업구조로 인해 마땅히 지켜야 할 인권의 보장이 안 돼서다. 남자가 화성에서 오고 여자가 금성에서 왔든 말든, 지구에서 살아가기 위한 기본이 다를 리가 없다. 그 어떤 사람도, 그러니까 그 어떤 여자도 금성에 살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그 어떤 남자도 화성에 살지 않는다. 표준적인 인간은 어디에도 없는 인간이다. 우리가 심리학이나 사회학 등에서 도움을 구하는 것은, 통념을 강화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통념은 재구성될 수 있음을 배우고자 해서가 아닐까. 대화는 두 당사자가 평등하고 민주적으로 하는 것이지 ‘원래 이러한’ 이미지들을 확인하고 교환하는 것이 아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