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마당
  • 편집국 ()
  • 승인 2006.04.23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현규씨 민주 탈당‘변신’으로 민주계‘입지 약화’ 걱정

 민주당 金鉉圭씨(전 서울 마포을 지구당위원장)의 돌연한 탈당은 그가 야권에만 몸담아온 골수 야당인이라는 점에서 상당한 의혹을 던져주고 있다. 더구나 3당 합당 과정에서 金泳三 총재의 여당행에 반대해 李基澤 현 민주당 대표와 함께 통일민주당 잔류를 선언했던 그였기 때문에 하루 아침에 정치적 명분을 바꾸었다는 비난에서 벗어나기 힘들게 됐다. 비록 그가 민자당 입당을 부인하고 있지만 국민당을 탈당한 趙尹□ 의원의 경우처럼 단지 입당이라는 공식 절차만 밟지 않고 있을 뿐 金泳三 총재의 품안으로 다시 ‘귀순’하리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10·11·12대 의원을 지낸 김씨는 줄곧 신민당과 민한당, 민추협을 거치며 야권 인사로 머물렀으면서도 10대와 11대에는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후 다시 신민당에 입당한 특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13대에는 지역구였던 구미·선산을 버리고 대구에서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14대에는 또 선거구를 바꿔 서울 마포을에서 출마했으나 다시 낙선했다. 14대 공천 당시 민주당 내에서는 김씨가 야권통합의 의미를 세우기 위해서라도 정치 후배인 金正吉 盧武鉉 씨처럼 영남권 지역구를 사수, 대구에서 출마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원래 신민계 몫이었던 서울 마포에 뛰어들어 당 안팎으로부터 빈축을 샀다.

 이기택계로 분류되었던 그는 구 신민당과 민주당의 야권통합 당시 민주계 지분으로 최고위원에 올랐다. 그러나 민주당이 전당대회에서 경선으로 최고위원을 선출할 때 낮은 득표로 탈락해 당내 정치력의 한계를 보여주었다. 이번 탈당도 이런 정황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김씨의 탈당과 관련해 민주당 민주계 인사들은 노골적인 비난을 자제하면서도 한솥밥을 먹어온 동지의 변신에 대한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당내 입지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민주계와 이대표는 김씨의 탈당이 민주계 입지 약화를 더욱 가속화시키지나 않을까 우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국구 헌금 반환 압력에 ‘깨끗한 박찬종’ 훼손될까 우려

 신정당 朴燦鍾 대표최고위원이 요즈음 여러 가지로 심기가 불편하다. 참신한 이미지와 끊임없는 이벤트 창출로 각종 여론조사에서 만만찮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데 언론에서는 ‘실종상태’로 처리되고 있는게 박대표 진영의 불만이다. 게다가 신당을 모색하고 있는 李鍾贊 鄭鎬溶 의원과도 신당의 출범 시기, 대통령 후보 조정 문제 등으로 이견이 드러나 사실상 대화 통로가 끊긴 상태다.

 설상가상을 박대표는 신정당의 전국구 1번 공천자였던 宋顯燮 사무총장으로부터 전국구 헌금을 돌려달라는 압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2대 전국구 의원을 지낸 송씨는 3·24총선 직전 민주당을 탈당하고 신정당에 입당해 당 사무총장을 지내며 당의 선거업무 전반을 진두지휘했다. 그러나 전국구 1번임에도 금배지를 달지 못하자 총선 직후부터 15억원의 전국구 헌금을 돌려달라고 박대표에게 종용하다 최근에는 탈당해 민사소송까지 불사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박대표 진영에서는 이 돈이 단 한푼도 박대표의 주머니에 들어가지 않은 채 송씨의 결재 하에 고스란히 지구당의 총선 자금으로 집행됐다며, 정가의 관행과 돈의 쓰임새를 감안할 때 반환 운운은 어불성설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가 원만히 수습되지 않은 채 송씨가 탈당, 민사소송을 강행할 경우 그동안‘깨끗한 이미지’로 버텨온 박대표의 이미지에 손상을 입을까 우려하고 있다.

 

때이른 서울시장 후보 논쟁 남재희·고건 씨 물망

 지방자치 단체장 선거는 연내에 실시될 것인가. 노태우 대통령의 민자당 탈당은 단체장 선거의 향배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야당은 기초와 광역 선거 중 하나를 양보한다고 했으니 둘 중 하나를 받는 것은 정부·여당의 선택에 달려 있다. 6대 도시 시범 실시안도 여권 내부에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단체장선거 문제가 여전히 여야의 첨예한 쟁점이 되고 있는 판국에 때이른 서울 시장 후보 논쟁이 벌어졌다. 최근 민자당 의원 10여명의 비공식 오찬 모임에서는 광역 단체장선거나 6대 도시 시범 선거가 실시될 경우 누가 서울시장 후보로 적합한가가 화제에 올랐다. 참석자 대부분은 이종찬 의원이 탈당하지 않았더라면 당선 확률이 가장 높은 시장 후보가 됐을 거라며 아쉬움을 표시했다.

 참석자들은 토론 끝에 서울시장 후보의 조건을 도출했는데, 그것은 김영삼 민자당 대통령후보처럼 영남 출신이 아닐 것과 민주계 인사는 후보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기준에 따라 여러 사람의 이름이 거론되다가 결국 남재희 전 국회윤리위원회 위원장(왼쪽)과 고건(오른쪽) 전 서울시장으로 후보 대상이 좁혀졌다고 한다. 광역선거나 6대 도시 시범 선거가 실시 되면 여야 모두 누가 서울시장 후보가 될 것인지 초미의 관심사가 될 것이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