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두율 인터뷰③] “사회학·철학 접목시킨 연구 하고 싶었다”
  • 송창섭 기자 (realsong@sisajournal.com)
  • 승인 2019.06.24 16: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간30주년 특별기획 - 대한민국, 길을 묻다(22)] '경계인’ 송두율 전 독일 뮌스터대 교수

혼돈의 시대다. 혹자는 난세(亂世)라 부른다. 갈피를 못 잡고, 갈 길을 못 정한 채 방황하는, 우왕좌왕하는 시대다. 시사저널은 2019년 올해 창간 30주년을 맞았다. 특별기획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종교 등 각계 원로(元老) 30인의 ‘대한민국, 길을 묻다’ 인터뷰 기사를 연재한다. 연재 순서는 인터뷰한 시점에 맞춰 정해졌다. ①조정래 작가 ②송월주 스님 ③조순 전 부총리 ④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⑤손봉호 기아대책 이사장 ⑥김원기 전 국회의장 ⑦김성수 전 대한성공회 대주교 ⑧박찬종 변호사 ⑨윤후정 초대 여성특별위원회 위원장 ⑩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 ⑪한승주 전 외무부 장관 ⑫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 소장 ⑬허영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 ⑭이종찬 전 국회의원 ⑮남재희 전 노동부 장관 ⑯박관용 전 국회의장 ⑰송기인 신부 ⑱차일석 전 서울시 부시장 ⑲임권택 감독 ⑳이인호 서울대 명예교수 21 이문열 작가 22 송두율 전 독일 뮌스터대 교수

송€교수의 책장에는 흰색과 검은색의 부석(浮石)이 나란히 놓여 있다. 흰 돌은€그가 1980년대 말 백두산 정상에서 주워온 것이다. 반대로 검은 부석은 2004년 여름 서울구치소를 나온 뒤 40여 년 만에 찾은 제주도에서 친지로부터 선물받은 것이다. 분단의 아픔을 간직한 돌들이지만 송 교수의 책장 안에선 하나로 합쳐져 있다.

거실엔 과거 김일성 북한 주석으로부터 선물받은 금강산화가 걸려 있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그림이 아니라 한 뜸 한 뜸 손으로 수놓아 만든 작품이다. 그는 이 작품을 보면서 한반도의 통일을 염원한다. 반세기를 좌우 어디에도 마음 둘 수 없는 경계인의 삶을 살았지만, 정작 송€교수 자신의 시선은 남북이 자유롭게 오가는 ‘통일 조국’에 맞춰져 있다.

2003년 9월22일 가족들과 함께 37년 만에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하는 송두율 교수(오른쪽에서 두번째). ⓒ 연합뉴스
2003년 9월22일 가족들과 함께 37년 만에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하는 송두율 교수(오른쪽에서 두번째). ⓒ 연합뉴스

한국에 사셨다면 어떤 인생이 펼쳐졌을까요.

“계획대로 독일에서 4~5년간 대학에 있다가 30대 초반에 귀국했다면 아마 계속 대학 강단에 섰을 겁니다. 그러면서 또 현실참여도 했을 거예요. 제자들도 많이 키웠겠지요. 학위를 끝마치니 한국은 유신체제에 있었어요. 그래서 돌아갈 수 없었지요. 그렇게 독일에서 산 세월이 지금 50년이 넘었습니다. 한국에 있었다면 우리 사회가 필요한 철학이나 사회정책들을 개발하고 싶었을 겁니다. 불행히도 그게 안 됐고, 그 후엔 주로 책이나 칼럼, 언론 인터뷰를 통해 국내에 내 생각을 전달하는 수준에 그쳤지요.”

과거 노무현 정부 때 한국으로 돌아오시면 서울대 강단에 서려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보통 한국에선 철학을 하면 사회과학적인 것이 전제되지 않고, 또 사회과학을 하면 철학적인 배경에 별로 신경 쓰지 않지요. 내 학문 성장 과정이 좀 특이해요. 그래서 철학과 사회과학을 통합하는 것을 시도해 보고 싶었습니다. 사회과학적 문제를 철학적 차원에서 분석해 보고, 철학적 담론을 사회과학적인 데이터를 통해 검증해 보고 싶었지요. 무슨 과(科)에 있는 것보다 통합적인 과, 연구실을 운영해 보고 싶었어요. 역시 그런 활동들은 젊었을 때 했어야 했는데 불행히도 시기를 놓쳤지요.”

사회 참여를 후회하신 적은 없으신가요.

“당시는 그게 시대정신이었어요. 험악한 독재체제하에서 ‘민주’라는 화두가 필요했고 행동을 요구했습니다. 동서 냉전이 끝나고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면서 지구상의 유일한 분단국가인 한반도에 내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를 생각해 봤죠. 남북 간의 대화 없이는 안 된다는 게 결론이었습니다. 그래서 남북해외학자회의를 주도했던 거고요. 최선을 다해 책을 쓰고 학자로서 학문의 길을 걸어왔지만 많이 아쉽기는 합니다. ‘더 많이 의미 있는 책을 썼다면…’이라는 생각이 들지요.”

교수님에게 조국은 어떤 의미인가요.

“요즘 다 그렇지만 지구화가 세계적 추세잖습니까. 지구화는 지역성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지요. ‘디지털 노마드(유목민)’가 화두지만 그 누구도 지역 또는 공간의 제한성을 넘어설 수 없습니다. 현대사회는 여전히 민족국가 단위로 이뤄지고, 물자 생산이나 소비의 80%가 민족국가 단위에서 이뤄집니다. 고향의 의미는 자기 정체성과 직접 연결됩니다. 요즘 세상에 누가 조국이나 고향 같은 말을 하느냐고 하는데 이 개념들은 결코 지구화와 상충되는 것이 아니에요. 최소한 나한테는 말이죠. 내 생애 3분의 2를 해외에서 지내면서 우리말로 글을 써보고 사고(思考)도 하지만 가끔 꿈속에서 내가 독일말로 이야기한다고 아내가 말하면 서글픈 생각도 듭니다. 독일에 살고 있지만 나에게 고향은 남북한이 합쳐진 한반도니까요.”

마지막으로 살아생전 교수님에게 주어진 소명이 있다면 뭘 꼽고 싶으신가요.

“한반도가 갖고 있는 숙명을 전체적인 시각으로 보지 않으면 안 됩니다. 옛날부터 그렇게 큰 나라는 아니어서 많이 시달렸던 한반도가 70년 넘도록 분단의 고통을 겪고 있지 않나요. 남은 남대로, 북은 북대로 체제는 유지됐지만 결국 내면에 담고 있는 고통이 크지 않습니까. 이 문제를 나 혼자는 극복할 수 없기에 많은 사람과 공감대를 나누고 싶었습니다. 이런 노력들이 계속돼 남북이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삶을 꾸리는 단계에 진입한다면 그게 내 희망과 소명의 한 부분이 아니겠는가라고 생각합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