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이 총선에서 실패한 네 가지 이유[시사끝짱]
  • 조문희 기자 (moonh@sisajournal.com)
  • 승인 2020.04.23 17:2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원석 정의당 정책위의장이 말하는 21대 총선 리뷰

정의당의 실패는 쓰라렸다. 한 때 15% 넘는 지지율을 자랑하며 21대 국회에서 교섭단체 구성을 노리던 정의당의 꿈은 한 순간에 무너져 내렸다. 75명의 지역구 후보 가운데 심상정 후보(경기 고양갑 당선) 한 명만 당선됐으며, 20대 국회 의석수에 비해 단 한 석도 늘어나지 않았다. 정의당은 왜 실패한 걸까.

ⓒ 시사저널tv
ⓒ 시사저널tv

“선거제도 허점에 발목 잡혔다”

박원석 정의당 정책위의장은 22일 시사저널TV 《시사끝짱》에 출연해 정의당이 실패요인에 대해 4가지를 꼽았다. 가장 먼저 언급한 것은 거대 양당이 비례위성정당으로 준연동형 비례선거제를 무력화한 것이었다. 박 의장은 “선거제도 허점에 발목 잡혔다”면서 “위성정당이라는 꼼수가 없었다면 교섭단체 규모에 근접했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실제 미래한국당과 더불어시민당 등 위성정당을 제외하고 21대 총선 최종득표율을 기준으로 다시 의석수를 계산하면, 정의당은 15석을 얻는 것으로 나온다.

정의당은 선거제도 개혁을 선두에서 이끌었으나, 결과적으로 바뀐 선거법의 최대 피해자가 됐다. 다른 정당이 위성정당이라는 꼼수를 마련할 때조차 정의당은 ‘신념에 어긋난다’며 올라타지 않았다. 다만 그 과정이 매끄럽진 않았다. 민주당이 비례연합정당을 제안했을 때 내부적으로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이면서다. 박 의장은 “위성정당이 현실화하는 국면에서 정치적으로 능숙한 대응을 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심상정 넘어서는 메신저 발굴해야”

박 의장은 실망스러운 총선 성적표를 제도 탓만으로 돌리진 않았다. 그는 고질적인 인재난과 부족한 지역기반을 언급하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는 “지역구에서 심상정 의원만큼의 존재감을 드러낸 후보가 없었다”며 “지역에서 경쟁력을 길러 자립적으로 당선될 수 있는 후보를 만드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번 총선에서 정의당 지역구 후보 75명 중 정당 득표율(9.67%)보다 더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후보는 심 대표(39.3%)와 여영국(34.8%), 이정미(18.3%), 윤소하(11.8%), 권영국(11.5%) 후보 등 5명에 불과하다. 경기 고양을에 출마했던 박 의장 역시 7.5%의 득표율을 얻고 고배를 마셨다.

비례대표 자질 논란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21대 국회 최연소 당선인이라는 타이틀을 얻은 류호정 비례대표를 둘러싼 대리게임 논란 때문이다. 박 의장은 그에 대해 “해결해야 할 숙제”라면서도 “정의당의 청년 비례대표들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당 차원의 대책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정의당이 나아갈 방향은 무엇일까. 박 의장은 “여당 쏠림 현상 때문에 원내에서는 정의당의 존재감이 축소될 수 있다”면서 “원내외를 아우르며 다양한 정치‧사회적 의제를 발굴하는 노력을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2년 뒤 대선에서는 정의당이 의제를 선점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