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AI칩 한 세대 앞서 있어”…구글 향해 견제구

엔비디아 “우리 플랫폼만이 모든 AI 모델 구동 가능” 구글 TPU 독자 공급 검토 속 엔비디아 ‘성능·호환성’ 우위 강조

2025-11-26     김혜인 디지털팀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연합뉴스

엔비디아가 자사 인공지능(AI) 반도체가 업계보다 한 세대 앞서 있다고 주장하며 구글 견제에 나섰다. 구글이 자체 칩(TPU) 공급 확대를 시사하며 AI 칩 시장 영향력을 키우자 기술적 우위를 강조하며 맞불을 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는 25일(현지 시각) 자사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옛 트위터) 공식 계정을 통해 “구글의 성공에 기쁘다”며 “구글은 AI 분야에서 큰 진전을 이뤘다”고 입장을 전했다. 이어 “우리는 계속 구글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며 “우리는 업계보다 한 세대 앞서고 있고 모든 AI 모델과 컴퓨팅이 이뤄지는 곳에서 이를 수행하는 것은 우리 플랫폼뿐”이라고 강조했다.

엔비디아는 이어 “우리 제품은 특정 AI 구조나 기능을 위해 설계된 주문형 반도체(ASIC)보다 뛰어난 성능과 다용성, 호환성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자사 그래픽처리장치(GPU)의 범용성과 기술적 우위를 내세워 구글의 AI 전용 칩 ‘TPU’와 차별화를 강조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엔비디아가 엑스(X) 공식 계정을 통해 구글을 견제하며 자사 제품이 업계보다 한 세대 앞서 있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

엔비디아의 이 같은 언급은 최근 구글이 AI 칩 시장에서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는 상황과 맞물린다. 구글은 이미 10년 전 자체 개발한 텐서처리장치(TPU)를 공개하며 고가와 공급 부족에 시달리는 엔비디아 GPU의 대안으로 시장 입지를 넓혀왔다.

최근에는 7세대 TPU ‘아이언우드’를 선보이며 공급 정책 변화 가능성도 시사했다. 지금까지는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 내에서만 TPU를 제공했지만 외부 기업에 직접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메타가 구글 TPU 도입을 논의 중으로 계약이 체결될 경우 엔비디아의 주요 고객 이탈이 현실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고 밝혔다. AI 챗봇 ‘클로드(Claude)’를 운영하는 앤트로픽은 이미 구글과 TPU 100만 개 규모의 클라우드 이용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엔비디아는 주요 AI 기업들의 수요가 분산될 가능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실적 발표 자리에서 “구글은 엔비디아의 고객사로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도 엔비디아 기술로 구동된다”고 언급하며 협력 관계를 강조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구글이 TPU를 외부로 공급할 경우 경쟁 구도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구글은 “맞춤형 TPU와 엔비디아 GPU 모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우리는 수년간 그래왔던 것처럼 양쪽 모두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