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능력 줄어든 경남·창원 제조업의 위기
  • 부산경남취재본부 이상욱 기자 (sisa524@sisajournal.com)
  • 승인 2019.11.08 11:4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력 산업인 기계장비·자동차 업황 부진으로 고용 감소

우리나라 기계산업의 메카인 경남 창원의 제조업 근로자 수가 올 들어 매분기 감소하고 있다. 주력 산업인 기계장비와 자동차 업황 부진 등의 여파 때문이다. 2010년 2분기 10만7280명이었던 제조업 종사자는 11만1201명까지 늘었다가 다시 쪼그라드는 형국이다.

최근 창원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019년 3분기 창원 고용동향'에 따르면 올 3분기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 수는 25만1599명으로 1년 전 보다 3017명 증가했다. 그러나 근로조건과 급여수준이 좋아 부가가치 창출력이 뛰어난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10만8398명)는 전년 대비 2.2% 감소했다.

경남 창원의 한 자동차 부품공장 모습 ©연합뉴스
경남 창원의 한 자동차 부품공장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기업의 투자 의욕을 높여야만 제조업 고용 개선"

고용보험은 사업주가 직원을 고용하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기 때문에 가입자 수는 취업자 증가 통계로도 활용된다. 고용보험 미가입자(영세 사업장 근로자, 일용직 근로자, 자영업자 등)들은 통계에서 제외돼 전체적인 고용 여건이 개선됐다고 보긴 힘들다는 분석이 나온다.

고용보험 가입자 수 증가는 서비스 업종이 견인했다. 3분기 서비스업 근로자 수는 12만9811명으로 전년 대비 5759명(4.6%) 증가했다. 2017년 이후 가장 많은 종사자다. 서비스업 업종별 피보험자 증가 수는 각각 예술·스포츠 및 여가(33.9%), 숙박 및 음식점업(13.7%), 보건업 및 사회복지(8.2%) 등이다. 

하지만 제조업은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3분기 제조업에서 일하는 근로자 수는 10만8398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11만814명)과 비교해 2416명 줄었다. 비율로 따지면 1년 새 고용인원이 2.2% 줄어든 것이다. 분기별로 살펴보면 작년 4분기 11만1201명을 기록한 이후 3분기 연속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 초부터 분기당 1000여명씩 줄어들고 있다. 전년 동기 대비 감소율도 0.7(1분기)~2.2%(3분기)로 상당히 가파른 편이다.

구조조정이 대체로 마무리된 식료품(1.6%),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1.6%), 전기장비(1.0%) 등에서의 근로자 수는 증가했다. 하지만 금속, 자동차, 기계 등 주력 산업 업황 악화로 생산이 부진해 제조업 근로자 수 감소 추세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창원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제조업 근로자 수 감소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3분기에는 기업 불황에 의한 인원 감축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이는 창원지역 제조업 불황이 3분기까지 계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고용률, 실업률 등 노동시장 지표는 대표적인 경기후행(後行) 지표로 꼽힌다. 경제 여건이 나아져 기업이나 소상공인이 설비를 늘리거나 점포를 확장해야 고용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를 감안하면 3분기 창원의 고용동향은 경기 상황과 맞물려 있다.

경남의 제조업 생산은 2017년 이후 계속 둔화하고 있다. 창원은 경남 경제의 바로미터 지역인 만큼 경남과 같은 추세다. 한국은행 경남본부에 따르면 지난 8월 중 중소기업 평균가동률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9% 하락했다. 생산실적을 생산능력으로 나눠 산출하는 이 지수는 일반적으로 경기활력이 살아날 때 높아진다.

제조업 생산능력이 감소한 게 큰 영향을 미쳤다. 8월 제조업생산능력 지수는 전년대비 6.9% 감소했다. 기계장비와 자동차 부문 부진에 따른 결과다. 이 지수는 창원 경제의 핵심인 제조업의 생산 기반이 광범위하게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3분기 제조업에서만 근로자 수가 감소한 것도 제조업 위기의 현주소를 반영하고 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일까. 가장 직접적인 요인은 제조업생산능력의 주요 구성요소인 설비투자 부진이다. 경남의 8월 제조업 설비투자실적 BSI는 92로 전월에 비해 1포인트 하락했다. 창원의 한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가 경제 활성화의 출발점인 기업의 투자 의욕을 높여야만 제조업 고용 등이 개선된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