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4대 금융지주 대출 우산 접을 때 카뱅 홀로 펼쳤다 
  • 김종일 기자 (idea@sisajournal.com)
  • 승인 2021.01.20 14: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용대출의 98.5%가 고신용자…‘쏠림’은 여전

코로나19 위기 국면에서 신한·KB·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 산하 은행들이 중·저신용자 대출을 빠르게 줄인 반면 카카오뱅크는 그 비중을 유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카카오뱅크 가계자금 대출의 95% 이상, 신용대출의 98% 이상이 1~4등급의 고신용자에게 쏠려 있는 점은 여전했다. 

시사저널이 국회 정무위원회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9월말 기준 카카오뱅크의 가계자금 대출 현황(금액 기준)은 1~4등급 비중이 95.6%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등급 이하 비중은 4.3%였다. 신용대출 현황은 1~4등급이 98.5%에 달했다. 5등급 이하는 1.5%에 불과했다. 카카오뱅크는 1~4등급의 경우 가계자금·신용대출 금리가 2~3%대다. 5등급 이하 금리는 4%대 이상으로 뛴다. 

카카오뱅크는 중금리 대출 활성화라는 목표를 내걸고 출범했다. ⓒ시사저널 박정훈

현재로선 작년 9월말 기준 대출 현황 자료가 확보할 수 있는 가장 최신 자료다. 인터넷 전문은행은 케이뱅크도 있지만 한동안 자본 부족으로 신규 대출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분석에서 제외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카카오뱅크의 고신용자 대출 쏠림 현상은 여전하다. 그래서 당초 금융 사각지대인 중금리 대출 활성화를 위한 인터넷 전문은행 도입이라는 취지가 무색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비교’라는 분석의 틀을 이용해 보면 조금 다른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서민경제의 주름살이 점점 더 깊어지던 작년 6월말과 9월말의 대출 현황을 비교해 보면, 신한·KB·하나·우리은행은 모든 대출에서 중·저신용자들의 대출을 빠르게 줄인 반면 카카오뱅크는 최소한 그 비중을 줄이진 않았다. 

카카오뱅크를 향한 두 가지 시선

카카오뱅크의 가계자금 대출은 지난해 6월말 기준 1~4등급 고신용자 비중이 95.6%였다. 작년 9월말에도 똑같이 95.6%였다. 5등급 이하 비중도 계속 4.3%로 변함이 없었다.

반면 같은 기간 하나은행 가계자금 대출의 1~4등급 고신용자 비중은 90.5%에서 91.2%로 높아졌다. 5등급 이하 비중은 9.4%에서 8.6%로 빠르게 낮아졌다. KB국민은행도 1~4등급 대출 비중은 92.1%에서 92.6%로 오른 반면 5등급 이하 대출 비중은 7.8%에서 7.5%로 하락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5등급 이하 가계자금 대출 비중은 8.1%→7.7%, 7.1%→6.9%로 낮아졌다.

특히 이 기간에 5등급 이하 저신용자에게 가계자금 대출액 규모를 늘린 은행은 카카오뱅크밖에 없었다. 카카오뱅크는 5등급은 5709억원에서 6231억원, 6등급은 1431억원에서 1588억원으로 대출을 늘렸다. 7등급과 8등급의 대출도 각각 51억원, 4억원씩 늘렸다. 반면 신한·KB·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 은행들은 모두 5등급 이하의 대출 규모를 줄였다. 

신용대출 현황에서도 비슷한 흐름은 발견된다. 지난해 6월말과 9월말 카카오뱅크의 신용대출 5등급 이하 비중은 1.7%에서 1.5%로 낮아졌다. 신한·KB·하나·우리은행은 어땠을까. 하나은행이 7.4%에서 6.4%로 가장 크게 낮췄다. KB(7.3%→6.4%), 우리(5.9%→5.1%), 신한 (8.7%→8.0%) 등도 적지 않은 폭을 줄였다. 

은행권에서 1~4등급은 ‘황금어장’이라 불리며 대출이 잘 실행된다. 반면 5~6등급의 중신용등급은 대출 사각지대다. 한동안 카카오뱅크는 신용등급 5등급 이하 여신 비중이 시중은행보다 낮아 당초의 도입 취지인 중금리 대출 시장 활성화에 역행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지난 국정감사 때도 작년 6월말 기준의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이런 질타를 받았다. 

이에 대해 홍 의원은 “코로나19라는 비가 세차게 내리는 상황에서 인터넷 전문은행마저 중금리 대출을 외면하면 서민들의 우산은 모두 걷어지게 된다”며 “카카오뱅크는 당초 중금리 대출 활성화와 포용적 금융 확대라는 취지를 잊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