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향우 행진' 머지 않아 발병 난다?
  • 박성준 기자 (snype00@e-sisa.co.kr)
  • 승인 1995.11.30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우경화는 사회 체제 변화 따른 '과도기 현상'… 신사 참배는 극우의 최후 몸부림
일본 문제 전문가들은 이같은 일본의 우경화 추세를 지나치게 확대 해석할 필요가 없다는 점도 아울러 강조한다. 비록 최근의 우경화가 단지 '운동'으로만 그쳤던 1960년대의 우경화와 달리 '국기·국가법' '주변 사태법' 제정 등 우익 논리를 제도화하는 데 일정한 성과를 거둔 것이 사실이지만, 일본 국민의 보수·우익 지지율이 두드러지게 떨어지고 있다는 점 또한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일본의 보수·우익 세력을 대표하는 자민당의 단독 득표율은 1986년 총선 때 34.6%에 이르던 것이 가장 최근에 있었던 2000년 총선에서는 20.3%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일본 보수·우익의 기세가 의외로 싱겁게 잦아들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한다. 장인성 교수(서울대·외교학)는 최근 일련의 사건들을 '위기감에 쫓긴 일본 극우 세력 최후의 몸부림'이라고 표현한다. 일단 한 고비를 넘기면 이들의 목소리는 자연스럽게 가라앉으리라는 것이다. "그동안 일본 우익이 특히 한국·중국 등 주변국에 대해 함부로 목소리를 높일 수 있었던 것은 비교가 되지 않는 국력을 바탕으로 했다. 하지만 상황이 달라졌다. 한국·중국은 더 이상 일본이 무시하고 홀대할 수 있는 그런 나라들이 아니다"라고 장교수는 말한다.

전문가들은 상황이 달라진 만큼 우리도 일본 문제를 파악하는 잣대를 바꾸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과거처럼 양국 사이에 현안이 불거질 때마다 이를 국가 간의 문제로 볼 것이 아니라, 평화와 진보, 전쟁과 보수 세력의 대결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바로 그럴 때 일본 우익이 동아시아 사회 전체의 이익을 해치는 '공동의 적(敵)'이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다"라고 성공회대 권혁태 교수는 주장했다. '증오심'보다는 '평화 정신'이 일본 우익을 꺾는 데 훨씬 더 효과적인 무기라는 것이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