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대비한 국어사전 편차나 시작”
  • 이문재 기자 ()
  • 승인 2006.04.28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국어연구원 안병희 원장/“예산 부족해 어려움 많다”



국립국어연구원은 지난 10월30~31일 이틀 동안 국립중앙극장 소극장에서 ‘사전 편찬에 관한 국제 학술회의’를 열었다. 국립국어연구원이 10개년 계획으로 추진중인 종합국어대사전 편찬사업의 첫해를 맞아 기획된 이 학술회의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참가한 14명의 학자가 동양 3국의 최근 사전 편찬 동향과 바람직한 사전의 편집방향을 논의 했다.

종합대국어사전 편찬은 국립국어연구원이 맞춤법 · 표준어 · 표준화법 규정과 더불어 심혈을 기울여 추진중인 중장기사업 가운데 하나다. “통일 이후 한민족 언어생활의 지침을 마련하는 것이다”라고 安秉禧 원장은 말했다.

기존의 국어사전들이 쌓아온 성과를 아우르면서, 북한의 언어는 물론 중국과 옛 소련, 미주지역 등에 퍼져 잇는 한민족의 언어까지를 포함하는 대형 사전으로 만들 계획이다. 국가 어문정책의 결정체가 되는 것이다. 안원장은 “프랑스 한람원이 국내 언어는 물론 프랑스어권 전체를 염두에 두는 것과 마찬가지”라면서 “그러나 예산이 부족해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이번에 확정 발표된 표준화법처럼 언어가 국가정책에 의해 개선될 수 잇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안원장은 “강제적인 구속력을 가진 법령은 아니지만, 학교 교육에 반영되면 점차적으로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답했다.

표준화법이 확정되자 교육부는 새 교과 과정의 예절교육 분야에 표준화법을 수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안원장은 북한의 예를 들면서 “아무리 강제적인 정책을 쓴다 하더라도 언어는 쉽게 고쳐지지 않는다”고 언어정책의 한계를 토로했다. 우리말 사용을 강조해온 북한이지만 북한 체제도 언어를 제대로 가다듬지는 못했다. 김만철씨가 귀순했을 때 김씨는 ‘도라무통’ ‘와이루’ 등 일본말을 그대로 썼던 것이다.

표준화법 사업은 李御寧 초대 문화부장관의 적극적인 의욕에서 비롯되었다. 안원장은 표준화법 자문위원이 40대 이상으로 구성돼, 20~30대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것이 아쉽다고 했다. 1년 2개월 동안 계속된 표준화법 시리즈는 다양한 계층으로부터 지대한 관심을 끌었다. 특히 부부 사이의 호칭과 직장내 호 · 지칭 문제 등에 논란이 많아 가족 구조와 사회의 급격한 변화를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

“표준화법은 국민 언어생활의 모범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는 안원장은 “이번에 확정된 표준화법이 완전한 것은 아니지만 그 법령 제정 못지 않게 정성을 쏟았다”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