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일본 핵심 소재’, 기술 조작으로 탄생?
  • 권한상 부경대 신소재시스템공학과 교수‧일본 도호쿠대 공학박사 (kwon13@pknu.ac.kr)
  • 승인 2019.08.26 08:4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작 조차 불가능한 대한민국 원천 소재기술”
2016년 6월8일 일본 도쿄의 대표적 쇼핑가인 긴자거리. ⓒ연합포토
2016년 6월8일 일본 도쿄의 대표적 쇼핑가인 긴자거리 ⓒ연합뉴스
권한상 부경대 신소재시스템공학과 교수
권한상 부경대 신소재시스템공학과 교수

새벽녘이면 어김없이 동경의 지하철에는 작은 사다리와 종이박스를 든 사람들이 나타난다. 놀라운 속도로 지하철 내부에 있는 광고판에서 광고지를 빼어내고 새로운 광고지로 교체한다. 

어느 사무실과 관공서를 방문해도 빼곡히 쌓여 있는 문서들. 개인정보 보호라는 미명 아래 아직도 많은 행정 절차들이 아날로그식 문서와 결제로만 이루어 지는 나라. 바로 일본이다.   

세계 최초 인스턴트 라면인 닛신(Nissin). 걸으면서 들을 수 있는 SONY의 음악플레이어 워크맨과 닌텐도의 세계적 히트 상품 게임기들, 월드와이드 캐릭터 슈퍼마리오와 키티, 완전 무인 로봇 호텔, 척수손상 치료를 위한 유도만능 줄기세포 (iPS:induced pluripotent stem) 임상시험 허가 등.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공존하는 일본 사회

일본은 언급하기 힘들 정도로 너무도 많은 세계 최초와 최고의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기술 강국이다. 하지만 대도시를 조금만 벗어나면 신용카드 결제가 되지 않는 곳이 무수히 많은 것도 일본의 또다른 모습이다. 

“6개월전 장학금 관련서류를 제출 해서 확인하러 왔습니다.”

대학 행정 직원이 내 서류를 찾아 봤다. 장학금 신청 서류가 없다.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지만 평정심을 갖고 새로운 서류를 내민다.

“내용 기입 후 날짜는 6개월전으로 작성해 주세요”.

결제 도장이 그 자리에서 찍어짐과 동시에 조금 전 탄생한 서류는 아무일 없다는 듯 6개월 전 서류로 둔갑된다.

필자가 일본에서 생활 할 때 벌어졌던 실제 상황이다. 하마터면 장학금이 모두 날아갈 판이라 한국 같았으면 아마도 해커를 고용해야 할 정도의 심각한 문제 였을 것이다.  

 

데이터 조작으로 탄소섬유 기술 탄생

1971년 일본의 토레이 (Toray)사에 의해 개발된 아크릴 섬유(PAN)계 고강도, 고탄성 구조 재료용 탄소섬유 제조기술이 강철보다 무게는 4분의 1 정도이지만 강도는 10배 이상 강한 신소재를 만들었다. 모두가 어렵고 실용화 가능성이 낮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약 30년 의 연구개발을 통한 결실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토레이사 내부에서는 많은 데이터 조작이 이뤄졌다. 10년간 토레이사는 149건의 데이터 조작 납품이 있었고, 또 다른 대기업인 고베제강은 약 10년간 다수의 납품된 항공기, 열차, 자동차와 무수히 많은 소재 부품용 알루미늄과 구리가 실제로는 데이터 조작에 의해 생산되었다. 세계 최강의 회사에서 생산한 제품들이 모두 불량품인 것이다. 10년동안 토레이와 고베제강의 거짓 데이터를 일본사회는 알지 못했다. 

또한 미쓰비시 머터리얼과 자회사들의 데이터 조작으로 납품된 소재부품 업체 수는 229개사에 달한다. 이외에도 무수히 많은 소재부품 조작이 들어나고 있다. 세계 최초와 최고라는 기술 강국 일본과는 너무도 거리가 먼 일들이다.

이는 어쩌면 일본 깊숙이 아직도 자리 잡고 있는 쉽게 조작이 가능한 아날로그 식 행정 문화가 만들어 낸 결과인지도 모른다. 보이는 게 다가 아니다. 일본의 이러한 데이터 조작을 통해 세계최고의 기술강국이라는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2017년 7월20일 일본 도쿄를 방문한 보리스 존슨 영국 외무장관이 일본 와세다대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실에서 개발한 로봇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포토
2017년 7월20일 일본 도쿄를 방문한 보리스 존슨 영국 외무장관이 일본 와세다대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실에서 개발한 로봇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포토

그렇다면 대한민국은 어떤가. 대부분의 관공서와 사무실에서의 행정 업무들은 전자 결재의 시행으로 효율적이고 빠르게 업무가 처리된다. 그러나 원천 소재 기술에 있어서는 씁쓸하지만 아직도 많은 기업들이 일본처럼 조작 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낙후돼 있는 것이 사실이다.

왜 우리는 이리도 원천기술이 약할까. 아마도 이제까지는 못해서 안 한 것이 아니라 할 필요가 없어서 안 했기 때문 일 것이다. 이는 일본의 너무도 친절한 적극적인 수출 정책에 의한 결과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우리나라 산업의 허리 역할을 하고 있는 기술 중소기업들을 등한시 하는 대기업들의 태도에서 비롯된 것일지도 모른다.

자신들의 편의에 의해서 짜여 있는 틀 안에서는 아무리 성능이 좋고 가격 경쟁력이 있는 원천 소재를 개발 하더라도 진입 조차 불가능 했던 것이 현실이다. 일본의 수출 규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시키고 효율적으로 대응해 나가기 위해서는 이제는 우리 기업들 서로가 신뢰를 바탕으로 협업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원천 소재, 최첨단 기술 개발로 극복 가능

최근 삼성전자가 개발한 세계 최초 “6세대 V낸드 SSD”는 기존의 반도체 공정 미세화의 한계를 기술력으로 극복한 역대 최고의 제품 경쟁력을 지닌 초격차 명품임에 틀림없다. 물론 이러한 제품 개발에 있어 여전히 일본이 수출 규제 중인 원천 소재들을 사용중인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최첨단 기술의 개발과 응용은 기존 원천 소재들의 역할 역시 재정립 시킬 수도 있다. 즉, 수입에 의존하지 않고도 대한민국내에 존재하는 원천 소재부품만으로도 제품 생산이 가능한 맞춤형 시스템의 정립 역시 가능할 것이다.

기회가 찾아 왔다. 일본은 세계 소재 전쟁에서 대한민국이 생존 할 수 있는 체력을 키우는 법을 가르쳐 주고 있다. 훗날 일본에게 감사해야 될지도 모른다. 대한민국의 핵심 원천소재기술 개발을 위해 수고 하였노라고 말이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