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 다짐한 이란, 결국 ‘핵합의 탈퇴’ 카드 꺼냈다
  • 조문희 기자 (moonh@sisajournal.com)
  • 승인 2020.01.06 11:1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솔레이마니 사망에 강경 대응 시사…미‧이란 ‘일촉즉발’

이란 정부가 핵합의를 사실상 탈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미군의 공격으로 군부 실세인 솔레이마니 혁명수비대 사령관을 잃은 이란이 이와 같은 보복을 다짐하면서, 미국과 이란 사이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수천명의 이란인들이 1월3일(현지시간) 수도 테헤란에서 금요 기도 행사가 끝난 뒤 반미 시위에 나선 가운데 미국 성조기를 불태우고 있다. ⓒ 연합뉴스
수천명의 이란인들이 1월3일(현지시간) 수도 테헤란에서 금요 기도 행사가 끝난 뒤 반미 시위에 나선 가운데 미국 성조기를 불태우고 있다. ⓒ 연합뉴스

이란 정부는 1월5일(현지시각) “2015년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에서 정한 우라늄 농축용 원심분리기 수량 제한을 더는 지키지 않는다”며 “이는 곧 우라늄 농축 능력과 농도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사실상 핵합의에서 탈퇴한다는 의미다.

이번 성명은 솔레이마니 사령관이 지난 1월3일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미군의 무인기(드론) 공습으로 피살된 이후 사후조치를 논의하는 긴급회의에서 결정됐다. 

이는 이란 측이 천명한 ‘가혹한 복수’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앞서 이란의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솔레이마니 살해 이후 긴급 성명을 내고 “그(솔레이마니)가 흘린 순교의 피를 손에 묻힌 범죄자들에게 가혹한 보복이 기다리고 있다”며 보복 테러를 예고했다. 행정부를 책임진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도 솔레이마니의 유족을 찾아가 위로하면서 복수를 약속했다.

이란의 결정으로 2015년 7월 주요 6개국(미국‧영국‧프랑스‧독일‧러시아‧중국)과 이란이 2015년 7월 역사적으로 타결한 핵합의는 4년 반 만에 좌초될 처지에 놓였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미국 역시 일방적으로 협정에서 탈퇴한 바 있다.

다만 이란 정부는 미국이 이란에 대한 경제‧금융 제재를 철회한다면 핵합의로 복귀하겠다는 조건을 달았다. 그러나 미국이 대이란 제재를 포기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만큼 핵합의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