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월째 ‘저물가’, 퍼지는 ‘D-공포’
  • 공성윤 기자 (niceball@sisajournal.com)
  • 승인 2019.08.01 16:5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 작년 대비 0.6% 상승…통계청 “저물가 지속되는 ‘디스인플레이션’”
정부는 “일시적 요인 때문”

물가 상승률이 7개월째 0%대에 그치면서 물가 하락 가능성이 불거지고 있다. 이는 경제 공황의 전조인 디플레이션(물가가 떨어져 경제 활동이 침체되는 현상)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정부는 이러한 우려에 대해 선을 그었다. 

6월4일 오전 서울의 한 마트의 모습. ⓒ 연합뉴스
6월4일 오전 서울의 한 마트의 모습. ⓒ 연합뉴스

통계청이 8월1일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56을 기록했다. 6월 대비 0.3% 하락했고, 지난해 7월보다 0.6% 올랐다. 전년 대비 물가상승률은 올 1월 0.8%를 기록한 이후 지금까지 7개월째 1%를 밑돌고 있다. 2015년에 10개월 동안 0%대를 유지한 이래 최장 기간이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지난해에 비해 0.3% 하락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채소류의 감소폭이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축산물도 2.7% 감소했다. 공업제품 중에선 석유류가 5.9% 하락했다. 통신과 교통서비스도 각각 2.6%, 1.6% 떨어졌다. 

물가가 떨어지는 디플레이션이 나타났다는 건, 그만큼 돈의 가치가 올랐다는 뜻이다.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재화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사람들은 돈쓰는 것을 주저하게 된다. 이는 더 큰 물가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 나중에는 생산 위축으로 이어져 경제의 악순환을 낳는다. 디플레이션이 ‘D의 공포’로 불리며 당국의 경계 대상이 되는 이유다.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저물가는) 농축산물과 석유류 등 외부 요인에 의한 것”이라며 “총체적인 수요 부족에 의한 현상이라 단정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시적인 정책적 요인에 따른 0%대 물가 성장은 디플레이션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저물가가 지속되는 디스인플레이션이라고 생각된다”고 했다.

이 과장은 “외식물가는 꾸준히 올랐고 가사도우미 비용 등 개인서비스 항목의 상승 폭도 컸다”고 했다. 실제 ‘음식 및 숙박’ 항목은 올 1월부터 7월까지 줄곧 1~3%대 상승률이 지속됐다. 외식 종류 가운데 서민들과 밀접한 품목의 가격도 비싸졌다. 그 상승률은 죽(6.0%), 김밥(5.5%), 치킨(5.2%), 자장면(4.3%), 짬뽕(4.3%)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개인서비스는 1.9% 올랐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