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망월동 묘역의 학살자 처단
  • 김 당 기자 ()
  • 승인 1995.12.07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5년 세월이 흐른 뒤에도 광주 망월동 5·18 묘역의 시점은 아직 과거형이다. 쿠데타 군의 폭거에 맞서 목숨을 던진 ‘민주 열사’들을 포함해 1백68구의 주검이 누워 있는 5·18 묘역에는 그 때 피해자들의 초상이 15년 전 모습 그대로 세워져 있다. 이들을 만나기 위해서는 묘역 진입로에 15년 전의 직위와 계급장을 달고 줄줄이 선 가해자들의 초상을 지나쳐야 한다.

레이건(미국 대통령), 전두환(보안사령관), 노태우(수경사령관), 정호용(특전사령관), 박준병(20사단장)…. 이 지역 미술공동체 화가들이 설치해 놓은, 이곳에서 15년째 수배중인 그 날의 ‘학살 원흉’들이다.

그 초상 중에서 유일한 현직은 김영삼 대통령이다. 학살자들을 처단하지 않고 역사에 미룬 혐의이다. 그러나 그 얼굴은 지금 없다. 그 얼굴이 있던 자리에는 대신 ‘광주경찰청 정보과 형사들이 몰래 떼어갔음’이라는 도난 신고서가 붙어 있다.

그 도난 당한 그림의 주인공이 이 묘역의 주검들이 깜짝 놀랄 일을 저질렀다. 11월24일 5·18 특별법을 제정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그동안 5·18 문제에 대해 ‘역사에 맡기자’(93년 5월), ‘검찰의 불기소 결정을 존중하자’(95년 7월),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지켜보자’(95년 10월)고 했던 김대통령이었기에 그 충격은 더 클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 충격의 뒤에 변명이 이어진다.
왜 이제서야 특별법을 만드느냐는 질문에, 민자당 강삼재 사무총장은 당시 김대통령이 야당 총재였기 때문에 정보가 없어서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지 못했다고 했다. ‘성공한 쿠데타’는 처벌할 수 없다던 검찰의 유일한 변명은 ‘착각’이다. 결론만 잘못된 것이므로 ‘실패한 쿠데타’로 결론을 바꾸면 된다는 것이다. 더 충격적인 사실은 그 하루 전에 헌법재판소가 내부적으로 5·18 재수사 결정을 내린 점이다. 야당의 주장은, 그같은 정보를 입수한 김대통령이 헌재의 결정을 ‘가로채서’ 특별법 제정 지시라는 깜짝쇼를 하고 나섰다는 것이다.

두 ‘도난 신고’가 괜한 의심인지는 김대통령 하기에 달려 있는 셈이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