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특정 간부만 49% 올랐나…번지는 전주소리축제 ‘기본급 폭등’ 논란
다른 직원들은 3% 올랐는데…A부장만 48.6% ‘껑충’ 전북도 감사위원회, 전주소리축제 조직위 감사서 적발 기본급 폭등 여파…도지사 측근 ‘특혜 의혹’으로 확산
‘3% vs 48.6%’.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회에서 모든 직원의 기본급이 3% 올랐는데 특정 간부만 1년 만에 연봉이 50% 가까이 올라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이 간부가 김관영 전북도지사 선거 캠프 출신으로 민선 8기 전북도 5급 임기제 공무원을 지낸 경력이 있어 ‘측근 특혜 논란’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김관영 전북지사가 나서 “용인될 수 없는 사안”이라며 강력 대응을 예고했지만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조직위, A부장 임용 1년 만에 올해 기본급 48.6% 올려
20일 전북도 감사위원회와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회 감사 결과 주의·개선 등 모두 7건의 업무 부적정·소홀을 적발했다.
소리축제 조직위는 매년 30억원에 달하는 전북도 보조금을 받아 인건비 등 운영비를 집행하며, 김관영 도지사가 명예조직위원장을 맡은 곳이다.
전북도 감사위는 적발된 사안 가운데 조직위 사무국 A 부장(40대)의 기본급이 과도하게 인상된 점을 문제 삼았다.
도 감사위원회가 공개한 감사 결과 처분 요구서에 따르면 소리축제 조직위는 지난해 2월 임용된 운영지원부 A 부장의 올해 월 기본급을 전년(336만5700원)보다 48.6% 오른 500만원으로 책정했다. 반면 같은 기간 A 부장을 제외한 다른 직원의 기본급은 3% 인상에 그쳤다.
조직위는 사무국 직원 연봉 조정(안)의 기준(기본급 3% 인상)을 무시한 채 해당 부장이 행정실장 직무대리를 수행했고, 신규 협찬 유치에 기여한 점 등을 급여 인상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도 감사위는 조직위 사무국 다른 부장과의 형평뿐 아니라 소리축제조직위와 유사하게 전북도 지원을 받는 3개 기관의 동일 직급 평균 연봉과 비교해서도 이례적인 것으로 봤다. 같은 일을 했던 전임자는 다른 직원과 똑같은 임금 인상률이 적용됐고 협찬 확보는 직무상 당연히 해야 할 ‘고유 업무’라는 게 감사위의 판단이다.
실제 A 부장의 올해 연봉은 각종 수당을 포함해 7613만5000원으로 전년(5315만5000원) 대비 43% 올랐다. 전북도가 예산을 지원하는 다른 기관의 동일 직급 평균 연봉보다 약 1400만원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소리축제 조직위 사무국은 운영지원부와 콘텐츠운영부로 구성되는데, A 부장의 월 기본급은 콘텐츠운영부장(355만3290원)보다 40%가량 많았다.
그러나 전북도 감사위는 협찬 유치 등은 직무 범위에 속하고, 업무량도 특별히 많지 않다고 판단했다. 감사위는 이런 이례적 연봉 상승의 배경으로 조직위 보수규정에 가급(부장급) 직원의 연봉 상한액이 명시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도 감사위는 처분요구서에 “직원 연봉 조정 업무를 총괄하는 위치에 있는데도 직무상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아 다른 직원들과의 형평성 문제를 초래했다”면서 “조직위에 기관 경고와 함께 관련자 문책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질타 쏟아낸 도의회 “세상에 이런 조직이 어디 있냐”
파문은 전북도의회로 번졌다. 17일 열린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질타가 쏟아졌다.
김정기(부안) 도의원은 “기본급 인상률이 48.6%면 공무원법에 맞지 않는다”며 “15년간 (조직위에서) 근무한 사람은 (임금 문제로) 소리축제를 떠나지 않았느냐”고 따졌다.
문화안전소방위원장인 박정규(임실) 도의원은 A 부장 급여 인상 과정에서 인사위원회를 거치지 않은 점을 들며 “세상에 이런 조직이 어디 있냐”고 반문했다.
이와 관련, 김희선 소리축제 조직위 집행위원장은 “금액에 대해 세심하게 살피지 못했다”며 “전북도와 협의가 끝난 내용으로 전달받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고 답변했다.
김관영 지사 “엄중 징계”…조직위 “금액 세심하게 살피지 못해”
소리축제 명예 조직위원장인 김관영 지사는 대변인실을 통해 “용인될 수 없는 사안”이라며 “단호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18일 입장문을 통해 “독립기관인 도 감사위원회가 엄정하게 감사를 진행해 문제를 적발했고 엄중히 징계 처분할 것을 조직위에 통보했다”며 “신속하고 단호하게 후속 조치가 진행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공정과 원칙을 흔드는 행위에 신속히 대응할 것”이라며 “효율적 제도 개선과 더불어 강력한 윤리 규율을 통해 도민의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덧붙었다.
하지만 지역 시민사회 일각에선 ‘문제적 당사자’가 김 지사의 선거캠프 출신이란 점에서 공정과 원칙, 윤리 규율 등을 거론하는 것은 유체이탈화법의 전형으로 부적절하다는 비판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