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도발] 아베가 ‘反韓’ 굳힌 세 가지 포인트
  • 구민주 기자 (mjooo@sisajournal.com)
  • 승인 2019.07.15 08:00
  • 호수 155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감정 돋운 3대 사건은 독도 방문, 친중 행보,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기본적으로 한국과 친해질 수 없는 인물이다. 일본의 군국주의를 긍정하고 침략 전쟁을 정당화하는 역사관을 자주 드러내온 그에게 더 이상 과거사에 대한 조건 없는 사과를 기대하는 이들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그가 오늘날 한국에 대한 일부 수출 규제를 결단하기까진 그동안 그의 반한(反韓) 감정을 돋운 일련의 사건들이 존재했다.(연표 참고)

시사저널은 아베 정권 전후 한·일 관계의 여러 굴곡을 최일선에서 겪은 역대 주일대사 5인과 복수의 일본 전문가들을 인터뷰했다(시사저널 1552호 커버스토리 - 역대 주일대사 5인이 본 한·일 관계 “일본은 더 이상 한국에 미안해하지 않는다”기사 참고). 이들은 하나같이 “지금의 한·일 관계가 해방 이래 최악”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아베의 깊은 반한감정과 이번 결단을 비단 근래 한두 가지 사건, 혹은 참의원 선거를 앞둔 일본의 정치적 상황만으로 해석하는 것은 적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 연합뉴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 연합뉴스

아베의 反韓 시작점은 2012 MB 독도방문

한·일 관계 전문가들은 일제히 아베가 처음 한국에 등을 돌린 시작점을 2012년 8월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으로 꼽았다. 아베가 정식으로 집권하기 직전에 벌어졌지만, 아베의 반한 감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당시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과 이어 나온 일왕에 대한 위안부 사죄 요구 발언으로 인해 일본 내에선 혐한론이 들끓었다. 신각수 당시 주일대사는 이 문제로 한 달에 4차례나 일본 외무성에 불려가 항의를 들었다고 전했다.

박근혜 정부 초반에도 위안부 문제와 박 대통령의 노골적인 친중(親中) 행보로 한·일 관계는 줄곧 냉랭하기만 했다. 2년 넘게 정상회담은 이뤄지지 않았고, 국제행사에서도 박 대통령과 아베 사이엔 찬바람이 불었다. 특히 아베가 박 대통령과의 대화를 계속 구걸하는 듯한 모습으로 비춰진 게 아베의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힌 것으로 분석한다. 일각에선 박 대통령이 2015년 중국 건국일에 시진핑 주석과 천안문 망루에 나란히 선 모습에 아베의 반한 감정이 제대로 폭발했다고 전했다.

아베, 대법원 강제징용 배상 판결 후 이번 결단 내린 듯

그해 말, 한·일 위안부 합의로 양국은 모처럼 우호 관계로 전환됐지만, 훈풍은 오래가지 못했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후론 크고 작은 충돌이 연달아 터졌다. 대표적으로 2018년 문재인 정부의 한·일 위안부 합의 재검토와 화해치유재단 해산 논의가 이어지면서 아베는 “한국은 약속을 지키지 않는 나라”라며 일본 내 반한 여론을 강하게 조성해 나갔다. 결정적인 사건은 지난해 10월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이었다. 이 판결 이후 아베가 본격적으로 한국에 대한 보복 조치를 계획했다는 건 공공연한 사실로 전해진다.

일본은 위안부 합의 재검토 결정과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시정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이에 대해 어떠한 번복도 할 수 없다고 맞서는 가운데 한·일 갈등이 한동안 캄캄한 터널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