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스러져가는 청년 광복군 유산
  • 오종탁 기자 (amos@sisajournal.com)
  • 승인 2019.11.21 15: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년 광복군’ 6000리 대장정 취재기 ②…홀대 받고 폐허 되고
청년 광복군들이 몸과 마음을 씻고 애국가도 불렀던 불로하 주변은 폐허로 변했다. 녹조가 잔뜩 끼고 주변은 쓰레기장을 방불케 한다. ⓒ 시사저널 오종탁
청년 광복군들이 몸과 마음을 씻고 애국가도 불렀던 중국 불로하는 흉물로 변했다. 물에 녹조가 잔뜩 끼고 주변은 쓰레기장을 방불케 한다. ⓒ 시사저널 오종탁

11월 13일부터 19일까지 중국에서 청년 광복군들의 흔적을 따라간 독립유공자 후손 19명과 일반 시민 14명 등 탐방대원들은 곳곳에서 난관을 만났다. 기념비가 온데간데없는가 하면 현지의 급격한 변화 속 언제까지 유지될 수 있을지조차 불투명한 탐방지도 있었다. 중국과 한국 정부 모두 여기에 무관심할 뿐이다. 자연스레 일제강점기 말 청년 광복군의 항일 정신은 역사의 뒤편으로 더더욱 밀려나는 모습이다. 

탐방대원 33명이 11월15일 중국 부양시 임천현에 도착했다. 관광객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조용한 시골 지역이다. 탐방대가 이곳을 찾은 이유는 청년 광복군의 발자취를 찾기 위해서다. 고(故) 장준하 선생 등 일본군을 탈출한 조선인 학도병 일행은 1944년 8월 중국 중앙군관학교 임천분교의 한국광복군훈련반(한광반)에 입소했다. 

온데간데없이 사라진 ‘한광반’ 기념비 

한광반은 중경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광복군총사령부 지시에 따라 김학규 선생이 일본군에서 탈출한 학도병 등을 모아 만든 조직이다. 75년이 지난 지금 임천제4중학교가 터를 점유하고 있다. 마침 수업을 마친 학생들이 우르르 달려 나와 어수선한 와중에 탐방대원들이 뭔가를 바삐 찾았다. 한광반이 훈련받았던 곳임을 알리는 비석이다. 광복회가 현지 협조를 구해 2003년 설치한 이 기념비는 현재 사라지고 없었다. 학교 측에서 철거 전 협의를 요청해 오진 않았다. 비석의 행방이나 존재 여부조차 모르는 상황이다.

 
고(故) 장준하 선생의 항일 장정 회고록 《돌베개》에 수록된 한국광복군훈련반 기념비 사진. 중국 중앙군관학교 임천분교 터에 2003년 설치된 이 비석은 돌연 철거됐고, 행방이나 존재 여부조차 모르는 상태다. ⓒ 시사저널 오종탁

한광반의 다른 흔적이라도 찾아보려 애썼으나 허사였다. 독립유공자 후손들은 “혹시 한광반 훈련 때 심겨 있던 나무가 있을까 찾아봤는데, 아무것도 없다”며 허탈해했다. 임천제4중학교 학생들은 한국인들이 왜 단체로 찾아왔는지 모른 채 그저 신기해할 뿐이었다. 권태운 장준하기념사업회 사무총장은 “학교 시설이 (재정비 등으로) 변화하면서 기념비가 철거된 듯하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정부가 학교 안에 대한민국 광복군 기념물을 두는 데 대해 탐탁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다”며 “만약 중국공산당(현 집권 세력) 관련 유산이었다면 큰 박물관을 세우지 않았겠느냐”고 반문했다. 중국 중앙군관학교 임천분교는 국민당 산하였다. 

이런 현실은 중국 내 대한민국 임시정부 관련 유적도 마찬가지다. 모종혁 시사저널 중국통신원은 “임시정부 요인들이 1938년 두 달여간 머물렀던 중국 광주 백원 별장의 경우 그 어떤 유적화 작업도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의 취재에 따르면, 백원 별장 건물에서 70m 떨어진 곳에 중국공산당 3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 기념관이 있다. 중국에서 공산당 관련 유적은 ‘혁명 성지’로 특별 보존·관리된다. 모 통신원은 “이런 상황에 중국 국민당의 도움 아래 청사를 빌려 썼던 임시정부의 처지가 현 중국 정부 입장에서 그리 달갑지 않을 것이다. 국민당 정부는 대만 정부로 이어졌기 때문”이라며 “중국 내 복수의 역사학자들에게 물어봐도 이구동성으로 ‘공산당 혁명 성지 코앞에 국민당과 연관된 외국 정부의 건물을 유적화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하더라”고 전했다. 

中, 국민당 도움받은 광복군 역사 홀대 

중경에서 탐방대가 방문한 광복군총사령부 청사는 심지어 도시 재개발 사업에 따라 2015년 헐렸다가 올해 복원됐다. 2017년 12월 문재인 대통령이 중경을 방문해 중경시 정부에 직접 요청하면서 겨우 부활했다. 다만 복원 건물은 광복군총사령부 청사의 원래 모습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청년 광복군들에게 도움을 줬던 구(舊) 남양전구사령부 건물. 문화재로 잘 관리되지 않는 모습이다. 직업학교 학생들이 이곳에서 탁구를 치기도 한다. ⓒ 시사저널 오종탁
청년 광복군들에게 도움을 줬던 남양전구사령부 건물. 문화재이지만 잘 관리되지 않는 모습이다. 바로 옆 직업학교 학생들이 이곳에서 탁구를 치기도 한다. ⓒ 시사저널 오종탁

장준하 선생 일행에게 도움을 줬던 남양전구사령부나 이종인 부대 등 국민당 관련 시설 유적은 일찌감치 문화재가 됐으면서도 무관심 속 방치되다시피 했다. 남양전구사령부는 직업학교인 남양경제무역학교 운동장에 쓸쓸히 남아있다. 담벼락엔 건물의 역사와 관계없는 형형색색 광고판 3개가 붙었다. 바로 앞에 설치된 농구대에 한 학생이 연신 공을 뿌리는 중이었다. 심지어 사령부 유적 안에 탁구대가 설치돼 있기도 했다. 

이종인 부대 역사박물관은 찾는 이가 거의 없었고, 관련 시설인 복민병원 건물은 일반인이 접근할 수도 없었다. 복민병원 건물은 노하구시 공산당위원회 경내에 있다. 탐방대가 사전에 연락을 취해 구두로 입장 허가를 받았는데, 방문 당일 경비원은 ‘인계받은 사항이 없다’며 끝내 출입을 거부했다. 탐방 취지를 설명하며 사정해도 소용없었다. 이광석 광복회 서울시 종로구지회장은 “이렇게 오랜 시간 걸려 와서 보지 못하다니 당황스럽다”면서 “관계 기관, 현지인과 소통해 기념비, 과거 사진 등을 속히 찾아야 할 것 같다”며 발을 동동 굴렸다. 

중국의 급격한 개발 속 사라져가는 현장도 눈에 띄었다. 장준하 선생 회고록 《돌베개》에서 가장 극적인 부분은 단연 일본군을 탈출한 초기에 관한 회고다. 갓 탈영해 생사의 기로에 선 청년 학도병 무리를 가려준 수수밭, 망중한을 즐겼던 불로하 등은 난개발과 환경오염 속 퇴색해버렸다. 

급격한 개발과 관리 소홀 문제 심화 

특히 불로하는 녹조가 잔뜩 끼고 주변이 쓰레기장처럼 변해 있었다. 불로하에서 학도병들이 불렀던 애국가는 이들의 항일 정신을 보여주는 결정체다. 장준하 선생은 《돌베개》에서 당시 감격에 대해 “아직도 그 불로하 강변의 숭고한 아름다움을 잊지 못한다. 가슴에 아로새겨진 그 조국애의 결의. 애국가의 힘이 그처럼 벅찬 것임은 아직도 감격스러운 회상의 과제로 내 가슴에 남아 있다”면서 “내가 한반도의 자손임은 애국가를 부를 때마다 새삼스러워진다. 그 강변에 선 이후부터”라고 묘사했다. 

그러나 폐허로 변한 불로하는 청년들이 애국심을 고취한 곳이라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처참했다. 김소명(한성여고 1학년)양은 “우리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이 깃들어 있는 불로하가 더럽고 관리되지 않는 게 충격적”이라면서 “다음 세대에 우리 역사를 잘 물려줘야 할 텐데 안타깝다”고 말했다.

청년 광복군들이 탈출해 나온 일본군 쓰카다부대 터 ⓒ 시사저널 오종탁
청년 광복군들이 탈출해 나왔던 일본군 쓰카다부대 터 ⓒ 시사저널 오종탁

학도병들이 복무했던 중국 서주 내 일본 쓰카다부대 터와 관련, 중국 현지 가이드는 “(광복군의 흔적을 느껴볼 수 있는) 수수밭은 이미 오래전 사라졌다”며 “논밭이 있었을 때는 부동산업자들이 우르르 시장, 당서기 등을 찾아가 고급 주택단지를 개발하게 해달라고 요청했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1993년에 이어 26년 만에 아버지 장준하 선생의 탐방 루트를 되밟은 장호권 광복회 서울시지부장은 “이전 방문 때도 관리는 되지 않았지만 주변 환경이 크게 안 바뀌었던 터라 청년 광복군의 발자취를 어렴풋이나마 상상해볼 수 있었다”며 “이번 탐방에서는 중국의 급격한 도시화 탓에 과거의 느낌을 받지 못했다. 이대로 가면 세월이 흐를수록 더 악화할 게 명약관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해외 24개국에 퍼져 있는 우리 독립운동 유적은 모두 900여 곳으로 파악된다. 이 가운데 중국에 있는 유적이 400여 곳으로 가장 많다. 그러나 관리 소홀과 약한 외교력에 국민들의 무관심까지 겹치며 민족혼이 깃든 중국 내 독립운동 유적들은 스러져가고 있다. 이번 탐방에 참여한 정동웅 광복회 서울시 영등포구지회장은 “독립유공자 후손들인 우리는 이미 나이가 많아져 변화를 만들어내기가 버거운 게 사실”이라며 “그런데 정부, 젊은 세대 등 어디를 바라봐도 희망이 보이지 않는 것 같아 잠이 오지 않을 정도”라고 토로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