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설전’ 속 한동훈에 집중 포화…“내란 몰이” “‘하야’ 기회 줬어야” “후보 그만둬”

국민의힘 경선 후보 2차 토론회…韓, ‘계엄 반대·탄핵 찬성’ 비판에 역공 나경원 “韓 ‘尹 내란몰이’가 이 지경 만들어” 이철우 “출마 자체가 잘못” 홍준표 “‘배신자 프레임’ 어떻게 벗나” vs 한동훈 “국민 위해 계엄 저지”

2025-04-20     강윤서 기자
20일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1차 경선 조별 토론회에서 B조 후보들이 시작 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들이 20일 진행된 2차 토론회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을 두고 찬반 설전을 벌였다. 토론에는 경선 후보 8명 중 ‘B조’ 나경원·이철우·한동훈·홍준표 등 4명의 후보가 참석한 가운데 당내에서 윤 전 대통령 탄핵을 주도적으로 이끈 한동훈 후보가 집중 공격을 받았다.

이날 비상계엄 사태 당일을 가장 먼저 언급한 사람은 한 후보였다. 한 후보는 이날 강서구 ASSA 아트홀에서 열린 ‘1차 경선 조별 토론회(B조)’에서 “우리 당이 배출한 대통령이 했다고 하더라도 비상계엄은 ‘불법’이라고 봤고 그래서 앞장서서 막았다”고 주장했다. 

한 후보는 “12·3 비상계엄을 경미한 과오라고 생각하는 건 넓은 의미에서 계엄을 옹호한 것”이라며 “계엄 자체가 정당한 것이라고 생각하거나, 아니면 계엄이 잘못된 것이고 결국 계엄을 한 대통령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보거나 이 둘 중의 하나”라고 지적했다. 

한 후보의 발언에 다른 후보들은 현격한 입장차를 드러냈다.

홍준표 후보는 ‘계엄 반대’ 입장은 인정하면서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가 아닌 ‘자진 하야’ 기회를 줬어야 했다고 반박했다. 그간 홍 후보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반대해온 입장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홍 후보는 “(계엄에) 반대했지만, 탄핵은 반대하면서 윤 전 대통령에 자진 하야할 기회를 주자고 했다”며 “(계엄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대통령이) 져야 한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탄핵을 반대했다. 실질적으로 피해가 없었다. 2시간 해프닝이었다”며 “(대통령이) 정치적 책임을 지고 자진해서 하야하라는, 이제는 더 이상 통치하기 어렵지 않겠느냐는 그 말씀을 드린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 광역단체장 12명 중 10명이 같은 생각이었다”고 덧붙였다.

나경원·이철우 후보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는 잘못된 판단이었다고 비판했다.

나경원 후보는 한 후보가 윤 전 대통령을 언급한 직후 “왜 대선 후보 경선에 윤 전 대통령을 자꾸 끌어들이냐”면서 “한 후보가 내란 몰이 탄핵 선동한 것이 결국 이 지경을 만들었다”고 쏘아붙였다. 이어 “(한 후보가 당 대표 당시) ‘대통령이 내란을 자백했다’면서 사실 내란 몰이 탄핵을 선동하는데 가장 앞장서서 굉장히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나 후보는 한 후보를 향한 공격을 이어갔다. 나 후보는 한 후보에게 “보수 통합을 위해 대통령 후보를 그만두라”고 말했다. 이에 한 후보는 “나 후보의 정치를 응원하겠다”면서 “나도 국민을 위해 이 상황에서 내가 꼭 필요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한다. 최선을 다하겠다”고 응수했다.

그러자 나 후보는 “헌신하고 희생하겠다고 했는데 이번에 한 번 희생하면 굉장히 큰 정치적 자산이 되지 않을까 해서 말한 것”이라고 맞받았다. 두 사람은 과거 당 대표 경선 당시에도 경쟁자로 만나 대립각을 세운 바 있다.

이철우 후보는 “(국민의힘에 국회 의석) 108석을 준 것은 탄핵하지 말라는 것인데 왜 경솔하게 탄핵했느냐”면서 “탄핵소추를 안 했으면 헌법 재판을 받을 필요가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후보가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있나. 우리 당 후보로 나온다는 것 자체가 잘못됐다”며 날을 세웠다.

20일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1차 경선 조별 토론회에서 B조 한동훈 후보가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배신자 프레임” “탄핵 찬반 입장은 조기대선 핵심”

한 후보를 향한 맹공은 이날 토론회 내내 지속됐다. 

홍 후보는 한 후보의 사법적 리더십도 지적했다. 그는 “이번 선거는 이재명 중범죄자 나라를 안 만들기 위한 후보를 뽑는 선거인데 한 후보는 법무부 장관을 할 때 이재명을 못 잡아넣어서 사법적으로 패배했다”며 “당 비대위원장으로서 총선도 참패했다”고 꼬집었다.

이에 한 후보는 “내가 (이재명) 체포동의안을 통과시켰다. 당 대표로서 총선을 졌지만 당 대표는 63%로 당선돼 평가받았다”고 맞받았다.

홍 후보는 또 “배신자 프레임은 어떻게 벗을 것인가”라고 지적하자, 한 후보는 “나는 국민을 배반하지 않기 위해 계엄을 저지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후보는 “박근혜 전 대통령 때도 적폐 청산으로 보수가 거의 궤멸하다시피 했다. 그 장본인이 여기 앉은 한 후보”라고 비판했다.

이어 “박 전 대통령 탄핵되고 나서 뭐가 달라졌나. 우리 당만 쪼그라들었다. 당시 대통령이 가짜뉴스에 당했다”면서 “그때 칼춤 춘 사람들이 ‘화양연화’라고 하고 그렇게 즐기던 사람이 우리 당 후보로 와 있는 게 부끄럽다”고 직격했다.

나 후보는 토론회가 끝난 후 취재진에 “홍 후보가 탄핵은 끝났다고 하는데 저는 탄핵은 끝나지 않았다고 본다”면서 “이번 선거는 탄핵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탄핵 찬반 논쟁은 자유민주주의 가치 논쟁이며 이번 선거는 체제 전쟁”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