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호’ 견인하는 두 친구
  • 고제규 기자 (unjusa@sisapress.com)
  • 승인 2006.06.30 0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계안·이목희 의원, 대학 동기로 ‘2보 전진’에 힘 보태…부동산 정책 놓고는 이견
 
‘김근태 호’가 출범한 지 보름 만에 열린우리당이 질서 있는 퇴각을 마쳤다. 그런 후 이보 전진을 준비 중이다. 최선봉에 나설 서민경제회복추진위원회도 꾸렸다.

이 과정에서 유독 바쁜 두 사람이 있다. 둘은 친구 사이다. 바로 이목희 의원과 이계안 의원이다.
사람은 서로 밀어주고 당겨주며 김근태 호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계안 의원이 김근태 의장 비서실장을 맡을 때 이목희 의원이 힘을 보탰다.

김근태 의장이 이목희 의원에게 ‘이계안 카드’에 대해 묻자, 이의원은 ‘강추’했다고 한다. 이번에는 김근태 체제의 야심작인 서민경제회복추진위원회를 꾸릴 때 이계안 의원이 이목희 의원을 간사로 ‘강추’했다는 후문이다. 두 사람의 우정은 얼핏 희한해 보인다. 걸어온 길이 너무 달랐기 때문이다. 이계안 의원은 현대자동차 사장, 현대캐피탈 회장을 거친 최고경영자(CEO) 출신이다. 반면 이목희 의원은 전국섬유노조 전문위원, 한국노동연구소 소장을 거친 대표적인 재야 노동운동가이다. 출신만 놓고 보면 두 사람은 말이 안 통해야 한다. 하지만 둘은 잘 통한다. 그 인연은 대학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두 사람은 서울대 상대 71학번 동기다. 그러나 대학 때 긴밀한 교류는 없었다고 한다. 이목희 의원은 “이계안 의원은 정석대로 살았고, 나는 학생운동을 했다.

정계 입문 뒤 부족한 점 서로 메워줘

활동 공간이 달랐다”라고 말했다. 이들의 인연이 다시 이어진 것은 1998년부터다. 당시 이목희 의원은 노사정 위원회 상무위원이었고, 이계안 의원은 현대그룹 종합기획실 부사장이었다. 그해 여름 외환위기 직후 구조 조정을 둘러싸고 노동계와 재계는 정면 충돌했다. 현대자동차도 예외가 아니었다. 두 사람은 서로 다른 처지를 대표해서 얼굴을 맞댔고, 공권력 투입 직전에 합의를 이끌어냈다. 같은 서울대 상대 71학번 동기인 문성현 민노당 대표도 이때 합류했다. 문대표는 당시 민주노총 산하 금속연맹 부위원장이었다. 문성현 대표의 제안으로 세 사람은 ‘이목회’라는 모임을 만들었다. 매월 두 번째 주 목요일에 만난다는 의미다. 노동운동계, 경제계, 학계 출신들의 교류의 장이었다. <BR>정계 입문 뒤에 두 사람은 부족한 점을 서로 메워주었다. 2004년 이계안 의원이 동작구에서 공천을 받자, 기간당원들이 이의원의 출신을 거론하며 정체성을 문제 삼았다. 그때 이계안 의원의 방패가 되어준 이가 바로 이목희 의원이다.

 
이의원은 동작구 기간당원들에게 노동운동가인 자신이 보증한다며, 이계안 의원을 지원했다. 두 사람은 의정 활동을 하면서도 보조를 맞추었다.

국회 재정경제위원회에서 함께 활동

2004년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사정 대타협 추진위원회’가 발족하자, 이목희 의원과 이계안 의원은 각각 노동계·재계와 대화를 담당하는 간사로 활동했다. 때로는 역할을 바꾸기도 했다. 지난해 근로소득지원세제(EITC)를 추진할 때도 그랬다. 2008년 도입할 예정인 근로소득지원세제는 저소득층에 세금 부담을 덜어주고 일정 수준 이하의 근로소득 가구에 현금 급여를 제공하는, 양극화 해소책의 하나다. 이목희 의원이 먼저 제안했는데,이계안 의원이 추진단장을 맡았다. 이목희 의원은 “내가 하면 좌파 정책처럼 보여서 추진이 안 될 것 같았는데, 이계안 의원이 자기가 맡겠다고 했다. 이의원이 나서 쓸데없는 논란이 줄어들었다”라고 말했다. 두 사람의 친밀도는 이계안 의원의서울시장 경선 과정에서도 나타났다. 이의원이 출마를 결심하면서 세 가지 조건을 내걸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이목희 의원이 선거본부장을 맡아달라’는 것이었다. 당내에서는 ‘어울리지 않는 조합’으로 받아들였지만, 강금실 선거본부보다 호흡이 더 잘 맞았다.

친하지만 현안 쟁점을 앞에 두고는 의견이 갈릴 경우도 많다. 예컨대 최근 한 차례 당내 논란이 뜨거웠던 부동산 정책을 놓고 이계안 의원은 실수요자 종합부동산세를 경감하거나 취득ㆍ등록 세 등 거래세도 인하해야 한다는 의견이었지만, 이목희 의원은 부동산 정책 변경 불가 원칙을 견지했다. “너무 잘 아니까, 논쟁의 뒤끝은 없다”라고 말하는 두 사람은 ‘열려 있다’는 점을 서로의 장점으로 똑같이 꼽았다. 이목희 의원이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재정경제위원회로 바꾸면서 이제 두 사람은 상임위원회도 같아졌다.
이 기사에 댓글쓰기펼치기