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 벗어난 행로에서 마법적 순간들 만나”
  • 조철 북 칼럼니스트  (sisa@sisajournal.com)
  • 승인 2019.04.28 11:00
  • 호수 154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행의 이유》…여행담과 문학적 통찰 얽어낸 김영하 작가

“여행에 대한 치밀한 계획은 작가에게 필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여행이 너무 순조로우면 나중에 쓸 게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어느 나라를 가든 식당에서 메뉴를 고를 때 너무 고심하지 않는 편이다. 운 좋게 맛있으면 맛있어서 좋고, 대실패를 하면 글로 쓰면 된다. 대부분의 여행기는 작가가 겪는 이런저런 실패담으로 구성돼 있다. 계획한 모든 것을 완벽하게 성취하고 오는 그런 여행기가 있다면 아마 나는 읽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재미가 없을 것이다.”

김영하 작가는 어떤 소설을 쓰기 위해 여행을 떠나야 했다. 물론 다른 이유에서도 여행을 떠나긴 했을 터. 김 작가가 이런저런 여행의 이유를 밝힌 책을 펴냈다. 《여행의 이유》는 김 작가가 처음 여행을 떠났던 순간부터 최근의 여행까지, 오랜 시간 여행을 하면서 느끼고 생각했던 것들을 아홉 개의 이야기로 풀어낸 산문이다. 여행지에서 겪은 경험을 풀어낸 여행담이기보다는, 여행을 중심으로 인간과 글쓰기, 타자와 삶의 의미로 주제가 확장돼 가는 사유의 여행에 가깝다. 누구나 한번쯤은 떠올렸을 법한, 그러나 제대로 정리하지 못한 채 남겨뒀던 상념의 자락들을 끄집어내 생기를 불어넣는 김 작가 특유의 문학적 사유가 오롯이 담겼다. 

여행의 감각 일깨워 삶의 의미 돌아보게 해 

“꽤 오래전부터 여행에 대해 쓰고 싶었다. 여행은 나에게 무엇이었기에 그렇게 꾸준히 다녔던 것인가, 인간들은 왜 여행을 하는가, 같은 질문들을 스스로에게 던지고 답을 구하고 싶었다. 지나온 삶을 돌아보면, 그러니까 내가 들인 시간과 노력을 기준으로 보면, 나는 그 무엇보다 우선 작가였고, 그다음으로는 역시 여행자였다. 글쓰기와 여행을 가장 많이, 열심히 해 왔기 때문이다. 글쓰기에 대해서는 쓸 기회가 많았지만 여행은 그렇지 못했다.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쓰다 보니 정말 많은 것들이 기억 깊은 곳에서 딸려 올라왔다.”

김 작가는 2005년 집필을 위한 중국 체류 계획을 세우고 중국으로 떠났으나 입국을 거부당하고 추방당했던 일화를 시작으로 여행의 이유를 밝힌다. 누구에게든 흔치 않은 경험일 ‘추방’에서부터 뻗어나가는 작가의 이야기는, 사람들이 여행을 하는 목적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누군가에게 여행의 목적은 일상으로부터 벗어난 휴식일 것이고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새로운 경험과 배움일 것이다. 그러나 여행에는 늘 변수가 생겨나기 마련이고, 그것은 행로를 바꾸고 어떤 경우 삶의 방향까지 바꾸기도 한다. 애초 품었던 여행의 목적이 여행 도중 발생하는 우연한 사건들로 미묘하게 수정되거나 예상치 못했던 무언가를 목적 대신 얻게 되는 경험, 작가는 이것이 이야기의 가장 오래된 형식인 여행기가 지닌 기본 구조이며 인생의 여정과도 닮았기에 사람들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모험 소설과 여행기를 좋아해 왔다고 말한다. 

“‘추구의 플롯’으로 분류할 수 있는 이야기들이 대체로 주인공의 여정을 다루고 있다는 것은 거꾸로 여행기가 ‘추구의 플롯’으로 쓰일 수 있고, 쓰여야 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암시한다. ‘추구의 플롯’에서는 주인공이 결말에 이르러 ‘뜻밖의 사실’을 알게 되고, 그것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다고 하지만, 여행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뜻밖의 사실’이나 예상치 못한 실패, 좌절, 엉뚱한 결과를 의도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내면에는 미처 깨닫지 못하는 강력한 바람이 있다. 여행을 통해 ‘뜻밖의 사실’을 알게 되고, 자신과 세계에 대한 놀라운 깨달음을 얻게 되는 것, 그런 마법적 순간을 경험하는 것, 바로 그것이다.” 

김 작가는 일상과 가족, 인간관계에서 오는 상처와 피로로부터 도망치듯 떠나는 여행에 관해서도 이야기한다. 집 안 벽지의 오래된 얼룩처럼 마음의 상처는 쉽게 치유되거나 지워지지는 않지만, 여행은 불현듯 그에 맞설 힘을 부여해 주기도 한다며. 


섬세하고 지적인 사유의 여행으로 안내 

“풀리지 않는 삶의 난제들과 맞서기도 해야겠지만, 가끔은 달아나는 것도 필요하다. 중국의 고대 병법서 《삼십육계》의 마지막 부분은 ‘패전계’로 적의 힘이 강하고 나의 힘은 약할 때의 방책이 담겨 있다. 서른여섯 개 계책 중에 서른여섯 번째, 즉 마지막 계책은 ‘주위상(走爲上)’으로, 불리할 때는 달아나 후일을 도모하라는 것이다. 흔히 ‘삼십육계 줄행랑’이라고 하는 말이 여기서 온 것이다. 인생의 난제들이 포위하고 위협할 때면 언제나 달아났다. 이제 우리는 칼과 창을 든 적과 싸우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다른 적, 나의 의지와 기력을 소모시키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적과 대결한다. 때로는 내가 강하고, 때로는 적이 강하다. 적의 세력이 나를 압도할 때는 이길 방법이 없다. 그럴 때는 삼십육계의 마지막 계책을 써야 한다.”

김 작가는 방송 프로그램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에 출연하면서 보여준 그만의 감각적 사유와 화법을 《여행의 이유》에서도 유감없이 발휘한다. 흥미진진한 인문학적 통찰뿐 아니라,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김영하 스토리텔링’의 힘을 느낄 수 있다.

“여행은 과거에 대한 후회와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주는 힘이기도 하며, 인류의 속성이기도 하다. 철학자 가브리엘 마르셀은 인류를 호모 비아토르(Homo Viator), 즉 여행하는 인간으로 정의하기도 했다. 앉은 자리에서 모든 정보에 접속 가능한 현대에 이르러서도 ‘오버투어리즘’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여행 인구는 멈출 기색 없이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왜 끊임없이 여행을 갈망하는가. 일상의 장소를 벗어나 생생하고 색다른 경험을 하길 바라는 마음, 여러 가지 일들로 번잡해진 머리를 비우고 먼 곳에서 홀로 휴식을 취하고픈 마음은 우리를 ‘여행하는 인간(호모 비아토르)’으로 만든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