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춘호 인터뷰③] "과거 학생운동 했다고 정치해선 안돼"
  • 송창섭 기자 (realsong@sisajournal.com)
  • 승인 2019.08.28 14:00
  • 호수 155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간30주년 특별기획 ] 대한민국, 길을 묻다 (28)
'민주화 투사' 예춘호 전 민추협 부의장

혼돈의 시대다. 혹자는 난세(亂世)라 부른다. 갈피를 못 잡고, 갈 길을 못 정한 채 방황하는, 우왕좌왕하는 시대다. 시사저널은 2019년 올해 창간 30주년을 맞았다. 특별기획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종교 등 각계 원로(元老) 30인의 ‘대한민국, 길을 묻다’ 인터뷰 기사를 연재한다. 연재 순서는 인터뷰한 시점에 맞춰 정해졌다.

(1)조정래 작가 (2)송월주 스님 (3)조순 전 부총리 (4)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5)손봉호 기아대책 이사장 (6)김원기 전 국회의장 (7)김성수 전 대한성공회 대주교 (8)박찬종 변호사 (9)윤후정 초대 여성특별위원회 위원장 (10)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11)한승주 전 외무부 장관 (12)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 소장 (13)허영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 (14)이종찬 전 국회의원 (15)남재희 전 노동부 장관 (16)박관용 전 국회의장 (17)송기인 신부 (18)차일석 전 서울시 부시장 (19)임권택 감독 (20)이인호 서울대 명예교수 (21)이문열 작가 (22)송두율 전 독일 뮌스터대 교수 (23)역사학자 이이화 선생 (24)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 (25)강상중 도쿄대 명예교수 (26)손숙 예술의전당 이사장 (27)한승헌 변호사 (28)예춘호 전 민추협 부의장

예춘호 전 민추협 부의장은 부산 영도에서 사업을 크게 한 부친 덕분에 어릴 적 비교적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다. 1995년 극동경금속회사를 차릴 수 있었던 것도 집안의 도움이 컸다. 당시 그의 회사는 주로 ‘양은냄비’라고 불리는 가정용 식기를 만들어 판매했다.

예 전 부의장은 1957년 부산시 영도구 동삼동에 난민주택을 처음 만들었다. 부산시가 내놓은 10만 평의 땅에 건평 5~7평짜리 집을 짓는 대규모 개발사업이었다. 당시 영도는 전국에서 몰려온 피난민들로 넘쳐났다. 당초 외자가 투입될 계획이었지만, 우여곡절 끝에 없던 일이 됐다. 이 일은 고스란히 예 전 부의장 몫이 됐다. 막대한 돈이 들어갔지만, 이는 훗날 예 전 부의장이 영도에서 정치적으로 성장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예춘호 전 의원 등 지난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관련자 30여 명이 1994년 5월17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이 내란죄를 범했다고 주장하며 검찰의 엄정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 연합뉴스
예춘호 전 의원 등 지난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관련자 30여 명이 1994년 5월17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이 내란죄를 범했다고 주장하며 검찰의 엄정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 연합뉴스

민주화운동을 함께한 지금의 후배들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십니까.

“지금 보면 내가 학생운동 했기 때문에 꼭 정치를 해야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거 같아요. 대가를 얻고자 하는 거지. 요즘 보니 장기표(신문명정책연구원)도 나와 떠들고 다니던데. 요즘 정치인들은 신념이 없어 보여요. 정치에 대한 신념을 한 정당에서만 펼쳐야지 이 정당, 저 정당 기웃거리면 되겠어요. 자기 신념도 없이 말이지. 우리가 3선 개헌도 반대하고 유신도 반대했지만, 명예욕 내지는 무슨 후광을 보고 하는 게 아니잖아요. 바르게 사는 게 첫째고, 그다음은 ‘사실을 사실대로 승복하고 바른 것은 바르다’고 주장할 수 있는 용기가 있으면 좋겠어요. 토머스 홉스가 쓴 《리바이어던》에 나오는 말인데 지금은 사실인데도 막 거짓말을 하고 있으니.”

정치에 대한 염증이 심각한 수준입니다.

“문재인 정부의 가장 큰 문제가 뭐냐면, 전임자가 했던 것을 모조리 뒤엎고 있는 거예요. 한·일 갈등만 해도 그래요. 국가 대 국가가 결의한 것 아닙니까. 후임자가 이렇게 하면 전임자 존재가 부정되는 거잖아요. 대법관들도 한·일 협정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판결을 해야 하는데….”

문재인 정부의 적폐청산을 보시면 어떤 생각이 드십니까.

“그게 말이 안 돼요. 걱정되는 게 우리 정체성을 뒤흔드는 일이지요. 가령 자주국가에서는 정부의 모든 결정은 국회의 비준을 받아야 해요. 그런데 지금 그런 걸 안 해. 민주정부에선 국회를 중심으로 모든 게 돌아가야 하는데…. 국무회의도 형식적이고. 청와대 참모는 비서에 불과해요. 정책을 집행하고 책임지는 것은 국무위원이지요. 그러니까, 국무위원을 제대로 뽑아야 해요. 지금 청문회라는 것도 그래. 그 일을 잘할 수 있는지, 신념이 있는지는 보지 않고, 사생활만 무조건 파니, 누가 장관을 할 수 있겠어요.”

노무현 전 대통령과도 있으신가요.

“특별히 그런 건 없고. 내가 3선 개헌 반대로 공화당에서 제명됐어요. 그때 부산에서 검찰 조사를 받는데 김광일(전 국회의원)이를 만났지요. 그 사람이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의 오야붕(리더)이었지요.”

전임 정부가 불명예 퇴진한 것 때문에 더 그런 거 아니겠습니까.

“지금 문재인 대통령의 멘토라고 하는 사람 중에 백낙청 교수(서울대 명예교수)라고 있잖아요. 그 사람이 어디에 글을 썼다고 하던데. 촛불시위는 시민혁명이며 남북한과는 언젠가 낮은 단계의 국가연합을 시도해야 한다고 말이지. 솔직히 대한민국의 정체성이 뭡니까. 자유무역주의와 시장경제 아닌가요. 지금 일부 젊은이들이 6·25(한국전쟁)가 북침이라고 말하던데, 정말 큰일 날 소리예요.”

해방 이후 혼란기와 비교하면 어떻습니까.

“6·25는 미군이 철수해 생긴 일이에요. 미군이 빠지니까, 일요일에 북한이 바로 쳐들어온 거지요. 문재인 대통령도 6·25를 남침이라고 인정하지 않는 거 같아 안타까워요. 취임 후 6·25 행사에 한 번도 안 나갔다고 하던데. 다시 말하지만 한·미 동맹이 없어지면 우리 국방은 없습니다.”

지금의 정치사회적 갈등을 어떻게 해소해야 할까요.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설도 종종 흘러나오고 있는데요.

“전두환이도 사형선고를 받았지만 2년밖에 안 살았어요. 어찌 됐건 대통령으로서 국가에 공헌한 게 있으니, 풀어줘야지요. 결국 안 풀어줄 수 없는 거 아닌가요.”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