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이 그들을 키웠다
  • 차형석 기자 (cha@sisapress.com)
  • 승인 2005.09.02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단체, 각 지역에서 ‘두각’…부산참여자치연대는 최강 영향력
 
부산·울산·경남에서 영향력 있는 시민·사회 단체로는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를 꼽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12.7%). 부산환경운동연합(11.4%) 부산경실련(9.4%) 마산창원환경운동연합(5.4%) 마창진참여자치시민연대(5.3%)가 그 뒤를 이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는 1991년에 설립되었다. 그 해 5월 지방 의회가 부활하면서 부산 지역 시민운동가들이 지방 권력을 감시하고 지방 자치를 활성화하자는 취지로 이 단체를 만들었다. 시정·의정 감시 활동에 주력해 왔고, 2000년 들어서부터 운동의 폭을 넓히고 있다. 실무자 중심의 고발·감시 운동뿐만 아니라 삶의 질 개선 운동을 강화해 지역 풀뿌리 운동을 본격화하겠다는 것이다. 대중 교통 운동에 적극 나선 것도 같은 맥락이다. 김해몽 사무처장은 “부산은 외곽 순환 도로가 없어 교통이 서면에 집중된다. 서면이 막히면 줄줄이 체증 현상이 일어난다. 삶의 질 개선 차원에서 보행권 문제, 대중 교통 문제에 접근했다”라고 말했다.

지역 분권 운동도 이 단체의 주 관심사이다. 2000년 전국에서 최초로 단체 내에 지방분권운동본부를 만들었다. 김해몽 사무처장은 “1년 넘게 ‘분권 스터디’를 해 이를 전국으로 확산하는 데 앞장섰다”라고 말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의 연혁과 활동 내역을 살펴보면 참여정부 들어 익숙한 이름들이 눈에 띈다. 조성래 열린우리당 의원과 ‘노무현 대통령의 정신적 스승’ 송기인 신부 등이 대표를 역임했고, 문재인 청와대 민정수석은 이 단체에서 아파트 공동체운동 본부장으로 활동했다. 송기인 신부는 현재도 고문을 맡고 있다.

김정각·이인식 ‘힘 있는 NGO 지도자’

부산·울산·경남 권역에서는 지역 별로 환경운동연합이 골고루 영향력 있는 NGO로 꼽혔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이 부산에서 19.2%, 마산창원환경운동연합이 경남에서 13.1%, 울산환경운동연합이 울산에서 22.7%를 얻었다.

환경단체들이 수위에 오른 데는 이유가 있다.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 사태가 그 배경이다. 이 사건은 환경 문제를 전국적 이슈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부·울·경 환경운동 단체가 세간의 눈길을 모은 계기가 되었다. 이들 환경단체들은 낙동강 특별법을 이끌어내는 데 중심 역할을 했다.

 
이 가운데 부산환경운동연합은 가장 규모가 크다. 등록 회원 수가 7천여 명으로 지역 최대 NGO라 할 수 있다. 1984년 설립된 한국공해문제연구소 부산지부를 모태로 하고 있다. 이성근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에 따르면, 세 지역 환경단체는 각기 특장을 갖고 있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은 금정산 고속철 문제에, 마창환경운동연합은 습지 문제에, 울산환경운동연합은 신고리 핵 발전소 등 핵 문제에 주력해 활동하고 있다.

부산·울산·경남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NGO 지도자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률이 저조한 편이었다. 김정각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공동대표, 이인식 마산창원환경운동연합 대표 등이 거론되었다.

김정각 스님은 미룡사 주지로서 부산 지역 시민단체와 두루 관계를 맺은 원로이다. 부산 종교인평화회의 대표를 맡고 있고, 40년 가까이 재소자 교화 활동을 해오는 등 사회복지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부산흥사단으로부터 ‘존경받는 인물상’을 받기도 했다.  이인식 대표는 ‘습지와 새들의 친구’ 대표를 맡고 있으며 습지 보전 운동에 앞장서왔다. 전교조 해직 교사 출신으로 ‘환경을 생각하는 전국교사모임’ 회장을 지냈다. 현재 마산중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