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고발사주’ 보도는 어디 갔을까
  • 조문희 기자 (moonh@sisajournal.com)
  • 승인 2021.09.28 16:0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장동 의혹에 덮인 고발사주 논란”
대장동 의혹 관련 보도, 최근 일주일간 고발 사주 기사의 11배

불과 일주일 만에 정치판을 달구는 이슈가 달라졌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정조준했던 ‘고발사주 의혹’에서 ‘대장동 의혹’으로 화두가 전환되면서다. 특히 초기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겨냥했던 대장동 개발사업 의혹의 경우 국민의힘을 탈당한 곽상도 의원 아들의 퇴직금 논란이 불거지면서 화력을 더하는 형국이다.

이 때문에 정치권 일각에선 “고발사주 의혹이 대장동 의혹에 묻혔다”는 평가도 나온다. 대장동 의혹에 언론 보도가 집중된 탓에 고발사주 의혹이 여론의 관심에서 멀어졌다는 분석이다. 여권에선 “대장동 의혹은 고발사주를 덮으려는 야당의 물타기 시도”(송영길 민주당 대표, 9월25일)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사실일까. 

이재명 경기도지사(왼)와 윤석열 전 검찰총장 ⓒ 시사저널
이재명 경기도지사(왼)와 윤석열 전 검찰총장 ⓒ 시사저널

‘고발사주’ 집어삼킨 ‘대장동’ 의혹

최근 일주일간 언론 보도량을 분석한 결과, 대장동 의혹 관련 보도는 고발사주 의혹 보도에 비해 11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재단이 제공하는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빅카인즈’를 활용해 종합지‧경제지‧방송사 등 54개 언론사의 지난 21일부터 27일간 보도 건수를 들여다봤더니, ‘대장동’ 키워드를 포함한 기사는 2915건에 달한 반면 ‘고발사주’를 포함한 기사는 261건에 그쳤다.

의혹의 시발점을 기준으로 보도량을 비교해도 두 이슈의 파급 수준은 다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일 《뉴스버스》의 보도로 촉발된 고발사주 의혹은 이후 7일 동안 총 502건의 기사가 보도됐다. 반면 16일부터 본격적으로 불거진 대장동 의혹의 경우 이후 일주일간 1729건의 기사가 쏟아졌다. 대장동 의혹은 하루 최대 820건의 기사가 보도되기도 했다.

9월2일부터 9월27일까지 '대장동'(파란색)이나 '고발사주'(초록색) 키워드를 포함한 보도 건수 비교 ⓒ 빅카인즈
9월2일부터 9월27일까지 '대장동'(파란색)이나 '고발사주'(초록색) 키워드를 포함한 보도 건수 비교 ⓒ 빅카인즈

“일상과 밀접한 대장동 의혹…파급력 다를 수밖에”

두 의혹 모두 여야의 대선 주자들이 연루된 휘발성 큰 대형 사건들인데, 왜 이 같은 차이가 발생한 것일까. 고발사주보다 대장동 의혹이 유권자의 피부에 더 와 닿는 사안이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여권 관계자는 “고발사주는 일상에 영향을 주는 사안은 아니지만, 대장동 의혹은 부동산 문제라는 점에서 LH(한국토지주택공사) 사태에 준하는 데다 여야 인사들이 모두 연루되어 있어 다른 파급력을 보일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고발사주 의혹의 경우 이미 공이 수사기관으로 넘어갔다는 평가도 나온다. 공수처와 검찰에서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만큼, 정치권이 말을 보탤 시기를 넘겼다는 분석이다. 김성회 정치연구소 씽크와이 소장은 “수사 중인 사건을 언론이 스포츠 중계 식으로 보도하는 것이 비상식적인 것”이라며 “검찰에서 피의사실을 공표하지 않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분석했다.

한편 여야는 오는 10월1일부터 시작되는 국정감사에서 두 이슈를 두고 정면충돌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일찌감치 이번 국감의 최대 이슈로 고발사주 의혹을 부각시킨 바 있다. 고발사주 의혹의 몸통을 윤 전 총장으로 규정하고 연결 고리를 부각시킨다는 계획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대장동 의혹을 ‘이재명 게이트’로 규정하고 파고들 태세다. 국민의힘은 대장동 의혹 관계자들을 국감 증인으로 불러 판을 키운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